본문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야생버섯

독버섯

  • 소개
독버섯 도감
국내에 서식하는 야생 버섯은 봄부터 가을까지 전국 어디서나 발견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약 1,900여종이 알려져 있지만 식용가능한 버섯은 약 400여종이고, 나머지는 독버섯이거나 식용가치가 없다.

최근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토종 농산물 소비가 증가하고, 특히 자연에서 채취한 다양한 야생 버섯의 이용이 높아지고 있으나, 여름 장마가 시작하면서 독버섯 중독사고의 발생도 증가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식용버섯과 독버섯 구별방법
식용버섯과 독버섯 구별방법
식용버섯과 독버섯의 구별법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버섯도 다른 생물과 마찬가지로 형태적인 특성에 의해 종(species)을 구분한 후 국내·외 발표된 문헌을 통하여 식용버섯과 독버섯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특히 버섯은 현미경으로 관찰해야 하는 미세구조의 특성이 종을 결정하는 주요인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항상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해서는 미세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표본을 보관한 후 버섯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 는 전문기관을 방문하여 종 구분을 해야 한다.
버섯의 일반적인 외형은 그림(버섯의 부위별 명칭)과 같으나, 일부 버섯들은 전혀 다른 모양을 나타내기도 한다. 일반적인 버섯들은 외형상 위쪽부터 갓, 사마귀점, 주름살, 대, 턱받이, 대주머니로 구성된다.
  • 버섯 발생 형태에 따른 구분
  • 단생 사진 단생
  • 산생 사진 산생
  • 군생 사진 군생
  • 속생 사진 속생
  • 복생 사진 복생
  • 군륜 사진 군륜
  • 버섯의 이름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 포자문을 받아 포자의 색을 확인한다.
    • 갓과 대의 색깔과 모양을 확인한다.
    • 갓에서 대까지 잘랐을 때 주름살의 부착 상태를 알아야 한다.
    • 주름살이나 관공의 색을 확인한다.
    • 상처를 주었을 때 갓과 주름살 및 대조직의 색 변화를 확인한다.
    • 턱받이(a)와 대기부의 대주머니(b) 유무와 형태를 확인한다.
    • 조직의 일부를 손으로 비벼서 냄새를 맡아 본다.
    • 현미경적인 특성인 포자와 그 외 미세구조를 확인한다.
    일반인이 버섯의 색깔과 모양, 벌레가 먹는 것의 유무, 찢어지는 양상 등으로 식용버섯과 독버섯을 구분할 수 있다는 오류를 범하고 있기 때문에 가끔씩 독버섯 중독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인이 흔히 접하는 식용버섯의 종류와 유사한 독버섯들이 많으므로 야생에서 버섯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잘못 알려진 식용버섯과 독버섯의 구별법은 아래와 같다.
    식용버섯과 독버섯 구별방법 안내

    식용버섯,독버섯 상세구분

    식용버섯 독버섯
    색이 화려하지 않고 원색이 아닌것 색이 화려하지 않고 원색인것
    세로로 잘 찢어지는 것 세로로 잘 찢어지지 않는 것
    유액이 있는 것 대에 띠가 없는 것
    대에 띠가 있는 것 벌레가 먹지 않은 것
    곤충이나 벌레가 먹은 것 요르에 넣은 은수저가 변색되는 것
    요리의 넣은 은수저가 변색되지 않는 것 가지나 들기름을 넣으면 없어진다는 생각
  • 버섯의 이름 알아보는 방법
  • 1 사진 1
  • 2 사진 2
  • 3 사진 3
  • 4 사진 4
  • 5 사진 5
  • 6 사진 6(a)
  • 7 사진 7(b)
  • 식용버섯과 독버섯 구별방법
    독버섯은 독 성분에 따라서 크게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국내에 서식하는 주요 독버섯은 다음 표와 같다. 독버섯에 중독되는 경우에 독버섯 섭취 후부터 중독증상이 발현하는 시간까지로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데, 섭취 후부터 6시간 이내에 중독증상이 발현하는 경우에는 사망률이 비교적 낮으며, 6시간 이후에 중독증상이 발현하는 경우에는 사망률이 높은 경우가 많다. 특히 그룹 1형 중독(group I: Amatoxin poisoning)의 경우에는 사망률이 높으므로 환자의 중증도에 관계없이 입원하여 관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용버섯과 독버섯 구별방법
  • 국내 독버섯의 종류 : 중독을 유발하는 독소(toxin)에 따른 분류
국내 독버섯의 종류

독소, 독버섯을 5개의 그룹으로 상세구분

독소 독버섯
Group Ⅰ 아마톡신
(amatoxine, a-amanitin)
  • 갈잎에밀종버섯(Galerina helvoliceps)
  • 개나리광대버섯(Amanita subjunquillea)
  • 독우산광대버섯(Amanita virosa)
  • 두건포자에밀종버섯(Galerina calyptrata)
  • 밤색갓버섯(Lepiota castancea)
  • 양파광대버섯(Amanita abrupta)
  • 절구버섯아재비(Russla subnigricans)
  • 턱받이종버섯(Conocybe filaris)
  • 황토에밀종버섯(Galeria vittiofornis var. vittiformis)
  • 흰알광대버섯(Amanita verna)
  • 흰오뚜기광대버섯(Amanita castanopsidis)
Group Ⅱ 지로미트린
(gyromitrin, monomethylhydrazine;MMH)
  • 게딱지버섯(Discina perlata)
  • 곰보버섯(Morchella esculenta)
  • 마귀곰보버섯(Gyromitra esculenya)
  • 안장마귀곰보버섯(Gyromitra infula)
  • 와인잔버섯(Paxina acetabulum)
Group Ⅲ 코프린
(disulfiram-like toxins)
  • 갈색먹물버섯(Coprinus micaceus)
  • 두엄먹물버섯(Coprinus atramentarius)
  • 배불뚝이깔때기버섯(Clitocybe davipes)
Group Ⅳ 무스카린
(muscarine)
  • 바늘땀버섯(Inocybe calospora)
  • 비듬땀버섯(Inocybe lacera)
  • 삿갓땀버섯(Inocybe fastigiata)
  • 잿빛깔때기버섯(Clitoybe nebularis)
  • 흰땀버섯(Inocybe umbratica)
Group Ⅴ 이보텐산-무시몰
(isoxazole derivaives, ibotenic acid, muscimil)
  • 마귀광대버섯(Amanita pantherina)
  • 파리버섯(Amanita mellecieps)
Group Ⅵ 환각
hallucinogenic toxins (psilocybin, psilocin)
  • 계란모자버섯(Anellaria semiovata)
  • 갈황색미치광이버섯(Gynnopulus spectabilis)
  • 검은띠말똥버섯(Panaeolus subbalteatus)
  • 검은쓴맛그물버섯(Tylopilus nigerrimus)
  • 노란종버섯(Conocybe lactea)
  • 목장말똥버섯(Panaeolus papilionaceus)
  • 좀환각버섯(Psilocybe coprophila var. coprophila)
Group Ⅶ 위장관 자극
Gatrointestinal toxins
  • 갈색고리갓버섯(Lepiota cristata)
  • 긴골광대버섯아재비(Amanita lonfistriata)
  • 깔때기무당버섯(Russula foetens)
  • 꽃잎우단버섯(Paxillus curtisii)
  • 노란각시버섯(Leucocoprinus birnbaumii)
  • 노란꼭지버섯(Rhodoplyllus murrayi)
  • 노란다발(Naematoloma fasciculare)
  • 노란대주름버섯(Agaricus praeclarequamosus)
  • 노란분말그물버섯(Pulveroboletus ravenelii)
  • 노란젖버섯(Lactarius chrysoheus)
  • 노랑싸리버섯(Ramaria flava)
  • 땅비늘버섯(Pholiota terrestris)
  • 맑은애주름버섯(Mycena pura)
  • 무당버섯(Russula emetica)
  • 밤자갈버섯(Hebeloma vinosophyllum)
  • 뱀껍질광대버섯(Amanita spissacea)
  • 블록포자갓버섯(Lepiota ventriosospora)
  • 붉은꼭지버섯(Entoloma quadratum)
  • 붉은사슴뿔버섯(Podostroma cornu-damae)
  • 붉은산무명버섯(Hygrocybe conica f. conica)
  • 붉은싸리버섯(Ramaria formosa)
  • 비늘버섯(Pholiota squarrosa)
  • 산속그물버섯아재비(Boletus pseudocalopus)
  • 삿갓외대버섯(Rhodophyllus rhodopolius)
  • 암회색광대버섯(Amaniya pseudoporphyria)
  • 애기무당버섯(Russula nigricans)
  • 애우산광대버섯(Amanita farinosa)
  • 여우갓버섯(Leucoagaricus rubrotionctus)
  • 용문새주둥이버섯(Lysurus mokusin f. sinensis)
  • 은행잎우단버섯(Paxillus panuoides)
  • 자주색싸리버섯(Ramaria panuoides)
  • 절구버섯(Russula nigricans)
  • 점박이어리알버섯(Scleroderma areolatum)
  • 좀우단버섯(Paxillus atrotomentosus)
  • 주름우단버섯(Paxillus involutus)
  • 처녀송이버섯(Tricholoma virgatum)
  • 침비늘버섯(Pholiota squarrosoides)
  • 큰비늘땀버섯(Inocybe calamistrata)
  • 큰우산버섯(Amaniya vaginata var. punctata)
  • 큰주머니대광대버섯(Amanita volvata)
  • 턱받이광대버섯(Amanita sptreta)
  • 턱받이금버섯(Phaeolepiota aurea)
  • 화경버섯(Lampteromyces japonicus)
  • 황금싸리버섯(Romaria aurea)
  • 흙무당버섯(Russula senecis)
  • 흑집남빛젖버섯(Lactarius scrobiculatus)
  • 흰갈대버섯(Chlorophyllum molybdites)
  • 흰꼭지버섯(Rhodophyllus murrayi f. albus)
  • 흰무당버섯아재비(Russula japonica)
  • 흰오징어버섯(Asroe arachno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