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작물 | 주요 병 | 주요 해충 |
---|---|---|
키위 | 시들음병(Fusarium 속) | 매미충류 등 4종 |
망고 | 가지마름병 등 4종 | 볼록총채벌레 등 4종 |
패션프루트 | Fusarium 시들음병 및 바이러스 3종 | 깍지벌레 등 3종 |
파파야 | 탄저병 등 2종 | 가루이, 응애 등 3종 |
올리브 | 탄저병 등 6종 | 차잎말이나방 등 6종 |
연구목표 |
◦ 아열대작물 유전자원 도입·적응성 평가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 아열대작물 전략작목 육성, 재배 및 이용 기술 개발 ◦ 차, 키위 신품종 육성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 원예작물의 남부지역 적응성 평가 |
---|---|
핵심성과 |
◦ 아열대작물 유전자원 도입· 환경적응성 평가 및 유망작목 선발 - 누계 : 도입(58작목), 적응성 평가(41작목), 유망작목 선발(17작목) ◦ 유망 아열대채소 특성평가 및 우량계통 선발 - 얌빈 조기수확·소비자 선호도 만족 계통선발: 1계통(YB-7) - 제주에서 월동가능한 고기능성 강황 계통선발: 1계통(JC-12) ◦ 차 유전자원 특성평가 및 품종 개발 - 유전자원 수집·보존·평가(수확기, 특이형질 등): (’22, 누계) 100자원 → (’24) 300 - 노란 잎 차나무 ‘금다’ 품종보호출원 및 통상실시 ◦ 키위 품종육성 및 보급확대 - 고비타민 C 그린키위 ‘녹홍’ 품종보호등록 - 국내 육성품종 보급확대 및 특화단지 조성 - 키위 국내육성 품종 보급률: (’23) 29.4% → (’24) 30.2 |
대표과제 |
◦ 국내 환경적응형 키위 신품종 육성(고유) ◦ 고품질 키위 신품종 이용촉진사업(공동) ◦ 보급 유망 아열대채소 유전자원 수집 및 적응성 평가(고유) ◦ 신소득 유망 아열대 과종의 지역특화 및 현장애로기술 개발(공동) ◦ 차나무 내한성, 고기능성 자원 선발 및 품종 육성(고유) ◦ 내한성 차 신품종 육성을 위한 지역적응연구 및 이용촉진사업(공동) |
주 요 연구내용 |
◦ 유망 아열대채소 얌빈 등 유전자원 수집 및 적응성 평가, 우량계통 선발 ◦ 파파야 우량계통 육성 및 조직배양 번식 체계 구축 ◦ 차나무 고품질 안정생산을 위한 우량계통 선발 및 품종 육성 ◦ 국내 기후에 적합한 키위 신품종 육성 및 보급 |
연구목표 |
◦ 원예·특용작물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미래 재배적지 평가 ◦ 원예·특용작물 생산·품질 예측모형 개발 ◦ 기후변화 대응 병충해 영향평가 및 개체군 예측기술 개발 ◦ 열대아열대작물 병해충 영향 평가 ◦ 타우과실파리의 발생과 월동 예측모형 개발 |
---|---|
핵심성과 |
◦ 주요 채소 작물모형 개발 및 모형 고도화 - 과정기반 채소 작물모형 4종 개발(배추, 마늘, 무, 양파) ◦ 작물모형 연동 채소 주산지 농장단위 생육정보 제공시스템 개발 - 일별 엽수,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 결과 표출(무안 등 18지역) ◦ 기후변화시나리오 적용 작물 재배적지 기준설정 및 예측지도 개발(16작목) - 키위(극최저 기온 등), 여름배추(6월 평균기온 등), 난지형마늘(쪽 형성적온 등) ◦ 농업용 미래상세 전자기후도 제작 및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인증 -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농업용 미래상세 기후분포지도 책자 발간‧배부 ◦ 기후변화 조건에 따른 해충 발육 및 산란영향평가 : 2종 - CO2 농도·온도별 복숭아혹진딧물 발육, 진디벌 포식활동, 발육· 산란 반응평가 ◦ 해외 과실파리류 침입대비 연구 및 장기사용 가능 오토롤트랩 개발 - 디지털농업 대비 오토롤트랩 활용 정책제안 및 특허출원 |
대표과제 |
◦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채소분야(무, 마늘) 생육 영향 평가(고유) ◦ 기후변화에 따른 올리브 병해충 발생 조사 및 방제기술 개발(고유) ◦ 아열대작물 병해충 모니터링 및 진단기술 개발(2단계)(고유) ◦ 기후변화에 따른 원예작물의 재배적지 및 생산성 영향평가(공동) ◦ 작물모형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채소 수량예측 기술 개발(국제공동) ◦ 국내 침입대비 타우과실파리의 발생과 월동 가능성 연구(국제협력) |
주 요 연구내용 |
◦ 기후변화시나리오 적용 원예·특용작물 미래 재배지 변동지도 제작 ◦ 주요 채소 대상 생리 프로세스 기반의 작물모형 개발 : 무, 양파 ◦ 작물모형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채소 수량예측 기술 개발 ◦ 기온 및 이산화탄소 변화에 따른 복숭아혹진딧물과 기생벌 상호작용 영향평가 ◦ 열대/아열대작물 병해충 발생 기초조사 ◦ 타우과실파리 형태적특성 및 기주특이성 구명→정책제안 2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