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연구목표 |
◦ 원예시설 기상재해 경감 기술 개발 ◦ 시설 구조·자재 성능평가 ◦ 신소재 활용 시설 구조·자재 개선 ◦ 극한기후 대응 첨단 온실 모델 개발 |
---|---|
핵심성과 |
◦ 3차원 온실 설계지원 프로그램(GHModeler pro) 농사로 공개 및 성과확산 - 핵심기능 : 온실견적, 구조해석, 재배환경분석, 구조안전성 모니터링 등 * GHModeler를 활용한 온실 정보 모델링 매뉴얼 발간(7.15), 농식품부 브리핑(11.27) ◦ 재배 전문가 및 농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만감류에 재배 적합한 온실 모델 2종 설계 * 단동온실 : 폭 10m, 측고 2.5m, 동고 4.5m, 서까래 59.9x2.1t, 가로대 31.8x1.5t * 연동온실 : 폭 6.0m, 측고 3.9m, 동고 5.5m, 기둥 □75x75x2.1t, 서까래 42.2x2.1t ◦ 딸기 육묘 재배를 위한 내재해형 규격 온실 모델 2종 개발(내재해형 규격 시설 등록) * 온실 규격 : 폭 12.2m, 동고 4.3m, 측고 2.0m, 방풍벽 간격, 0.9m |
대표과제 |
◦ 만감류 시설재배에 적합한 비닐온실 모델 개발 ◦ 감귤재배에 적합한 망 온실의 구조 설계 ◦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활용한 온실의 구조개선 연구 |
주 요 연구내용 |
◦ 개발한 시설 내재해형 규격 등록을 위한 구조 설계 및 안전성 검토 ◦ 기상재해에 안전한 과원 망 재배시설 개발 ◦ 기존 강관 자재를 FRP자재로 활용하는 기술 개발 |
연구목표 |
◦ 시설원예 에너지 최적 관리 기술 개발 ◦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냉난방 효율 향상 ◦ 시설 에너지 보온·축열·저장 및 활용성 제고 ◦ 온난화 대응 시설 냉방 요소 기술 연구 |
---|---|
핵심성과 |
◦ (재배 효과) 장기성 피복재의 특성 및 재배 효과 분석(’23~’25) - 저온기 재배 시 투광량과 온도 상승(국산=일산 > EVA필름) * 참외재배 효과 : 수확시기 5∼9일 단축, 수량 29% 증대/ EVA필름 대비 ◦ 에너지 소비를 줄인 고효율 가열식 양액 살균장치 개발 - 제원 : 살균온도 85℃ 이상, 처리용량 1ton/h, 에너지 92% 절감 * 개발 살균장치 이용 10ton/일 씩 30일간 양액 처리시 전기요금 약 10만원/월 ◦ 면적당 생산성을 높인 회전형 작물재배시설 개발 - 동일 면적 온실 내 작물 재식 주수 80% 증가(7,200주/10a→12,960) * 온실 당 조수익 80% 증가, 소득 132% 증가(11.9백만원/10a→27.6) 예상 ◦ 지중 매립 공기순환 배관 이용 온실 부분냉방 기술 개발 - 지중 공기순환 배관 이용 부분냉방시 상추 선풍골드 생체중 609% 증가 * 외기온 38.7℃ 일 때 40m 지중 배관 통과 공기 온도 29.5℃(9.2℃ 하강) |
대표과제 |
◦ 시설재배 시스템의 에너지 성능평가 및 개선연구 ◦ 장기성 피복재의 특성 및 재배 효과 분석 ◦ 가용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 효율 향상 연구 |
주 요 연구내용 |
◦ 시설원예 설비, 장치 종류별 단열성능, 에너지 효율 등 성능평가 ◦ 개발 장기성 PO필름의 3년차 특성 변화 및 작물 재배 효과 분석 ◦ 겨울철 저온기 히트펌프 효율 향상기술 개발 |
연구목표 |
◦ 친환경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개발 ◦ ICT 이용 정밀 양수분 관리기술 연구 |
---|---|
핵심성과 |
◦ (기술개발) 양액 재사용을 위한 작목 맞춤형 양분관리 최적화 기술(’21.~) * 순환식 수경재배 매뉴얼 발간‧배부(도원‧센터‧농업인) 및 농식품부 브리핑(’23.12월) ◦ (현장보급) 시설과채류 양액 재사용 기술 보급(’24~, 신기술보급사업) * 요소기술 : ① 양액조제, ② 배액살균, ③ 배액희석(배액/원수 혼합), ④ 양분보정 →(’24) 전국 16개소(강원‧전남 각 3개소, 충남 2, 경기 등 8지역 각 1), (’25) 전국 14개소 ◦ (제도개선) 수경재배 산업 활성화 및 경영비 절감을 위한 제도 개선 추진 |
대표과제 |
◦ 급배액 및 재배환경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수경재배 정밀 제어 연구 ◦ 물부족 대응 주요 채소 생체정보모니터링 기법을 활용 정밀 양수분 관리시스템 개발 ◦ 폐양액 배출제로형 수경재배 현장 실용화 기술 개발 ◦ 박과류 채소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연중 생산기술 및 적합품종 발굴육성 |
주 요 연구내용 |
◦ 급배액 및 재배환경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배지경 및 순수 수경재배 정밀 급액 기술개발 ◦ 물부족 대응 주요 채소 생체정보모니터링 기법을 활용 정밀 양수분 관리시스템 개발 ◦ 배출제로형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양액관리 기술 개발 ◦ 수경재배 부산물 수거·처리·재활용 체계 구축 및 자원화 협력·지원 ◦ 환경부하 경감을 위한 배액 배출기준 설정 및 수질정화 처리방안 모색 ◦ 수출 멜론 적합 품종 선발 및 과실 품질향상을 위한 수경재배 기술 개발 |
연구목표 |
◦ 시설원예 생산성 증대를 위한 지능형 환경제어 및 ICT 융합기술 개발 ◦ 작물 생육지표 및 생육측정 표준화 연구 |
---|---|
핵심성과 |
◦ 차세대 온실 종합관리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 사물인터넷 기반 이종 스마트팜 장비 통합관리 기술 확립(출원 3종) - 농업용 앱 개발 도구 및 민간 개발자 지원 홈페이지 구축 - 민간 상용화를 위한 현장평가회 개최 및 산학연 협의체 운영 ◦ 빅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환경·생육·생리 정보 자동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영상분석 및 인공지능 이용 과실 생육·품질 정량화 알고리즘 개발 - 생체중 예측을 통한 생육 단계별 정밀 관수 제어 활용 * 생체중을 통한 생육기-과실비대기-성숙기 예측(정확도 R2 = 0.98) - 영상분석을 활용한 과실 품질 정량화 지표 ‘멜론 네트지수’ 개발 |
대표과제 |
◦ Big 데이터 기반 시설원예 디지털 농업 요소기술 개발 ◦ 저일조에 따른 농작물 생산피해 예측 및 평가기술 개발 ◦ 파프리카 생육·수확량 예측 및 온실 환경 모델 개발에 의한 데이터 수집·표준화 ◦ 인공환경 기반 고품질 딸기 생육 제어 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차세대 온실 종합 관리 플랫폼 개발 ◦ 저일조에 따른 시설작물 피해산정 및 경감기술 개발 ◦ 복합환경 적용 과채류 생육모델 및 최적 환경관리시스템 개발 ◦ 수직농장 고품질 딸기 재배를 위한 최적 환경조절 기술 개발 ◦ 온실 종합관리 플랫폼 ‘아라온실’ 민간 상용화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