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센터원예작물부

비전 및 목표

목표
  • 연구 데이터 디지털화 및 배 분자육종 체계 상용화 추진
    • 데이터 디지털화 및 DB화 : (’24) 30% → ('28) 60 → ('30) 100
    • 분자표지 활용 조기선발 추진 : (’24) 미적용 → ('26) 20% → ('30) 40 → 계속
  • 단감 수확기 다변화 및 현장 수요 맞춤형 신품종 개발
    • 품종개발 건수 : (’24) 13품종 → ('28) 15(극조생 등) → ('32) 18(무핵종 등)
  • 기후변화 대응 고온 장해 및 열과 경감 기술 개발
    • 폭염시 과원 기온 경감 : (기존) 미비(35℃ 이상) → (개선) 33℃ 이하
    • 수확기 고온장해 및 열과 피해율 : (’24) 30% 이상 → (’25∼) 15% 이하/li>
  • 배 재배 노동력 절감 및 무봉지 재배과 상품성 향상
    • 농작업 시간 : (’20) 152시간/10a → (’25) 130 → (’30) 100
    • 무봉지 재배 과실 상품과율 : (’23) 85% → (’26) 90 → (’30) 90 이상 유지
추진 전략 및 핵심 내용
  • 디지털 육종 전환을 통한 배 품종 개발 효율 향상
    • 표현형 정밀 평가기반 구축을 통한 연구데이터 디지털화 및 DB화
    • 배 분자육종 상용화 및 디지털 육종으로 전환을 위한 기반 구축
  • 현장 수요 맞춤형 단감 신품종 개발 및 보급
    • 단감 수확기 확대 및 현장수요 반영 품종 개발 및 보급
    • 국내 육성 신품종 맞춤형 안정생산 시스템 개발
  • 배 수확기 고온 장해 및 열과 경감 기술
    • 기후 온난화 대응 품종별 적정 수확시기 재설정 연구
    • 생육기 고온장해 및 열과, 낙과 방지 재배기술 개발 및 실증
  • 노동력 절감을 위한 배 스마트 과원 관리 기술 개발
    • 센서 기반의 실시간 자동 양수분 관리 기술 개발
    • 레일식 무인방제체계의 활용성 및 효과 검토
    • 배 무봉지 재배 적용 확대 및 일소 피해 경감기술 개발
    • 기계화 및 자동화 시설 적용이 가능한 수형 및 덕 시설 개발

연혁

  • 1970. 04. 08. 원예시험장 나주지장 발족
  • 1991. 11. 15. 과수연구소 나주배연구소 확대 개편
  • 1994. 12. 27.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개칭
  • 2008. 10. 08.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개칭
  • 2015. 01. 06.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개칭
  • 2018. 03. 30. 소과류 연구기능 신규 부여
  • 2023. 12. 19.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배연구센터 직제 개편

주요업무

  • 배, 감, 소과류 품종육성․육종기술 개발 연구
  • 배, 감, 소과류 재배방법 개선 및 생산비 절감 연구
  • 배, 감, 소과류 병해충 관리에 관한 연구
  • 배, 감, 소과류 수확 후 관리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주요성과

상품성 높은 일상소비용 배 신품종 개발 및 보
  • (품종개발) ’21∼’22년 출원 품종의 보호권 설정을 위한 재배심사
    • * 심사품종 : ‘중모적색1호’(8하, 12.8oBx, 적색과피,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21∼)
    • ‘녹주’(9중, 11.8oBx, 저장성, 동녹 소, 대과, ’22∼)
  • (보급) 다양한 품질의 신품종 보급 확대로 배의 일상 소비 확대
    • (통상실시) 병 저항성 녹색배 ‘그린시스’, 장기저장성 ‘만황’ 등 5품종
    • * 슈퍼골드, 조이스킨, 창조 등 제일농원 외 2업체 9,000주, 계약금 1,440천원
    • (평가회) ‘신고’ 대비 ‘그린시스’ 컵과일의 품질 우수성 확인시민 202명 대상
    • * 품질만족도 : 신고 56.9%, 그린시스 66.9, 희망가격 : 신고 2793원/컵, 그린시스 2837
주요 형질 연관 마커개발을 통한 조기선발 체계 기반 구축
  • (과실품질) 주요 형질 연관 분자표지 탐색 및 유용 분자표지 선발
    • (적색과피) 안토시아닌 발현 연관 유전자 확인 후 분자표지 개발중
    • * ‘만풍배’ב대원홍’ 집단의 Chr4에서 적색과피 연관 QTL 및 MYB10 동정
    • (저장성) 유전자 연관그룹 2번(’22), 10번(’22∼’23)에서 QTL 확보
    • * ‘조이스킨’ב추황배’ 집단의 상온저장성 연관 QTL 탐색 및 후보유전자 동정 진행중
    • (고당도) 유전자원 278종 대상 HPLC 당 분석 후 GWAS 수행 중
우수사례 : 배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연관 유전자 2종 동정
  •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유전자 Rvn5, Rvn6 동정 및 분자표지 확보
    • 약 80% 효율로 저항성 개체를 선발가능하며 합산효과 있음
    • * 각각의 저항성 유전자를 동시에 가질 때 저항성 비율이 높아짐
    • 서양배 유래 신규 유전자 2종은 동양배 도입이 가능함
    • * 종간교잡 활성화 : 동·서양배 상호간 유용 유전자의 도입 추진
  • 우수품종상
재배자 및 소비자 수요중심의 고품질 단감 신품종 개발·보급
  • (개발) 과육이 아삭하고 달콤한 조생종 단감 ‘원교 바-29호’ 선발
우수사례 : 고품질 조생종 우량계통 ‘원교바-29호’ 선발
  • 소비자 및 생산자 기호를 반영한 극대과 고품질 단감
    • 수확시기가 10월 상순으로 늦은 추석 및 추석 이후 소비
    • 과육이 아삭하며 달콤해 젊은 층 소비자 취향 충족
    • * 과중 420g, 당도 16.5Brix, 경도 4.3kg/8mmø
  • 단감
  • (보급) 단감 신품종 ‘감풍’ 전문생산단지 조성 및 기술이전 실시
    • (생산단지) 창원시, 고흥군, 영암군 전문생산단지 22ha 이상 조성
    • * 단감 신품종 ‘감풍’ 전문수출단지 조성(영암 조성중, 고흥 5ha, 창원 17ha)
    • (기술이전) 단감 신품종 ‘봉황’, ‘진홍’ 등 12품종 및 전용박스 보급
    • * 고흥군 농업기술센터, 대원농원 등 6업체 총 20건, 계약금 5,050천원
  • (홍보) 단감 신품종 ‘감풍’ 등 4품종 전시 및 시식평가회 등 개최
    • (시장성 평가) 생산자, 소비자 및 유통업자 대상 시장성 평가
    • * ‘감풍’ 등 신품종 현장평가회(10.18.), 중도매인(10.25.) 및 소비자(11.1.) 시식평가회
    • * 소비자 시식평가 결과 ‘감풍’(83.8%)이 ‘부유’(16.2%)보다 소비자 선호도 높음
    • (홍보) 농촌진흥청 공식 콘텐츠 제작, 전문지 브리핑 등 홍보 강화
    • * 단감 계급전쟁 ‘감풍’(10.30.), 농업전문지 기자단 브리핑(11.12.) 등
  • 업무협약 (창원, ’24.2.)업무협약 (창원, ’24.2.)
  • 품종 박스 기술이전 (영암, ‘24.10.)품종 박스 기술이전 (영암, ‘24.10.)
  • 신품종 및 우량계통 현장평가회신품종 및 우량계통 현장평가회
  • ‘감풍’ 시식평가 (우리배한마당큰잔치)‘감풍’ 시식평가 (우리배한마당큰잔치)
수확기 ‘신고’ 고온장해․열과 발생 현장 조사 및 원인 구명
  • (피해) 전국 44개 시군 피해율 34%일소 16, 열과·낙과 18, 피해면적 2,828ha
    • 피해 양상 : 과피 일소, 심한 밀 증상, 과육 갈변, 열과, 낙과 등
    • * 재배면적 40ha 이상 지역 8,317ha(총 면적의 85%) 중 지역별 농가 5개 샘플 조사
  • (원인) 단기간 과다 수분 공급시 열과, 에틸렌 과발생으로 낙과 발생
    • 8∼9월 폭염33℃이상 지속전국 33∼55일 및 9월말 돌발 강우이틀간 전국 123∼300mm
    • * (고온) 8~9월 고온건조·열대야 → 일소, 밀증상, 과육 갈변 등 고온장해 유발
    • * (강우) 건조 후 9월 돌발 강우 → 급격한 과실 비대 → 열과, 낙과 유발
  • 열과, 낙과열과, 낙과
  • 과피 갈변과피 갈변
  • 과육 갈변과육 갈변
  • 저장중 피해 발생저장중 피해 발생
피해 발생지역 현장 기술지원 및 피해최소화를 위한 유통방안 권고
  • (기술지원) 아산, 나주, 진주 등 고온장해 피해지역 현장기술지원
    • 피해 과실 철저히 선별 후 저장, 저장고 수시 환기 및 에틸렌 억제제 처리 등(∼11월)
  • (대책권고) 피해·정상과 등 과실 품위에 따른 유통방법 지역별 권고
    • (장해과) 가공용, (피해예상과) 즉시 내수용 유통, (정상과) 설 성수품 또는 수출용
우수사례 : 수확기 ‘신고’ 과실 고온장해 발생 보고 및 현장기술지원
  • 배 주산지 수확기 ‘신고’ 과실 고온장해 발생 및 긴급조치
    • (보고) 전남 나주, 충남 아산, 경남 진주 등 농가별 10∼30% 발생
    • (조치) 조기 수확 권장, 피해과 선별 및 즉각 유통 권고 등
    • * 발생보고(9.26.) → 청장 별도보고(10월초) → 기관장 회의 준비(11월)
  • 현장기술지원
‘배 스마트 과원 요소기술’ 연구를 통한 미래 대응 기술 개발
  • (관수관리) 토양수분 센서 기반의 실시간 자동관리체제 완성환경과 협업
    • 토양수분 센서 활용 일정한 수분압(-30Kpa) 유지로 정상적인 시험수 생육 유지
    • ‘신고’ 특성 : (자동관수) 854.5g, 13.5°Bx, (대조) 836g, 13.7°Bx * 유의차 없음
  • (방제관리) 레일식 무인방제체제 활용 배 과원 방제 노동력 절감
    • 무인방제체제 적용시 관행방식과 효과는 유사하였으나 방제시간이 크게 감소
우수사례 : 손쉽게 현장 적용이 가능한 병해충 무인방제체계 구축
  • 레일식 병해충 자동 방제 체계 구축 및 효용성 확인
    • 관행(SS기) 대비 효과는 유사하나 방제 시간이 대폭 감소
    • * 약제살포시간 : (관행) 24분/10a → (개선) 10분(58.4% 감소)
    • * 병해충 피해 : (병해) 0%, (심식나방류) 관행 8%, 무인방제 11%
  • 레일식 병해충 자동 방제
과원 운영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절감 배 재배기술 개발
  • (무봉지 재배) 조·중생종에 효과를 보여 확대 적용 가능성 확인
    • 우수한 방제효과 : 검은별무늬병 피해 0.5%, 복숭아순나방 피해 2.6%
    • * 방제 방법 : 17회 방제 + 교미교란제 130%(기준: Confuser-R제품 1,000개/ha) 적용
    • * 복숭아순나방 피해 : ‘신고’ 15.2%, ‘한아름’∼‘그린시스’ 등 7품종 2% 미만
  • (노력절감 수형) 개량평덕식, 팔매트, 왜성대목 이용 시험포 조성
    • ‘신고’를 대조로 유망 품종 ‘조이스킨’ 등 4품종 시험수 식재(일반 vs. 왜성)
우수사례 : 배 무봉지 재배법 현장 활용 기술 개발
  • 배 무봉지 재배의 효과 및 확대 적용 가능성 확인
    • 약제 방제 및 교미교란제 활용으로 무봉지 재배 가능
    • * (병해) 강우전 저항성 우려 적은 다점 작용제 위주 살포
    • * (해충) 교미교란제(기준 대비 130%), 4월 초 70%, 7월 초 30, 8월 중 30
    • 적용 범위 : (기존) 조생종 → (개선) 조·중생종(‘신고’ 이전)
  • 배 무봉지 재배

중점추진계획

표현형 정밀 평가기반 구축으로 데이터 디지털화 및 DB화
  • (디지털화) 특성 조사의 기계·자동화 도입 확대로 연구 데이터 객관화
    • 당도, 산도 등 주요 형질 측정 기계화 및 조사 항목의 정량화 확대
    • * 과일 외형, 과피색 등 측정시 주관적 요소 개입이 가능한 특성을 수치로 전환
  • (DB화) 표현형 및 이미지 데이터 누적을 통한 연구데이터 DB 구축
    • 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딥러닝 등 AI 학습 및 표현형 분석 기술 개발
    • * 다요인이 작용하는 형질 조사가 아닌 세부 표현형 조사(HPLC 당 분석 등)
배 분자육종 체계 확립 및 디지털 육종 기반 구축
  • (분자육종) 과실 형질 및 병 저항성 관련 분자표지 활용 상용화
    • 자원·집단의 유전체 재분석으로 유전형 분석 및 유용 분자표지 탐색
    • 목표형질 관련 QTL 등 유전분석을 통한 조기선발 분자표지 선발
    • 선발 분자표지의 적용 및 표현형 평가 결과를 종합한 유효성 검토
    • * 개발단계 : 분자표지 탐색 → 선발 → 범용 분자표지로 전환 → 효용성 검정
  • (디지털육종) 육종체계 전환 준비를 위한 데이터 확보 및 기반 구축
    • 유전분석용 집단핵심집단·육종집단·검정집단 등 양성 및 정밀 표현형 분석
    • 자원·집단의 유전형 분석 및 빅데이터 기반 형질 예측 모델 개발
수확기 확대 및 현장수요 반영 고품질 품종 개발 및 보급
  • (육종) 추석용 극조생종, 소비편리 씨없는 완전단감 품종 개발
    • (극조생) 수확기가 빠른 불완전단감 활용 신규 교배실생 양성
    • (무핵) 씨 없는 단감 품종 개발을 위한 배배양 및 배수체 육성
    • * 기 배수체(12x) 3개체 세대진전 및 재평가, 신규 배수체(12x) 개체 육성
    • * 배수체 육성을 위한 배유배양 시도 등 배수체 육성 신기술 도입 추진
    • (다양성) 단감 기능성 및 내한성 관련 성분분석 데이터 확보
    • * 카로티노이드 등 분석: (현재) 25품종 → (’25) 30 → (’27) 40, 주요 자원 대상
    • * 내한성 분석: (현재) 12품종, 8교배조합(129실생) → (’25) 15품종 → (’27) 20
  • (선발) 1차 선발 특성 기준 pool 구축 및 조기 평가 강화
    • 완전단감, 과중 280g↑, 수확기당도 15.0oBx↑, 과정부균열 10%↓
    • * ’13∼’15년 교배실생 8,500주 대상 선발 기준 적용 → 조기선발 및 도태
신품종 맞춤형 고품질 안정생산시스템 개발
  • (재배) 품종 보급 및 신품종 안정생산을 위한 재배법 등 정립
    • 주기적 농가기술지원 등 선도 농가기술 활용 맞춤형 재배 매뉴얼 개발
    • * 이상 기상(고온 등)에 따른 품질변화, 수체 및 결실 관리 등 재배 전반
    • ☞ ‘감풍’ 전문생산단지(창원, 고흥, 영암) 활용 신품종 맞춤형 재배법 정립
    • 소비기간 연장 및 장기간 유통 가능한 수확 후 관리방법 제시
    • * 생육기 칼슘제 엽면시비, 동계 시비관리, 수확 후 1-MCP 및 필름처리 등
기후 온난화 대응 품종별 적정 수확시기 재설정 연구 추진
  • (조기수확) 만개 후 적산온도를 반영하여 품종별 수확기 재설정
    • 적산온도 기반 수확기 : (기존) 만개후 170일 내외 → (변경) 적산온도 3,800℃내외
생육기 고온장해 및 열과, 낙과 방지 재배기술 개발 및 실증
  • (기온하강) 보급형 미세살수 관수 시스템 개발 및 살수 기준 설정
    • 살수 기준 온도(33℃) 설정, 수준별 미세살수량 및 온도 하강 효과 조사 등
  • (열과방지) 열과를 예방할 수 있는 재배기술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관수기술) 과실 비대기 열과 경감을 위한 관수기준 설정자동관수 연계
    • (칼슘살포) 생육기 칼슘제 엽면살포에 의한 열과 경감 효과 분석
  • (낙과방지) 수확전 에틸렌 발생·흡수 억제제의 낙과 방지 효과 조사
    • 예상 성숙기전 1-DCP, 액상 1-MCP 처리에 따른 낙과 방지 및 과실 특성 변화 등 검토
  • (기능성 봉지) 온도 하강 효과가 있는 과일 봉지 선발 및 소재 연구
    • 통기성 좋은 열차단 기능성 과일 봉지 탐색, 봉지내 기온 측정 및 과일 특성 검토
  • 과일 봉지 선발 후보과일 봉지 선발 후보
  • 개화기 저온 및 여름철 고온 대응 미세살수개화기 저온 및 여름철 고온 대응 미세살수
노동력 절감을 위한 ‘배 스마트 과원 관리기술’ 개선
  • (양수분 자동관리) 토양수분 센서 기반 실시간 자동 양수분 관리
    • 근권 제한 재배를 통한 양수분 관리법 개발 후 노지로 적용 확대
  • (자동방제 현장적용) 레일식 무인방제체계의 방제효과 분석
    • 재배기간 레일식 무인 방제시스템 활용을 통한 운용성 지속 검토
    • * 농약 제형 문제는 없으며, 수체 생육에 따른 분무입자 확산 제한 개선(하계전정)
    • * 시기별 약제 부착 양상(도포율, 부착량 등) 분석과 방제 효과 비교·분석 추진
노력절감 배 재배기술의 개선 및 현장 적용 확대
  • (무봉지 재배) 무봉지 적용 품종 확대 및 일소 피해 경감기술 개발
    • 완전 무봉지 재배 확대 : 조생종한아름 등, 중만생종신고 등 8품종 적용
    • * 기존 방제 및 교미교란제 적용, 9월 중순 이후 수확 품종은 BT제 추가 적용 검토
    • 하계전정 미실시 및 최소화로 일소 및 붉은 과피 방지 효과 조사
    • * 수관 상부 다목적 미세살수 시스템(개화기 서리, 고온기 일소 및 열대야 대비) 설치 예정
  • (수형 구성) 식재 시험수 관리 및 팔매트 개선 수형 추가 조성
    • 기계화 및 자동화 시설 적용이 가능한 덕 시설 검토 및 적용

전문연구실

배품종재배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연구 데이터 디지털화 및 배 분자육종 체계 상용화 추진
◦ 기후변화 대응 고온 장해 및 열과 경감 기술 개발
◦ 배 재배 노동력 절감 및 무봉지 재배과 상품성 향상
핵심성과 ◦ 분자표지 활용 조기선발 추진 : (’24) 미적용 → ('26) 20% → ('30) 40 → 계속
◦ 폭염시 과원 기온 경감 : (기존) 미비(35℃ 이상) → (개선) 33℃ 이하
◦ 농작업 시간 : (’20) 152시간/10a → (’25) 130 → (’30) 100
대표과제 ◦ 디지털 육종 전환을 통한 배 품종 개발 효율 향상
◦ 배 수확기 고온 장해 및 열과 경감 기술
◦ 노동력 절감을 위한 배 스마트 과원 관리 기술 개발
주요
연구내용
◦ 표현형 정밀 평가기반 구축으로 데이터 디지털화 및 DB화
◦ 배 분자육종 체계 확립 및 디지털 육종 기반 구축
◦ 신품종 맞춤형 고품질 안정생산시스템 개발
◦ 기후 온난화 대응 품종별 적정 수확시기 재설정 연구 추진
◦ 노동력 절감을 위한 ‘배 스마트 과원 관리기술’ 개발 및 현장 적용 확대
◦ 생육기 고온장해 및 열과, 낙과 방지 재배기술 개발 및 실증
감품종개발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소비자 만족 고품질 단감, 블루베리 품종개발 및 보급확대
◦ 감·소과류 유전자원 특성평가 및 육종 소재 발굴
핵심성과 ◦ 감 디지털 육종을 위한 주요형질 유전체 분석 및 분자표지 개발
◦ 소비자 만족 고품질 단감, 블루베리 우량계통 선발
◦ 신품종 보급 확대를 위한 지역별, 품종별 시범포 조성
대표과제 ◦ 단감 신품종 개발 및 감, 소과류 유전자원 평가
◦ 단감 신품종 주산지 현장연구
◦ 단감 신품종 이용촉진사업
◦ 프리미엄 수출 농산물 생산을 위한 신품종 수출 장애요인 해소 기술 개발
주요
연구내용
◦ 감 주요형질 표현형 데이터 구축 및 유전체 연관 분석(GWAS, QTL 등)
◦ 배수체 유기기술을 통한 감, 블루베리 배수체 육성 및 품종 개발
◦ 단감 신품종 현장 애로사항 극복 및 보급 확대
◦ 프리미엄 단감 수출확대를 위한 주요 품종 수출애로 해결
◦ 블루베리 등 소과류 자원보존포 조성 및 주요 형질 관련 표현형 데이터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