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비전 및 목표

원예·특용작물의 고품질 안전 농산물 생산 지원 강화
  • 첨단기술을 활용한 병해충 진단기술 개발 및 실용화
  • 환경친화적 병해충 방제자재 개발 및 방제체계 확립
  • 친환경 토양 양·수분 관리기술 및 토양개량 기술 개발

주요업무

  • 원예·특용작물 병해충의 진단·생리생태 및 저항성 검정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용작물 병해충의 예방 및 방제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용작물 바이러스 및 초미세 병원체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용작물 시비법의 개선과 토양 및 양·수분 관리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용작물 토양미생물의 농업적 이용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용작물 잡초 방제에 관한 시험·연구

주요성과

‘병해충 무인예찰’, ‘디지털방제력’ 및 ‘방제결정지원 앱’ 개발
  • 고추·복숭아 해충 무인예찰 장치 및 디지털방제력 개발
    • (무인예찰) 오토롤트랩 현장활용 성능 검정 및 기능 개선
      • * (현장검증) 통신정보 안정성 99.6%, 무인자동화 최장 280일 가능(7일 간격 설정)
    • (디지털방제력) 병해충 발생 및 생물계절 예측모형 연계 초기형 개발
      • * 기상데이터 기반 주요 병해충 발생위험, 방제적기 예측 등의 정보제공
    • (방제결정지원 앱) 과수 탄저병 방제의사결정지원 알고리즘 개발 및 기술이전
수경재배 양액전염성 병원균 정밀 진단 및 예방기술 개발
  • 주요 시설재배 작목 양액전염성 병원균(4종) 정밀 진단기술 개발
    • (대상) (토마토) 시들음병, 풋마름병, (파프리카) 뿌리이상비대병, (딸기) 시들음병
    • (진단기술) 정량 PCR(qPCR, Digital PCR) 이용 병원균 밀도 분석 및 검출한계 설정
  • 가열식 양액 살균장치의 토마토 병원균 사멸온도 조건 설정(시설연 협업)
    • (대상) 풋마름병·궤양병·시들음병 / (조건) 80℃, 3분 이상 / (효과) 병원균 사멸 99% ↑상향
과수·화훼·약용작물의 무병징 잠복 바이러스 정밀 진단기술 개발
  • 원예·특용작물 바이러스·바이로이드(51종) 정성·정량 진단기술 확립
    • (진단) 과수 3작목, 화훼 3작목, 약용 4작목 / (기술이전) 과수 바이러스 진단기술(2건)
우수사례 : 과수(사과·복숭아) 탄저병 방제결정지원 시스템 구축
  • 사과·복숭아 탄저병 방제결정지원 알고리즘 개발(‘24.6)
    • 사용자 과원위치·작물생육 등 입력시 탄저병 방제시기 및 방제약제 추천
  • 「배감 방제도우미」 앱에 알고리즘 탑재(‘24.8) 및 운영(‘24.12)
    • 현재 관리자 중심 비공개 운영 중이며, 테스트후 공개 예정(‘24.12)
      • ※ 2019년 원예원 특허출원 앱으로 ’‘21년 농협케미컬 통상실시 운영 중
      • ☞ 탄저병 외 주요 병해 동시방제용 앱 개발 및 보급(’25∼)
  • 우수사례 사진1
과수 탄저병 방제효과 증진기술 개발
  • (사과) 집중관리 약제방제구방제결정지원 앱 활용의 탄저병 방제효과 구명
    • (포장검증) 관행대비 방제효과는 동일, 방제횟수 1회↑상향(집중방제구 13회, 관행 12회)
  • (복숭아) 복숭아 탄저병균 유전자 계통분석 및 약제별 저항성 구명
고추 총채벌레 적용 약제 선발 및 외래 토마토뿔나방 발생 조사
  • 총채벌레 방제 효율 증진을 위한 저항성 및 발생 예측 연구
    • (약제선발) 스피네토람, 아바멕틴벤조에이트, 클로르페나피르 등 5종 효과 구명(’22)
  • 토마토뿔나방 무주·장수 지역 농가 발생 밀도 모니터링(’24.)
    • 발생최성기(8월 2주∼9월 2주) 트랩당 평균 194∼280마리 포획(6트랩/2주 간격)
논토양 고소득 원예작물 생산연구를 위한 농가실증 포장 조성
  • 논토양에서 원예작물 재배시 작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시설 토마토 시들음병 발생율) 논 25.6% >밭보다 큰 밭 9.1% (’20, 원예원 보고)
  • 논토양에서 원예작물 재배 확대를 위한 토양환경 개선 및 효과조사
    • (시설설치) 암거배수관(3m 간격, 70cm 깊이), 자동관수시스템 설치(김제)
    • (추진사항) 배수개선에 따른 강우·관수 시 토양수분변화 및 마늘생육 조사 중
채소 부산물의 자원화 조건 설정 및 작물 시용효과 검증
  • 토마토 줄기의 퇴비화 및 고춧대 부산물의 바이오차 제조 조건 설정
    • (퇴비화) 토마토 줄기, 톱밥, 가축분퇴비를 7:3:4, 7:3:6으로 혼합 시 양호
    • (바이오차) 고춧대 품질조건 양호(350℃에서 2시간, 450℃에서 1시간 탄화)
  • 고춧대 및 토마토 부산물 자원의 토양처리 시 토마토 생육 효과 평가
    • 고춧대와 토마토 줄기 자원(풋거름, 바이오차, 퇴비)의 작물 재배효과 검증 중
우수사례 : 복숭아 주산단지 탄저병균 약제별 저항성 평가
  • 복숭아 탄저병균 유전자 계통분석 및 약제별 저항성 구명
    • 감수성(플루아지남, 테부코나졸), 중도저항성(티오파네이트메틸)
      • * 복숭아 탄저병 효과 약제정보 제공 / 7개 주산지 256균주 시험
      • ☞ (영농활용) 탄저병에 효과적인 약제 정보 제공
  • 약제저항성비율(%) 피라클로스트로빈,티오파네이트메틸을 전남,경북,충북,경기,강원으로 구분지어 막대그래프로 표기
복숭아 급성고사 발생 현황 조사 추진
  • ’24년 복숭아 급성고사 발생과원율 28.8%, 피해과원 발생주율 2.0%
    • 9월 중순부터 발생 시작 (※ 23년 8월 하순과 비교하여 20여 일 늦음)
      • (조사지역) 13개 시군(남부 7개, 중·북부 6개) / (조사방법) 달관조사
      • (연구용역) 급성고사 대사체 분석 추진 / (예산) 공동사업 내역사업 추가 증액 국회 요청
원예작물 고품질 안정생산을 위한 물관리 자동화 기술
  • 무선 토양장력센서 기반 멀티제어 자동관수시스템 현장 실증
    • 채소작물에 대한 자동관수시스템의 활용성 검증을 위한 현장 평가
      • 마늘, 양파 자동관수 시 적정 토양수분장력 범위에서 토양수분상태 유지
      • (마늘 수량지수) 자동-스프링클러(137.7)>자동-점적(126.8)>관행-스프링클러(100)
      • (양파 수량지수) 자동-스프링클러(103.4)>관행-스프링클러(100)
기계 정식 확산을 위한 양파 시들음병 종합방제 기술 개발
  • 약제 살포(입제·엽면 살포) 방법별 효과 구명 및 생물 방제제 선발
    • 양파 정식 전 프로클로라즈망가니즈 입제 토양 혼화 및 생육기 추가 살포
      • 방제가: 정식전 입제 혼화 46.4% →변경 정식전 입제+생육기 입제 추가 살포시 82.1%
    • 양파 시들음병 방제용 길항미생물 선발 및 특허출원(’24)
      • 방제가(%): 온실검정 96.6 및 포장검정 83.3
우수사례 : 양파 기계정식을 위한 시들음병 종합방제 체계 구축
  • 양파 시들음병 약제 살포 방법별 효과 구명 및 종합방제 기술 개발
    • 프로클로라즈망가니즈 입제의 정식전, 생육기 추가 살포시 효과↑상향(’24)
    • 양파 시들음병 방제용 길항미생물 선발 및 특허출원(’24)
      • * (종합방제) 재사용 육묘판 소독 + 육묘기 약제방제 + 정식 전·후 약제 살포 방법 +그리고 길항 미생물
      • ☞ 양파 농작업 기계화 촉진을 위한 시들음병 종합방제 현장실증(’25)
  • 우수사례 사진3

중점추진계획

중점방향
  • 노동력 절감과 환경보전 등 사회적 현안 대응 강화
  • 농산물 안정생산지원을 위한 농업 현장 현안 과제 확대
추진계획
  • 미래 농업혁신 기반 마련(첨단기술 고도화 민간협력)
    • 주요 병해충 무인 예찰 및 디지털 방제력 개발
    • 수경재배 양액 내 병원균 간편 진단기술 개발
    • 아열대 작물 바이러스 예찰 및 진단키트 개발
  • 국가고유임무 정책지원 연구개발(난방제 병해충, 부산물 부가가치)
    • 난방제 병해충 관리기술 고도화
    • 논토양 고소득 원예작물 생산모델 개발
    • 채소 부산물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
  • 현장 중심 농업 현안해결 연구개발(병해충 방제 및 토양관리 효율화)
    • 과수 급성고사 경감기술 개발
    • 양파 시들음병 종합방제 기술 현장실증
    • 원예작물 안정생산을 위한 물관리 자동화기술

전문연구실

병해충기초기반연구실
원예특작환경과 안내

연구목표,핵심성과,대표과제,주요연구내용 상세구분

연구목표
  • ◦ 주요 원예작물 병해 모니터링 및 병원균 분류 동정, 신속 진단 기술 개발
  • ◦ 원예작물 육성 품종의 병 저항성 평가 및 친환경 방제 기술 개발
  • ◦ 바이러스·초미세병원체 진단기술 및 농업현장 생태학적 연구
  • ◦ 원예·특용작물 바이러스병 예찰, 모니터링, 피해예방 및 방제 기술 개발
핵심성과
  • ◦ 농업현장 병해충 신속 진단 및 정보 확산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 ◦ 수경재배 양액 내 병원균 진단기술 개발
  • ◦ 복숭아 탄저병 방제효율 증진기술 개발 및 급성고사 원인 구명
  • ◦ 원예작물 바이러스 현장 진단키트 개발 및 현장활용성 검증
  • ◦ 신 문제 바이러스 분리 동정 및 피해 특성 조사
  • ◦ 과수 바이러스 유전자 다중 정밀진단 기술 개발 및 실용화
대표과제
  • ◦ 원예작물 식물병원성 미생물 수집. 분류, 보존 및 활용 기반 구축
  • ◦ 복숭아 급성고사 원인 구명 연구
  • ◦ 순환식 수경재배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양액 내 병원균 관리기술 개발
  • ◦ 아열대 작물 바이러스병 발생 조사 및 진단 기술 개발
주요연구내용
  • ◦ 원예작물 병해충 임상진단 및 주요 병해충 발생현황 모니터링
  • ◦ 원예작물 병해의 분자생물학적 진단과 병원성 관련 유전자 기능분석
  • ◦ 주산단지별 복숭아 탄저병균의 약제저항성 발현 여부 분석
  • ◦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의 양액 내 병원균 진단기술 개발
  • ◦ 성페로몬 이용 토마토뿔나방 방제기술 개발
  • ◦ 고추, 토마토, 박과작물 등 신(新)문제 바이러스병 발생 및 피해 특성 조사
  • ◦ 고위험도 바이러스-매개충의 전염 기작 연구 및 전염원 차단·방제기술 개발
  • ◦ 항바이러스 물질 탐색, 바이러스 경감제 소재 개발 및 현장 실용화 연구
디지털방제연구실
디지털방제연구실 안내

연구목표,핵심성과,대표과제,주요연구내용 상세구분

연구목표
  • ◦ 원예⋅특용작물의 병해충 무인예찰 체계 구축
  • ◦ 원예⋅특용작물의 병해충 발생 예측 모델 개발
  • ◦ 원예⋅특용작물의 병해충 방제적기 예측 및 방제 약제 추천 알고리즘 개발
  • ◦ 모형 플랫폼 및 방제의사결정 전문가 시스템 구축
핵심성과
  • ◦ 고추, 토마토 미소해충 대상 ‘오토롤트랩’의 무인 예찰 효과 검증
  • ◦ 사과·배 조팝나무진딧물에 대한 농약 저항성 모니터링
  • ◦ AI 기반 해충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복숭아, 포도 해충 영상정보 획득
대표과제
  • ◦ 고추, 복숭아 주요 병해충 무인예찰 체계 구축 및 디지털방제력 개발
주요연구내용
  • ◦ 과수류의 해충 영상정보 확보 및 진단기술 개발
  • ◦ 농작물 주요 해충에 대한 농약 저항성 조사
  • ◦ 기후변화에 따른 채소, 과수의 주요 관리병해 방제효율 증진기술 개발 연구
토양관리연구실
토양관리연구실】 안내

연구목표,핵심성과,대표과제,주요연구내용 상세구분

연구목표
  • ◦ 원예 토양환경 모니터링 및 개선
  • ◦ 원예작물 양·수분관리 자동화
  • ◦ 시설 토양 염류피해 경감 연구
  • ◦ 원예 부산물 자원화·이용 연구
핵심성과
  • ◦ 노지 과수 양·수분 관리 자동화
  • ◦ 채소 부산물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
  • ◦ 원예부산물 바이오차 이용 효과 및 투입 방법 구명
  • ◦ 주요 과수 신품종 재배지의 토양특성과 과실품질과의 관계 구명
대표과제
  • ◦ 포도, 마늘 등 원예작물 안정생산을 위한 수분관리 시스템 연계 토양관리 기술 개발
주요연구내용
  • ◦ 가지과 채소류 부산물 자원화 및 활용 연구
  • ◦ 주요 과수 신품종의 과일 품질에 미치는 토양환경 요인 분석
  • ◦ 기후변화 대응 원예작물 지속 생산을 위한 토양 탄소 관리기술 개발
  • ◦ 토양 센서 활용 노지 복숭아의 관수·관비기술 개발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All Right reserved.
(국가심볼) 농촌진흥청 이 누리집은 농촌진흥청 소속기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