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 ◦ 주요 원예작물 병해 모니터링 및 병원균 분류 동정, 신속 진단 기술 개발
- ◦ 원예작물 육성 품종의 병 저항성 평가 및 친환경 방제 기술 개발
- ◦ 바이러스·초미세병원체 진단기술 및 농업현장 생태학적 연구
- ◦ 원예·특용작물 바이러스병 예찰, 모니터링, 피해예방 및 방제 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 농업현장 병해충 신속 진단 및 정보 확산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 ◦ 수경재배 양액 내 병원균 진단기술 개발
- ◦ 복숭아 탄저병 방제효율 증진기술 개발 및 급성고사 원인 구명
- ◦ 원예작물 바이러스 현장 진단키트 개발 및 현장활용성 검증
- ◦ 신 문제 바이러스 분리 동정 및 피해 특성 조사
- ◦ 과수 바이러스 유전자 다중 정밀진단 기술 개발 및 실용화
|
대표과제 |
- ◦ 원예작물 식물병원성 미생물 수집. 분류, 보존 및 활용 기반 구축
- ◦ 복숭아 급성고사 원인 구명 연구
- ◦ 순환식 수경재배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양액 내 병원균 관리기술 개발
- ◦ 아열대 작물 바이러스병 발생 조사 및 진단 기술 개발
|
주요연구내용 |
- ◦ 원예작물 병해충 임상진단 및 주요 병해충 발생현황 모니터링
- ◦ 원예작물 병해의 분자생물학적 진단과 병원성 관련 유전자 기능분석
- ◦ 주산단지별 복숭아 탄저병균의 약제저항성 발현 여부 분석
- ◦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의 양액 내 병원균 진단기술 개발
- ◦ 성페로몬 이용 토마토뿔나방 방제기술 개발
- ◦ 고추, 토마토, 박과작물 등 신(新)문제 바이러스병 발생 및 피해 특성 조사
- ◦ 고위험도 바이러스-매개충의 전염 기작 연구 및 전염원 차단·방제기술 개발
- ◦ 항바이러스 물질 탐색, 바이러스 경감제 소재 개발 및 현장 실용화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