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연구목표 |
◦ 준고랭지 여름배추 안정생산 기술 및 배추 품종(소재) 개발 ◦ 주요 노지채소 기후변화 대응 이상기상 피해 평가 및 경감기술 개발 ◦ 주요 채소 육묘 표준화 체계 구축 및 GAP 환경 관리 ◦ 채소생육 국가참조표준 개발 |
---|---|
핵심성과 |
◦ 여름배추 수급안정을 위한 준고랭지 안정생산 기술 확립 ◦ 배추 생리장해(팁번) 발생조건 및 원인 구명 ◦ 배추 내건성 우수 품종(소재) 개발 |
대표과제 |
◦ 준고랭지 여름배추 신작형·고온경감기술 개발 및 지역별 적응연구 ◦ 준고랭지 논 토양 대상 여름배추 조기출하 생산체계 개발 ◦ 재배안정성 우수 엽근채소 육종소재 및 육종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준고랭지 배추 신작형 및 고온경감기술 종합 실증 및 시범사업 추진 ◦ 준고랭지 논 토양 대상 여름배추 조기출하 생산체계 개발 ◦ 배추 기후변화에 따른 채소 적응 비적응 생산량 변화 실태 조사 ◦ 배추 내건성, 재배안정성 우수 자원 선발 및 육종소재 개발 ◦ 이상기상에 따른 고추, 양파의 생리반응 구명 및 피해경감 기술 탐색 ◦ 배추 생리장해(팁번) 발생 환경(토양수분, 기온) 및 원인 구명 ◦ 주요 채소작물 육묘 GAP 관리기준 및 묘소질 판단 전문가별 중요도 분석 ◦ 채소 생육 국가참조표준데이터 개발 및 보급 ◦ 주요 채소(배추,무) 디지털트윈 구축 및 안정생산 알고리즘 개발 |
연구목표 |
◦ 고추 생력형 육종소재, 재배기술 개발 ◦ 센서, 영상, 시설 활용 스마트 안정생산기술 개발 |
---|---|
핵심성과 |
◦ 기계수확 적합 초형 특성평가 및 내병성 도입 기반 구축 ◦ 고추 수확 생력화를 위한 신작형 적용성 평가 |
대표과제 |
◦ 기계수확 적합 고추 생력형 육종소재 및 신작형 개발 ◦ 수확 효율 증진을 위한 고추 생력재배 기술 및 딸기 안정생산 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노동력 절감을 위한 고추 조생종 및 과탁분리 우수 육종소재 개발 ◦ 기계수확 적합 고추 생력형 육종소재 및 신작형 개발 ◦ 기능성 대사체연계 고추 유전체·표현형 정보 고도화 ◦ 데이터 기반 비가림 시설재배 고추 정밀 양수분관리 기술 개발 ◦ 고추 생육과 양분관리를 위한 이미지 DB 구축 및 진단모델 선발 ◦ 고추 자동정식기, 보온터널설치기 현장성능 평가와 재배양식 연구 ◦ 이상기상 대응 수직농장 활용 딸기 우량묘 생산을 위한 육묘시스템 개발 ◦ 프리미엄 수출 딸기 생산을 위한 신품종 딸기 디지털 재배기술 개발 ◦ 인공환경 기반 고품질 딸기 생육제어 기술 개발 |
연구목표 |
◦ 주요 채소의 유전체정보 기반 분자육종 체계 구축 ◦ 채소 작물의 신육종기술(NBT) 개발 기반 구축 |
---|---|
핵심성과 |
◦ 종자기업 현장수요 반영 채소 마커세트 개발 및 실용화 ◦ 딸기 병저항성·품질 연관 훈련집단 및 오믹스데이터 축적 |
대표과제 |
◦ 국내 딸기 디지털육종 전환을 위한 다중오믹스 및 신육종 핵심기술 개발 ◦ 양파 핵심집단 구축 및 세대단축 마커세트 개발 ◦ 유전자교정 기반 병해충저항성 배추 육종소재 개발 및 활용 |
주 요 연구내용 |
◦ 딸기 오믹스통합데이터셋 구축을 통한 형질선발 기술 개발 ◦ 수박 덩굴마름병 저항성 연관 유전자 기반 분자마커 개발 ◦ 서양계 호박 단절간 연관 분자마커 개발 및 후보유전자 탐색 ◦ 양파 유전체 기반 유용 SNP 선발 및 마커세트 개발 ◦ 유전자교정 기반 바이러스 저항성 배추 육종소재 개발 |
연구목표 |
◦ 이상기상 대응 내재해성·내병성 채소 육종소재 개발 ◦ 영상기반 채소 표현형 분석기술 개발 |
---|---|
핵심성과 |
◦ 고당도이면서 향이 우수한 촉성재배용 딸기 ‘핑크캔디’ 품종출원 ◦ 수박 덩굴쪼김병 race 1 저항성 판별 분자표지 및 중간모본 ‘원예513’ 육성 ◦ 초분광영상 활용 배추 내건성 정밀 판별 기술 개발 |
대표과제 |
◦ 겨울철 기형과 발생이 적은 고당도 딸기 품종 육성 ◦ 수박 복합 병저항성 및 바이러스 저항성 육종 소재 개발 ◦ 영상기반 배추 내재해성 평가기준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기형과 발생 적고 고당도 및 향이 우수한 딸기 신품종 개발 ◦ 수박 주요 병저항성(흰가루병, 덩굴쪼김병, CGMMV) 육종소재 개발 ◦ 배추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자원 선발 및 조기평가 기술 개발 ◦ 무 내건성 우수 육종소재 및 선발기술 개발 ◦ 영상기반 배추 내재해성(내건성) 평가기준 개발 및 DB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