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비전 및 목표

  • 식물-인간-환경이 공존하는 도시농업 가치확산
    • 도시농업 참여자 : (’23) 1,760천명 → (’27) 300만명
    • 도시농업 공동체 : (’23) 660개 → (’27) 830
    • 먹고 → 먹고, 보고, 즐기는 도시농업 콘텐츠 개발

주요업무

식물의 가치발굴과 이용확산
  • 원예식물의 환경개선 및 공기정화 연구
  • 반려식물의 가치 발굴 및 활용기술 연구
  • 텃밭 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원 발굴 및 체계화
한국형 도시텃밭정원 모델 개발
  • 정원과 텃밭 기능을 활용한 실내·외 공간모델 개발
  • 교육․체험 융합형 도시농업 콘텐츠 개발
  • 환경친화적 식재계획 및 관리기술 개발
기능성 치유자원 발굴 및 활용 기술 개발
  • 기능성 치유농업 자원 발굴 및 단위 활동 기술 개발
  • 치유농업 서비스 표준화를 위한 기준설정 연구
  • 치유농업 산업 확대를 위한 산업화 기술 개발 연구
대상자 맞춤형 치유농업 서비스 모델 개발
  • 특수목적 치유형 치유농업 서비스 모델 발굴 연구
  • 건강증진 예방형 치유농업 콘텐츠 개발 및 체계화
  • 치유농업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제도 및 정책 지원 연구

주요성과

도시농업 국민 체감 확산을 위한 연구 성과
도시농업 국민 체감 확산을 위한 연구 성과

환경개선 모델 개발,반려식물 활용 기술,도시농업 맞춤형 모델,지역활력타운 적용모델,치유농업 운영·평가 기준,치유식물자원 발굴,치유농업 콘텐츠,표준화를 위한 DB구축 년도별(2023~2025) 상세구분

구분 2023 2024 2025
환경개선 모델 개발 3 5 7
반려식물 활용 기술 1 3 7
도시농업 맞춤형 모델 23 25 27
지역활력타운 적용모델 - 계획수립 2
치유농업 운영·평가 기준 - 2 4
치유식물자원 발굴 48 50 53
치유농업 콘텐츠 26 32 40
표준화를 위한 DB구축 100 150 200
실내정원 활동에 의한 인간-식물의 반려 가능 요인 구명
  • 식물과의 반려 관계, 교감 형성을 위한 반려 요인(4요인) 분류
    • (반려요인) ①식물의 감각기능, ②교감활동, ③표현형, ④생명체 인식
      • 반려식물 분류, 조건 및 인간-식물 간 반려 요인 등 ‘반려식물 길라잡이’ 발간(’24, 1건)
    • 식물의 감각기능[시각(광), 후각(BVOC, 휘발성 유기화합물)] 탐색
      • (시각) 생존에 필요한 기주식물 탐색을 위한 시각기능의 광 조건 구명
        • 상층부 식물 존재 시 하층부 환경(그늘지고 어두운 곳): R/Fr, 광량(TPFD) 모두 감소
        • ☞ 그늘의 음영 정도로 식물 탐색: R/Fr 0.5(92%) > 1.0(0), 광량 50(45%) >150(9)
      • (후각) 곤충 가해에 따른 식물 상호 간 정보전달 기체 성분 방출량 측정
        • 거세미유충 가해 시 토마토 MeJA 방출 59% 증가: 2.2ppb(미가해) ↔ 3.5ppb(가해)
    • 반려식물 표현형에 따른 감정·감각 요인 구명 및 추천 프로그램 개발
      • (요인) 인간의 감정 상태를 유발하는 식물 표현형 이미지 구명
        • (상관성)감정외로움감각어두움(r=0.47***), 감정우울함 감각어두움(r=0.41***) 감정불안함 감각시끄러움(r=0.34***)
      • (기술개발) 감정, 기능 및 기르기에 따른 반려식물 추천 프로그램 개발
        • (질문유형) 정서안정, 공기정화, 인테리어, 생육환경, 재배경험 5단계
        • ☞ ‘맞춤 반려식물 추천’ 및 ‘이용자의 반려식물 유형’(12가지) 제공, 시범운영(’24, 농식품부)
  • 음영 정도 통한 기주식물탐색(시각기능) 음영 정도 통한 기주식물탐색(시각기능)
  • 곤충 가해에 따른 토마토 MeJA 방출량 비교 곤충 가해에 따른 토마토 MeJA 방출량 비교
  • 반려식물 추천 프로그램 시범 운영 반려식물 추천 프로그램 시범 운영
원예자원 활용 정신건강증진 치유농업 기술 개발
  • 식물의 생애주기를 활용한 치유농업 단위기술 및 프로그램 개발
    • (단위기술) 심리정서지원 단위활동 콘텐츠 4종 개발(특허1, 영농 4)
      • 사회화 과정으로의 ‘이식활동’ 부교감활성 4%↑상향, ‘유인활동’ 스트레스 지수 17%↓하향
    • (조현병) 재‧내원 환자 약물치료 대체재로의 치유농업 활용 기술
      • (효과) 양성증상 11%↓하향, 음성증상 15%↓하향, 일반정신병리증상 11%↓하향, 조현병 증상 종합 12%↓하향
      • ※ (양성증상) 환각, 망상 등, (음성증상) 감정의 둔마, 무쾌감 등, (일반)정신운동지체 등
    • (우울)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우울 치료 효과에 대한 원리 구명
      • (뇌파) 우울감 35%↓하향 → 우울증의 충동성을 억제하는 전전두엽 상대적세타파 45%↑상향
      • (대뇌) ‘파종’시 심을 종자를 결정하고 집는 과정에서 결정, 주의이성의 사고로 전전두엽 활성도 측정(fNIRS): 무처리 8.9 → 결정 11.2, 주의 10.9
      • ☞ 변연계에서 우울감 반추감성 → 전전두엽의 활성화이성로 우울감 치유
  • 의료기관 전문인력(주치의, 임상심리사 등)을 활용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
    •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 협력, 인지행동‧긍정심리중재 융합 기술 개발
      • 병의원 재‧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주치의가 프로그램 효과 측정
      • * 처리 : ① 관행치료(약물, 정신치료_상담 등) 45명 ② 관행치료 + 치유농업 45명
      • * 효과 : 관행치료 대비 맥박다양성 37%↑상향, 우울감 8%↓하향, 조현병증상 4%↓하향
  • 의료진과의 협업 의료진과의 협업
  • 전전두엽 뇌활성(fNIRS) 측정 전전두엽 뇌활성(fNIRS) 측정
  • 뇌파측정 뇌파측정
  • 자율신경활성 측정 자율신경활성 측정

중점방향

  • 실내외 환경개선 모델 개발 및 반려식물의 활용기술 개발
    • 환경개선 모델 개발 : (’23) 3건 → (’24) 5 → (’25) 7 (누적)
    • 반려식물 활용 기술 : (’23) 1건 → (’24) 3 → (’25) 7 (누적)
  • 도시농업 맞춤형 모델: (’23) 23종 → (’24) 25 → (’25) 27
  • 지역활력타운 적용모델 (’24) 계획수립 → (’25) 2
  • 원예작물 활용 치유농업 효과검증 및 원리 구명
    • 치유농업 운영․평가 기준: (’24) 2 → (’25) 4 (누적)
    • 치유식물자원 발굴: (’23) 48 → (’24) 50 → (’25) 53 (누적)
  • 원예작물 활용 치유농업 콘텐츠 개발
    • 치유농업 콘텐츠: (’23) 26 → (’24) 32 → (’25) 40 (누적)
    • 표준화를 위한 DB 구축 : (’23) 100 → (’24) 150 → (’25) 200 (누적)

추진계획

  • (바이오월) 산업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최적화 기술 개발
  • (반려식물) 인간-식물간 반려관계 정량화 및 활용기술 개발
  • (늘봄학교) 그린학습공간 조성을 위한 교육형 텃밭모델 개발
  • (지역소멸) 관계인구 창출을 위한 체류형 텃밭모델 개발
  • (치유기작) 농업기반 치유 효과에 대한 원리 구명
  • (표준화) 치유농업 타당성 확보를 위한 운영․평가 기준 도출
  • (콘텐츠) 치유 효과 기반의 단위기술 및 콘텐츠 풀(Pool) 구축

전문연구실

도시농업기반연구실
도시농업기반연구실 안내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 도시공간 내 헬스케어 식물의 가치 발굴과 이용 확산
  • ◦ 한국형 도시농업모델 개발 및 현장 확산
핵심성과
  • ◦ 도시농업 맞춤형 모델 개발
  • ◦ 생활환경개선 식물소재 활용 기술 개발
대표과제
  • ◦ 생태·자원순환 텃밭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주요연구내용
  • ◦ 인공기반 식물소재 및 탄소저감 등 환경개선 성능평가
  • ◦ 도시농업 식물소재 발굴 및 활용기술개발
  • ◦ 실내·외 정원식물의 공기정화 연구
  • ◦ 식물의 반려기능 연구
  • ◦ 수요자 맞춤형 도시텃밭 공간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
  • ◦ 교육·체험형 도시농업 콘텐츠 개발 및 체계화
치유농업기반연구실
도시농업기반연구실 안내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 농촌·농업자원의 다원적 기능 활용 기술 개발
  • ◦ 전후방 치유산업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효과검증
  • ◦ 수요자 맞춤형 치유농업 사업화 모델 및 개발
핵심성과
  • ◦ 치유농업 콘텐츠 안정적 효과 확보를 위한 운영 및 평가 기준 제안
  • ◦ 사회서비스 연계 치유농업 사업모델 개발
대표과제
  • ◦ 치유농업 콘텐츠 효과평가 기술개발 및 운영 기준설정
주요연구내용
  • ◦ 치유농업 확산을 위한 효과검증 및 표준화 연구
  • ◦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농업활동 표준 콘텐츠 개발
  • ◦ 치유농업 자원 발굴 및 사업모델 개발
  • ◦ 치유농업-사회서비스 연계 지원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