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주요임무 |
◦ 전략품목의 품종육성 및 육종기술 개발 ◦ 버섯 유전자원 수집․보존․분류․평가․분양 ◦ 버섯의 유용형질 해석에 의한 육종 효율성 제고 ◦ 유전체, 표현체 등 분석을 통한 디지털 육종기술 개발 |
---|---|
성과목표 |
◦ 수요자 맞춤 국산품종 개발:(’25) 2건 ◦ 국산 품종 보급률(%):(’24) 63.1 → (’25) 63.3 ◦ 유전자원 보유수: (’25) 7,900, 자원·표본 DB 구축(∼’26) |
대표과제 |
◦ 버섯 전략품목의 품종 및 육종기술 개발 ◦ 버섯 디지털 육종을 위한 표현체 기술 활용 핵심집단 구축 ◦ 버섯 핵심자원 구축 및 안전보존 기술 개발 |
주요 연구내용 |
◦ 양송이류 디지털 육종 및 품종개발 연구(오연이) ◦ 느타리류 디지털 육종 및 품종개발 연구(오민지) ◦ 팽이, 느티만가닥버섯 디지털 육종 및 품종개발 연구(임지훈) ◦ 약용버섯 디지털 육종 및 품종개발 연구(우성이) ◦ 유전자원 특성평가, 버섯 자원 분류 및 표본 유지 관리(이은지) ◦ 버섯 유전자교정 기술 개발(김민식) ◦ 버섯 표현체 및 유전체 분석(최두호) |
주요임무 |
◦ 버섯 디지털 생육모델 구축 및 병해충 등 안전관리기술 개발 ◦ 버섯 배지자원 발굴 및 완성형배지 표준화 연구 ◦ 버섯 수확후 배지 활용 선순환 모델 개발 연구 ◦ 버섯 자원 소재화 및 산업화 기반기술 개발 |
---|---|
성과목표 |
◦ 버섯 스마트 생육예측도 정밀화 :(’23) 60→ (’25) 85% ◦ 국내 농산부산물 버섯 배지 자원 : (’25) 3종 ◦ 균사체 소재 용도다양화를 위한 최적배지 선정 : (’25) 5건 |
대표과제 |
◦ 딥러닝 기반 영상데이터 활용 느타리버섯 생육예측 및 병해충 진단기술 개발 ◦ 양송이 완성형배지 안정공급 생산기술 개발 ◦ 원예특용작물 부산물의 버섯 배지 자원화 및 균사체 이용 적합성 평가 |
주요 연구내용 |
◦ 딥러닝 기반 디지털 영상분석기술 고도화(박혜성) ◦ 배지자원 발굴 및 완성형배지 안정 생산기술 개발(조성연, 박혜성) ◦ 버섯 위해미생물 대응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기반 연구(한경숙) ◦ 버섯자원 소재화 및 대량생산 산업화 기반 구축(안기홍) ◦ 버섯재배 부산물 활용 자원화 기반 기술 개발(한경숙, 안기홍) ◦ 면적기능성 버섯자원 선발 및 발표추출물 소재화 연구(이강효) ◦ AI활용 느타리 병해 자동진단 시스템 연구(김자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