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인삼특작부

비전 및 목표

버섯 산업의 부가가치 향상 및 신시장 구현
  • 버섯산업 발전 목표 : (’21) 7.1천억 → (’25) 8천억
    • 유전자원 수집 및 DB화 : (’21) 7,475건(누적) → (’23) 7,685 → (’25) 7,900
    • 버섯 스마트 생육모델 고도화 : 정밀도(’23) 60% 미만 → (’25) 85
    • 국산품종 보급률 : (’20) 58.5 → (’22) 61.3 → (’24) 63.1%

주요업무

  • 버섯의 품종육성 및 육종기술 개발
  • 버섯자원의 수집ㆍ동정ㆍ평가ㆍ활용 및 안전보존
  • 버섯의 생리생태ㆍ재배기술 및 병해충 관리에 관한 시험·연구
  • 버섯의 생산성 및 부가가치 향상 기술 개발
  • 버섯의 배지 자원 개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주요성과

디지털육종 기술 개발 및 전략품목 품종 육성
  • (디지털육종) 버섯 표현체 연구 및 유전자 교정기술 개발
    • 품목별 개체 및 집단 영상기반 팽이 및 느타리 표현형 분석
    • * 개체분석: 외형, 색상 등 정확도 85% * 집단분석: 분석모델 정확도 90%(농과원협업)
    • 영지 나노파티클 적용 유전자교정체 대량 확보 기술
    • * 미백활성 물질 생합성 관여 유전자 형질전환체 15점 분리
  • (품종육성) 현장 수요를 반영한 국내외 적합 품종 개발
    • (품종개발) 수출용 골드팽이(‘아람24’)와 흰색 느티만가닥버섯(‘백마루24’)
    • (계통육성) 양송이 포토벨로 교잡계통 및 백색 팽이 우량계통 선발
  • (품종보급) 수출 버섯 품목 다변화 및 수출국 확대
    • 이색버섯 골드팽이 ‘아람’ 및 종간교잡 ‘설원’ 국내외 보급
    • (아람) 생산(톤/월): (‘23) 2.8 → (‘24) 10.8, 전용식당 납품, 수출(3개국, 12톤)
    • (설원) MD·소비자 평가(10월), 대형마트 시범판매(11월), 수출(2개국, 12월 첫 시도)
디지털 활용 스마트팜 구축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 (디지털) 느타리 재배용 2세대 스마트팜 기반 구축 연구
    • 개발 분석모델3개 현장 적용을 통한 재배환경 통합관리체계 구축
    • 관리자 없이도 관행수준의 생산성과 품질확보 가능 (정확도 70%미만 → 83%)
    • 딥러닝 기반 디지티러 영상분석기술 활용 생육모델 고도화
    • 느타리 생육일수별 데이터 수집을 통한 영상분석(산업체 협력연구)
  • (재배) 수입대체 신규 배지원료 발굴 및 완성형배지 재배방법 개선
    • 농식품 부산물 활용 버섯배지 자원화 가능한 대체원료 선발
    • 국산 양송이 완성형배지 전용 재료 선발 및 균사배양 조건 개선
    • (소재) 귀리짚 등 5종, (필름) 투명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무공필름 0.03㎜
  • (위생관리) 수출 팽이버섯 유해미생물 안전관리를 위한 기반연구
    • 재배단계별(균긁기, 물주기) 제어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 버섯 유전자교정기술 개발버섯 유전자교정기술 개발
  •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24’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24’
  • 골드팽이 ‘아람24’골드팽이 ‘아람24’
  • 느타리 생육모델 농가 적용느타리 생육모델 농가 적용
자원활용 기반 구축 및 균사체 소재화 기술 개발
  • 고유 야생자원 수집과 민관 등 균주 분양 추진
    • 야생 자원 수집·보존 및 연구용 균주 분양
    • * 확보: 지리산 등 62점, 분양: 연구용 균주 분양기관 56점
  • 버섯을 활용한 친환경 산업용 신소재 개발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
    • 국내 토종 야생버섯기계층버섯 대상 세계 최초 가죽 소재 실용화
    • 친환경 버섯 균사체 최적 배양 및 가공 기술 개발
    • * 가죽: 면섬유 동시배양 기술 등 의류용 피혁류 권장기준 대비 1.5∼3배 강도 우수
    • * 포장: 단계별 배양법 등 소재·외부 균사 치밀도 개선 및 배양속도 향상
  • 민관 협력을 통한 버섯균사체 이용 포장소재 산업화 기반 확보
    • 버섯농가-새싹기업 대량 배양시설 공동 활용 통한 소재 생산성 10배 증가
  • 야생자원 수집야생자원 수집
  • 면섬유 동시배양기술 개발면섬유 동시배양기술 개발
  • 포장소재 대량배양포장소재 대량배양

중점추진계획

중점방향
  • 디지털육종기술 확보 및 실용화로 국내외 수요자 맞춤 품종육성
  • 지속가능한 농업 구현을 위한 생산의 디지털 안정생산 추진
  • 버섯 산업 확대를 위한 먹거리에서 산업 소재화로 연구영역 확장
추진계획
  • 디지털육종 기술 개발 및 전략품목 품종 육성
    • 육종연한 단축 및 산업용 계통 개발
    • 현장 맞춤형 및 기능성 강화 품종 개발
    • K-머쉬룸 가공품 개발 및 시범수출 확대
  • 버섯 스마트 생육모델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 딥러닝 기반 디지털 영상분석기술 고도화
    • 배지자원 발굴 및 완성형배지 안정생산기술 개발
    • 버섯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기반 연구(병해충, 위생관리)
  • 자원활용 기반 구축 및 균사체 소재화 기술 개발
    • 유전자원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도 증대
    • 버섯자원 소재화 및 대량생산 산업화 기반 구축

전문연구실

유전육종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주요임무 ◦ 전략품목의 품종육성 및 육종기술 개발
◦ 버섯 유전자원 수집․보존․분류․평가․분양
◦ 버섯의 유용형질 해석에 의한 육종 효율성 제고
◦ 유전체, 표현체 등 분석을 통한 디지털 육종기술 개발
성과목표 ◦ 수요자 맞춤 국산품종 개발:(’25) 2건
◦ 국산 품종 보급률(%):(’24) 63.1 → (’25) 63.3
◦ 유전자원 보유수: (’25) 7,900, 자원·표본 DB 구축(∼’26)
대표과제 ◦ 버섯 전략품목의 품종 및 육종기술 개발
◦ 버섯 디지털 육종을 위한 표현체 기술 활용 핵심집단 구축
◦ 버섯 핵심자원 구축 및 안전보존 기술 개발
주요
연구내용
◦ 양송이류 디지털 육종 및 품종개발 연구(오연이)
◦ 느타리류 디지털 육종 및 품종개발 연구(오민지)
◦ 팽이, 느티만가닥버섯 디지털 육종 및 품종개발 연구(임지훈)
◦ 약용버섯 디지털 육종 및 품종개발 연구(우성이)
◦ 유전자원 특성평가, 버섯 자원 분류 및 표본 유지 관리(이은지)
◦ 버섯 유전자교정 기술 개발(김민식)
◦ 버섯 표현체 및 유전체 분석(최두호)
생산이용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주요임무 ◦ 버섯 디지털 생육모델 구축 및 병해충 등 안전관리기술 개발
◦ 버섯 배지자원 발굴 및 완성형배지 표준화 연구
◦ 버섯 수확후 배지 활용 선순환 모델 개발 연구
◦ 버섯 자원 소재화 및 산업화 기반기술 개발
성과목표 ◦ 버섯 스마트 생육예측도 정밀화 :(’23) 60→ (’25) 85%
◦ 국내 농산부산물 버섯 배지 자원 : (’25) 3종
◦ 균사체 소재 용도다양화를 위한 최적배지 선정 : (’25) 5건
대표과제 ◦ 딥러닝 기반 영상데이터 활용 느타리버섯 생육예측 및 병해충 진단기술 개발
◦ 양송이 완성형배지 안정공급 생산기술 개발
◦ 원예특용작물 부산물의 버섯 배지 자원화 및 균사체 이용 적합성 평가
주요
연구내용
◦ 딥러닝 기반 디지털 영상분석기술 고도화(박혜성)
◦ 배지자원 발굴 및 완성형배지 안정 생산기술 개발(조성연, 박혜성)
◦ 버섯 위해미생물 대응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기반 연구(한경숙)
◦ 버섯자원 소재화 및 대량생산 산업화 기반 구축(안기홍)
◦ 버섯재배 부산물 활용 자원화 기반 기술 개발(한경숙, 안기홍)
◦ 면적기능성 버섯자원 선발 및 발표추출물 소재화 연구(이강효)
◦ AI활용 느타리 병해 자동진단 시스템 연구(김자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