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비전 및 목표

아열대작물 신수요 창출 및 기후변화 대응 선도
  • 아열대작물 안정생산 기술개발 및 유망 전략작목 육성
  • 원예·특용작물 생산변동·예측기술 개발 및 활용성 제고

연혁

  • 1956. 09. 중앙축산기술원 제주지원 설립(농림부령제43호)
  • 1962. 03. 농촌진흥청 제주시험장(농림부 제주목장 통합)
  • 1994. 12. 농촌진흥청 제주농업시험장(대통령령 제14455호)
  • 2004. 01. 난지농업연구소로 명칭 변경(대통령령 제18212호)
  • 2008. 10.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통합(대통령령 제21078호)
  • 2015. 01.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로 명칭 변경(농식품부령 제128호)
  • 2020. 10.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청사 이전

주요업무

  • 아열대작물 유전자원 수집·보존 및 품종육성·이용 연구
  • 아열대작물 기후 적응성 평가 및 재배기술 연구
  • 차나무 품종육성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 국내 환경 적응형 키위 신품종 육성
  • 기후변화 대응 작물 영향평가, 생산성 예측기술 개발 연구
  • 기후변화 대응 병충해 영향평가 및 아열대작물 병해충 방제체계 구축
  • 남부지방 적응 원예작물의 품종육성 및 재배기술개발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작물의 남부 지역 적응성 평가에 관한 시험․연구

주요성과

아열대작물 품종개발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차나무 내한성·고기능성 품종 육성
  • 국내외 수집 차나무 유전자원 특성 평가: (’22, 누계) 100자원 → (’24) 300
  • 차나무 고품질 품종육성 및 보급
  • * 감칠맛 높은 노란 잎 차나무 ‘금다’ 품종보호출원 및 통상실시
  • * ‘원교 차-2호’ 특허출원: 대엽, 고카테킨(‘상목’ 대비 20%↑)
아열대작물 우량계통 평가·선발 및 현장애로 해결기술 개발
  • (아열대채소) 보급유망 얌빈, 고기능성 강황 적응성 평가
  • (얌빈) 출아(일평균 23℃) 및 괴경 성장(26℃) 적정 온도 설정
  • (강황) 선발 우량계통(JC-12) 및 보배1호(대조) 국내 환경적응성 평가
  • * (강황) 선발 우량계통(JC-12) 및 보배1호(대조) 국내 환경적응성 평가
(아열대과수) 우량계통 선발 및 농가 애로해결 기술개발
  • (파파야) 디저트용 우량계통 1차 선발: 당도 12.3°Brix 이상, 이취 거의 없음, 과중 0.5~1.3kg
  • (올리브) 품종별 수확시기 구명, 내한성 평가 및 6차 산업용 제품개발
    • * 내한성 평가: Arbequina, Verdale 2품종 남해안(한계온도 -5℃) 에서 수확 가능함
  • (망고) 수확단계·저장온도별 최대 저장가능일수 및 과실 품질 평가
    • * 저장일수: 8℃ 저장 시 최대 23일 저장 가능(만개 후 139일~143일 수확)
  • 차나무 신품종 ‘금다’차나무 신품종 ‘금다’
  • 제주지역 강황 수확제주지역 강황 수확
  • 파파야 우량계통 JCPRH-01파파야 우량계통 JCPRH-01
키위 디지털 육종기반 신품종 개발 및 보급
국내 기후 적합·소비자 선호형 키위 품종육성 및 보급
  • 고비타민 C 그린키위 ‘녹홍’ 품종보호등록(’24)
    • 감칠맛 높은 노란 잎 차나무 ‘금다’ 품종보호출원 및 통상실시
  • ‘96-7-14’ 등 황육계 6계통, 궤양병 저항성 3계통 1차 선발
  • 골드키위 ‘감황’ 보급 확대(온농연 – 제주동부센터 – 성산농협 – 서귀포 행정)
    • ‘감황’ 성산 특화단지, 애월 정예소득단지 조성(누적 17.2ha)
    • 키위 국내육성품종 보급률: (’23) 29.4% → (’24) 30.0
  • 꽃가루 수급 안정을 위한 ‘델리웅’, ‘보화’ 보급
  • 녹홍녹홍
  • 1차 선발계통 ‘96-7-14’1차 선발계통 ‘96-7-14’
  • 델리웅델리웅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미래 생산 예측기술 개발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재배지 변동 예측지도 개발
  • 기후변화시나리오 적용 작물재배 적지기준 설정(2작물)
    • 녹차용(1월 일최저기온 등), 올리브(동해위험요소 등)
    • * 과수생육·품질관리시스템 홈페이지(https://fruit.nihhs.go.kr) 정보제공
  • 차녹차용 (1991∼2020)녹차용 (1991∼2020)
  • 차녹차용 (2100)녹차용 (2100)
  • 올리브 (1991∼2020)올리브 (1991∼2020)
  • 올리브 (2100)올리브 (2100)
주요 채소작물 작물모형 개발 및 생산 예측
  • 5대 기간채소 중심 과정 기반 생육예측모형 개발·검증 추진
    • 1단계 모형 개발(배추, 마늘, 무, 양파), 배추는 실측치와 검증 수행
    • 모형개발단계: 기상환경(1단계)→토양 양·수분(2단계)→병해충·잡초(3단계)
  • 개발 작물모형의 현장 검증을 위한 주산지 생육정보시스템(wds.agdcm.kr) 시범 운영
    • 대상작목 및 주산지: 배추, 마늘, 무(3작목), 태백 등 13시군
  • 무 작물모형 개발무 작물모형 개발
  • 주산지 생육정보시스템주산지 생육정보시스템
  • 생육모형 구동생육모형 구동
기후변화 대응 병해충 영향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
아열대 작물 병해충 발생 모니터링 및 대응 연구
  • 아열대작물(망고, 패션프루트, 올리브 등) 병해충 발생 조사
아열대작물(망고, 패션프루트, 올리브 등) 병해충 발생 조사 안내

작물, 주요 병, 주요 해충 순으로 보여주는 병해충 발생 조사 표 입니다.

작물 주요 병 주요 해충
키위 시들음병(Fusarium 속) 매미충류 등 4종
망고 가지마름병 등 4종 볼록총채벌레 등 4종
패션프루트 Fusarium 시들음병 및 바이러스 3종 깍지벌레 등 3종
파파야 탄저병 등 2종 가루이, 응애 등 3종
올리브 탄저병 등 6종 차잎말이나방 등 6종
  • 올리브 탄저병 주요 원인균 동정 및 약제방제 효과 구명
    • 프로클로라즈 망가니즈 및 만코제브 수화제 방제가 90% 이상으로 우수
    • * 약제 잔류, 약해 등 평가 후 농약직권등록시험 추진 예정
(해외 해충) 타우과실파리 유입대비 국제협력 연구
  • 타우과실파리 작물별 과실파리 방사 후 발육 관찰 및 조사
    • (과수) 감, 대추, 사과, 패션프루트, 키위에서 성충 출현하지 않음
    • (채소) 파파야, 파프리카를 제외한 모든 채소에서 성충이 출현함
    • 과수보다 채소에서 성충 출현 최성기가 빨랐으며, 출현 수가 많음
  • 타우과실파리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특성 구명
    • 25, 30, 33, 35℃ 조건에서 알, 유충, 번데기의 발육기간 구명
    • 알, 유충으로의 발육 기간은 33℃에서 2.0일, 4.1일로 가장 짧았음
  • 파파야 잎 응애 피해파파야 잎 응애 피해
  • 올리브 탄저병 병징올리브 탄저병 병징
  • 타우과실파리 산란(여주)타우과실파리 산란(여주)

중점추진계획

추진계획
  • 아열대작물 품종개발 및 안정생산 기술개발
    • 차나무 고품질·고기능성·내한성 품종 육성
    • 차나무 내한성 평가기술 개발 및 선발기준 설정
    • 아열대 유망작물 특성평가 및 우량계통 선발
  • 키위 디지털 육종기반 신품종 개발 및 보급
    • 소비자 선호형 품종육성·보급 및 디지털 육종 기반 구축
    • 신품종 특화단지 확대를 위한 민관협업 시스템 강화
    • 보급 품종의 안정재배를 위한 현장 지원 확대
  •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미래 생산 예측기술 개발
    •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재배지 변동 예측지도 개발
    • 채소(배추, 무, 양파) 모형 및 생육정보 시스템 고도화
    • 주요 채소작물 작물모형 개발 및 생산 예측
  • 기후변화 대응 아열대작물 병해충 조사 및 방제기술 개발
    • 아열대작물 병해충 발생 조사 및 주요 병 진단기술 개발
    • 올리브 주요 병해충(탄저병, 곰보바구미) 약제별 효과 구명 및 등록시험
    • 타우과실파리 온도별 발육 및 성충의 산란·수명 특성 연구

전문연구실

아열대작물기초기반연구실
아열대작물기초기반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아열대작물 유전자원 도입·적응성 평가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 아열대작물 전략작목 육성, 재배 및 이용 기술 개발
◦ 차, 키위 신품종 육성 및 안정생산 기술 개발
◦ 원예작물의 남부지역 적응성 평가
핵심성과 ◦ 아열대작물 유전자원 도입· 환경적응성 평가 및 유망작목 선발
 - 누계 : 도입(58작목), 적응성 평가(41작목), 유망작목 선발(17작목)
◦ 유망 아열대채소 특성평가 및 우량계통 선발
 - 얌빈 조기수확·소비자 선호도 만족 계통선발: 1계통(YB-7)
 - 제주에서 월동가능한 고기능성 강황 계통선발: 1계통(JC-12)
◦ 차 유전자원 특성평가 및 품종 개발
 - 유전자원 수집·보존·평가(수확기, 특이형질 등): (’22, 누계) 100자원 → (’24) 300
 - 노란 잎 차나무 ‘금다’ 품종보호출원 및 통상실시
◦ 키위 품종육성 및 보급확대
 - 고비타민 C 그린키위 ‘녹홍’ 품종보호등록
 - 국내 육성품종 보급확대 및 특화단지 조성
 - 키위 국내육성 품종 보급률: (’23) 29.4% → (’24) 30.2
대표과제 ◦ 국내 환경적응형 키위 신품종 육성(고유)
◦ 고품질 키위 신품종 이용촉진사업(공동)
◦ 보급 유망 아열대채소 유전자원 수집 및 적응성 평가(고유)
◦ 신소득 유망 아열대 과종의 지역특화 및 현장애로기술 개발(공동)
◦ 차나무 내한성, 고기능성 자원 선발 및 품종 육성(고유)
◦ 내한성 차 신품종 육성을 위한 지역적응연구 및 이용촉진사업(공동)
주 요
연구내용
◦ 유망 아열대채소 얌빈 등 유전자원 수집 및 적응성 평가, 우량계통 선발
◦ 파파야 우량계통 육성 및 조직배양 번식 체계 구축
◦ 차나무 고품질 안정생산을 위한 우량계통 선발 및 품종 육성
◦ 국내 기후에 적합한 키위 신품종 육성 및 보급
영향평가·병해충연구실
영향평가·병해충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원예·특용작물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미래 재배적지 평가
◦ 원예·특용작물 생산·품질 예측모형 개발
◦ 기후변화 대응 병충해 영향평가 및 개체군 예측기술 개발
◦ 열대아열대작물 병해충 영향 평가
◦ 타우과실파리의 발생과 월동 예측모형 개발
핵심성과 ◦ 주요 채소 작물모형 개발 및 모형 고도화
 - 과정기반 채소 작물모형 4종 개발(배추, 마늘, 무, 양파)
◦ 작물모형 연동 채소 주산지 농장단위 생육정보 제공시스템 개발
 - 일별 엽수,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 결과 표출(무안 등 18지역)
◦ 기후변화시나리오 적용 작물 재배적지 기준설정 및 예측지도 개발(16작목)
 - 키위(극최저 기온 등), 여름배추(6월 평균기온 등), 난지형마늘(쪽 형성적온 등)
◦ 농업용 미래상세 전자기후도 제작 및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인증
 -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농업용 미래상세 기후분포지도 책자 발간‧배부
◦ 기후변화 조건에 따른 해충 발육 및 산란영향평가 : 2종
 - CO2 농도·온도별 복숭아혹진딧물 발육, 진디벌 포식활동, 발육· 산란 반응평가
◦ 해외 과실파리류 침입대비 연구 및 장기사용 가능 오토롤트랩 개발
 - 디지털농업 대비 오토롤트랩 활용 정책제안 및 특허출원
대표과제 ◦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채소분야(무, 마늘) 생육 영향 평가(고유)
◦ 기후변화에 따른 올리브 병해충 발생 조사 및 방제기술 개발(고유)
◦ 아열대작물 병해충 모니터링 및 진단기술 개발(2단계)(고유)
◦ 기후변화에 따른 원예작물의 재배적지 및 생산성 영향평가(공동)
◦ 작물모형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채소 수량예측 기술 개발(국제공동)
◦ 국내 침입대비 타우과실파리의 발생과 월동 가능성 연구(국제협력)
주 요
연구내용
◦ 기후변화시나리오 적용 원예·특용작물 미래 재배지 변동지도 제작
◦ 주요 채소 대상 생리 프로세스 기반의 작물모형 개발 : 무, 양파
◦ 작물모형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채소 수량예측 기술 개발
◦ 기온 및 이산화탄소 변화에 따른 복숭아혹진딧물과 기생벌 상호작용 영향평가
◦ 열대/아열대작물 병해충 발생 기초조사
◦ 타우과실파리 형태적특성 및 기주특이성 구명→정책제안 2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