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비전 및 목표

  • 시설원예 친환경 안정생산 및 경영비 절감 기술 개발
    • 차세대 온실 종합관리 플랫폼 핵심기술 고도화
    • 순환식 수경재배 배출제로화 및 현장 실용화 기술 확립
    • 시설원예 냉·난방비 절감 및 차세대에너지 이용 기술 개발
    • 농가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작물생육 예측 모델 개발
    • 원예시설 기상재해 경감 기술 및 구조·자재 개선 연구

연혁

  • 1953.05. 중앙원예기술원
  • 1962.04.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 동래지장
  • 1978.05.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 부산지장
  • 1994.12. 농촌진흥청 영남농업시험장 부산원예시험장
  • 2004.01.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시설원예시험장
  • 2008.10.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2015.01.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주요업무

  • 원예시설의 구조·자재·기계·기구 등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시험·연구
  • 시설원예작물의 생산시스템 개발 및 자동화에 관한 시험·연구
  • 시설원예작물의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 시설원예작물의 고품질 생산을 위한 양·수분 관리 및 환경조절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시설의 재해경감과 유지관리에 관한 시험·연구

주요성과

온실 설계 지원 프로그램(GHModeler) 개발 및 성과 확산
  • GHModeler 핵심기능
    • (온실견적) 비닐온실 자재 물량 및 비용 산출
    • * 설계개요, 물량산출 및 비용 계산 내역의 엑셀 파일 저장
    • (구조해석) 비닐온실의 구조해석(선형, 비선형)
    • * 서까래와 도리 교차점 특성을 고려한 온실 구조해석
    • (재배환경) 비닐온실 내·외부에 발생하는 그림자 및 일조분석
    • * 시기, 시각, 지역에 따른 그림자 및 일조 분석
    • (재해예방·유지관리) 비닐온실 현장 구조안전성 모니터링
    • * 현장에 발생하는 환경 조건 및 구조적 거동을 그래픽 형상으로 실시간 재현
  • 농사로 웹사이트를 통해 프로그램 무료 공개 및 매뉴얼 개발
    • * [농사로]→[농업자재]→[시설설계 참고용] 메뉴에서 설계 지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24.9)
    • * GHModeler를 활용한 온실 정보 모델링 매뉴얼 발간(’24.7)
만감류 시설 재배를 위한 내재해형 규격 온실 모델 2종 설계
  • 만감류 재배 전문가 및 농가 의견을 반영한 온실 규격 선정
    • * 단동 온실규격 : 폭 10, 측고 2.5, 동고 4.5m, 연동 : 폭 6, 측고 3.9, 동고 5.5m
    • * 만감류 온실 모델 설계(2023) → 환기 시스템 설계(2024) → 내재해 시설 규격 등록(2025)
  • 단동온실단동온실
  • 연동온실연동온실
딸기 육묘용 온실 모델 및 저면급수 육묘 시스템 개발
  • 딸기 육묘 재배를 위한 내재해형 규격 온실 모델 2종 개발
    • * 온실 제원 : 폭 12.2, 동고 4.3, 측고 2.0, 방풍벽 간격, 0.9m
국산 장기성 피복재의 품질향상 및 재배 효과 분석· 보급확대
  • (피복재 개발) 국산 PO필름 품질 향상을 위한 공동연구 추진(’20~’22)
    • 원료수지, 기능성 첨가제, 표면 개질제, 코팅재 개발 등 → K-PO필름 개발
    • * 외국산 필름과의 품질 격차 극복(보온성, 유적성, 광투과성, 내구성)
    • * 농업용 PO필름 연구조합 결성(농진청, 필름생산업체, 코팅업체, 대학) 기술한계 극복 대응
  • (재배 효과) 장기성 피복재의 특성 및 재배 효과 분석(’23~’25)
    • 저온기 재배 시 투광량과 온도 상승(국산=일산 > EVA필름)
    • * 참외재배 효과 : 수확시기 5∼9일 단축, 수량 29% 증대/ EVA필름 대비
    • 참외, 토마토 작물에 대해 연차적 효과 분석 계획(´24~´25)
  • (현장보급) 국산 장기성 농업용 피복재 활용(’24~’26, 신기술보급사업)
    • * (’24) 전국 10개 지자체, 90농가 36ha), (’25) 전국 9개 지자체, 23.5ha 이상 예정)
고온기 비닐하우스 적정 냉방기술 개발
  • 지중 매립 공기순환 배관 이용 온실 부분냉방 기술 개발
    • 땅속 1.2m 깊이에 40m 길이로 매설된 지중 배관으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켜 냉각된 공기 이용 작물 부분냉방 실시
    • * 외기온 38.7℃ 일 때 40m 지중 배관 통과 공기 온도 29.5℃(9.2℃ 하강)
    • * 7.23~8.22 기간 부분냉방 시 상추 선풍골드 생체중 609%, 모스트청쌈 1,477% 증가
에너지 소비 효율을 높인 가열식 양액 살균장치 개발
  • 순환식 양액 재사용을 위한 고효율 양액 살균장치 개발
    • 약 100℃ 온도에서 약 9분간 살균하는 가열식 양액살균장치
    • * 세균 검출된 배액 이용 살균시험 결과 세균 사멸(100%) 확인
    • * 양액 1톤 가열할 열량으로 15.3톤 처리(에너지 93.4% 절감)
    • ※ 11.3~2.4(93일) 간 양액 572톤 살균에 3,628kWh 에너지 소비
온실 종합관리 플랫폼 ‘아라온실’ 민간 상용화 지원
  • (상용화) 민관 아라온실 상용화 드림팀 운영(국내 기업 20개 참여, 11.5. 기준)
    • 신한에이텍, 그린씨에스 등 국내 스마트팜 시장 점유율 80%↑
    • * 상용화 드림팀 구성을 위한 온라인 설명회 개최(2회)
    • * 참여 기업 상용제품 개발 지원을 위한 플랫폼 산학연 전문가 협의체 운영(2회)
    • 아라온실 상용화 드림팀 워크숍 개최(8.29, 오송, 33명)
    • * 표준화(농진원), 민간협력(대동), 실증지원(농협경제지주) 등 지원 방안 소개
    • * 상용제품 개발 지원을 위한 기술문서 및 오픈소스 만족도: 82.35점(100점 기준)
    • 참여 기업 대상 온-오프라인 현장기술지원(상반기: 7회, 하반기 3회)
    • * 온라인 개발자 커뮤니티(기업 85개, 대학 16, 연구기관 13 등 총 114, 회원 247명)
  • (고도화) 플랫폼 핵심 요소기술 개선 및 개발 지원 도구 강화
    • 개발 가이드라인 및 오픈소스 3종, 활용 예제 등 민간 공개
    • * 엣지 디바이스 및 서버, 클라우드 서비스 등 오픈소스 3종 배포(6.3.)
    • 오픈소스 하드웨어 활용 아라온실 장치 및 서버 개발 및 검증 지원
    • *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기반 개발․교육용 보드 공개(8.6.)
    • 스프레드시트 기반 온실 환경 데이터 분석 도구 개발
    • * 온실, 공공데이터(기상청, 도매시장) 등 융합․분석을 위한 엑셀 애드인 개발
지속가능한 친환경 수경재배 기술 개발 및 실용화 지원
  • (기술개발) 양액 재사용을 위한 작목 맞춤형 양분관리 최적화 기술(’21∼)
    • * 순환식 수경재배 매뉴얼 발간‧배부(도원‧센터‧농업인) 및 농식품부 브리핑(’23.12월)
  • (기술보급) 순환식 수경재배 기술 현장 보급 (’24, 신기술보급사업∼)
    • 주요 수경재배 작목(딸기·토마토·파프리카) 대상 현장 적용 및 기술지원
    • * 신기술보급사업 설명회(1.25), 개발기술 현장설명회(4.16), 현장기술지원(8~10월)
    • * (’24) 전국 16개소(강원‧전남 각 3개소, 충남 2, 경기 등 8지역 각 1), (’25) 전국 14개소
  • (대외협력) 순환식 수경재배 조기 보급을 위한 산학연 협력·지원
    • 현장애로 해결을 위한「순환식 수경재배 보급 확산 협의체」운영(’24.2~)
    • * Kick-off 회의(2.27, 33명), 상반기 점검회의(6.27, 23명), 하반기 점검회의(11.5, 15명)
    • * 배액분석 및 양액처방 인프라 확대, 배액살균장치 검‧인증 제도 마련 등 협의
    • 순환식 수경재배 보급 확산 및 현장 조기 정착을 위한 협의·지원
    • * 수경재배 기반조성 협의(농어촌공사), 순환식 시스템 운영 기술지원(스마트팜 혁신밸리)
  • (제도개선) 수경재배 산업 활성화 및 경영비 절감을 위한 제도 마련
    • 순환식 수경재배 보급 확산을 위한 정책 수립 지원 및 제도개선 추진
    • * 양액 분석 기반 구축(분석거점센터, 분석인력‧비용 등) 등 3건(정책제안)
    • 농업용 폐암면 재활용 방안(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제도개선 협력
    • * (현재) 재활용 불가 → (법제화) 재활용폐기물 신규코드 요청(환경부)

전문연구실

시설구조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원예시설 기상재해 경감 기술 개발
◦ 시설 구조·자재 성능평가
◦ 신소재 활용 시설 구조·자재 개선
◦ 극한기후 대응 첨단 온실 모델 개발
핵심성과 ◦ 3차원 온실 설계지원 프로그램(GHModeler pro) 농사로 공개 및 성과확산
  - 핵심기능 : 온실견적, 구조해석, 재배환경분석, 구조안전성 모니터링 등
  * GHModeler를 활용한 온실 정보 모델링 매뉴얼 발간(7.15), 농식품부 브리핑(11.27)
◦ 재배 전문가 및 농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만감류에 재배 적합한 온실 모델 2종 설계
  * 단동온실 : 폭 10m, 측고 2.5m, 동고 4.5m, 서까래 59.9x2.1t, 가로대 31.8x1.5t
  * 연동온실 : 폭 6.0m, 측고 3.9m, 동고 5.5m, 기둥 □75x75x2.1t, 서까래 42.2x2.1t
◦ 딸기 육묘 재배를 위한 내재해형 규격 온실 모델 2종 개발(내재해형 규격 시설 등록)
  * 온실 규격 : 폭 12.2m, 동고 4.3m, 측고 2.0m, 방풍벽 간격, 0.9m
대표과제 ◦ 만감류 시설재배에 적합한 비닐온실 모델 개발
◦ 감귤재배에 적합한 망 온실의 구조 설계
◦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활용한 온실의 구조개선 연구
주 요
연구내용
◦ 개발한 시설 내재해형 규격 등록을 위한 구조 설계 및 안전성 검토
◦ 기상재해에 안전한 과원 망 재배시설 개발
◦ 기존 강관 자재를 FRP자재로 활용하는 기술 개발
시설에너지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시설원예 에너지 최적 관리 기술 개발
◦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냉난방 효율 향상
◦ 시설 에너지 보온·축열·저장 및 활용성 제고
◦ 온난화 대응 시설 냉방 요소 기술 연구
핵심성과 ◦ (재배 효과) 장기성 피복재의 특성 및 재배 효과 분석(’23~’25)
  - 저온기 재배 시 투광량과 온도 상승(국산=일산 > EVA필름)
  * 참외재배 효과 : 수확시기 5∼9일 단축, 수량 29% 증대/ EVA필름 대비
◦ 에너지 소비를 줄인 고효율 가열식 양액 살균장치 개발
  - 제원 : 살균온도 85℃ 이상, 처리용량 1ton/h, 에너지 92% 절감
  * 개발 살균장치 이용 10ton/일 씩 30일간 양액 처리시 전기요금 약 10만원/월
◦ 면적당 생산성을 높인 회전형 작물재배시설 개발
  - 동일 면적 온실 내 작물 재식 주수 80% 증가(7,200주/10a→12,960)
  * 온실 당 조수익 80% 증가, 소득 132% 증가(11.9백만원/10a→27.6) 예상
◦ 지중 매립 공기순환 배관 이용 온실 부분냉방 기술 개발
  - 지중 공기순환 배관 이용 부분냉방시 상추 선풍골드 생체중 609% 증가
  * 외기온 38.7℃ 일 때 40m 지중 배관 통과 공기 온도 29.5℃(9.2℃ 하강)
대표과제 ◦ 시설재배 시스템의 에너지 성능평가 및 개선연구
◦ 장기성 피복재의 특성 및 재배 효과 분석
◦ 가용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 효율 향상 연구
주 요
연구내용
◦ 시설원예 설비, 장치 종류별 단열성능, 에너지 효율 등 성능평가
◦ 개발 장기성 PO필름의 3년차 특성 변화 및 작물 재배 효과 분석
◦ 겨울철 저온기 히트펌프 효율 향상기술 개발
디지털수경재배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친환경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개발
◦ ICT 이용 정밀 양수분 관리기술 연구
핵심성과 ◦ (기술개발) 양액 재사용을 위한 작목 맞춤형 양분관리 최적화 기술(’21.~)
  * 순환식 수경재배 매뉴얼 발간‧배부(도원‧센터‧농업인) 및 농식품부 브리핑(’23.12월)
◦ (현장보급) 시설과채류 양액 재사용 기술 보급(’24~, 신기술보급사업)
  * 요소기술 : ① 양액조제, ② 배액살균, ③ 배액희석(배액/원수 혼합), ④ 양분보정
  →(’24) 전국 16개소(강원‧전남 각 3개소, 충남 2, 경기 등 8지역 각 1), (’25) 전국 14개소
◦ (제도개선) 수경재배 산업 활성화 및 경영비 절감을 위한 제도 개선 추진
대표과제 ◦ 급배액 및 재배환경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수경재배 정밀 제어 연구
◦ 물부족 대응 주요 채소 생체정보모니터링 기법을 활용 정밀 양수분 관리시스템 개발
◦ 폐양액 배출제로형 수경재배 현장 실용화 기술 개발
◦ 박과류 채소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연중 생산기술 및 적합품종 발굴육성
주 요
연구내용
◦ 급배액 및 재배환경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배지경 및 순수 수경재배 정밀 급액 기술개발
◦ 물부족 대응 주요 채소 생체정보모니터링 기법을 활용 정밀 양수분 관리시스템 개발
◦ 배출제로형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양액관리 기술 개발
◦ 수경재배 부산물 수거·처리·재활용 체계 구축 및 자원화 협력·지원
◦ 환경부하 경감을 위한 배액 배출기준 설정 및 수질정화 처리방안 모색
◦ 수출 멜론 적합 품종 선발 및 과실 품질향상을 위한 수경재배 기술 개발
복합환경제어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시설원예 생산성 증대를 위한 지능형 환경제어 및 ICT 융합기술 개발
◦ 작물 생육지표 및 생육측정 표준화 연구
핵심성과 ◦ 차세대 온실 종합관리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 사물인터넷 기반 이종 스마트팜 장비 통합관리 기술 확립(출원 3종)
  - 농업용 앱 개발 도구 및 민간 개발자 지원 홈페이지 구축
  - 민간 상용화를 위한 현장평가회 개최 및 산학연 협의체 운영
◦ 빅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환경·생육·생리 정보 자동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영상분석 및 인공지능 이용 과실 생육·품질 정량화 알고리즘 개발
  - 생체중 예측을 통한 생육 단계별 정밀 관수 제어 활용
  * 생체중을 통한 생육기-과실비대기-성숙기 예측(정확도 R2 = 0.98)
  - 영상분석을 활용한 과실 품질 정량화 지표 ‘멜론 네트지수’ 개발
대표과제 ◦ Big 데이터 기반 시설원예 디지털 농업 요소기술 개발
◦ 저일조에 따른 농작물 생산피해 예측 및 평가기술 개발
◦ 파프리카 생육·수확량 예측 및 온실 환경 모델 개발에 의한 데이터 수집·표준화
◦ 인공환경 기반 고품질 딸기 생육 제어 기술 개발
주 요
연구내용
◦ 차세대 온실 종합 관리 플랫폼 개발
◦ 저일조에 따른 시설작물 피해산정 및 경감기술 개발
◦ 복합환경 적용 과채류 생육모델 및 최적 환경관리시스템 개발
◦ 수직농장 고품질 딸기 재배를 위한 최적 환경조절 기술 개발
◦ 온실 종합관리 플랫폼 ‘아라온실’ 민간 상용화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