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저장유통과

비전 및 목표

원예작물 수확후관리 선진화 및 스마트유통 실현
  • 원예작물 선도유지기술 개발 혁신으로 수출활성화
  • 디지털 기반 원예작물 품질정보 및 스마트 유통 선진화
  • 소비 다양화를 위한 상품화 기술 개발 및 유통·물류 혁신
  • 채소ㆍ과수 선제적 수확후관리기술 개발로 수급 안정화
  • 원예작물 수확후 생리대사 기작 및 품질저하 요인 구명

주요업무

6대 핵심 전략, 12개 중점 추진방향
  • 선도유지기술 수출활성화
    • CA컨테이너 활용 실증 수출 확대 및 실효성 검증
    • 수출국 다변화 및 클레임 감소 상품화 기술개발
  • 디지털 유통 플랫폼 구축
    • 농산물 수확후관리 품질기준 및 등급 표준화
    • 스마트 유통을 위한 APC공정별 품질관리 모델 개발
  • 상품화 기술개발 유통혁신
    • 농산물 소비확대를 위한 신선편이 상품화 기술 개발
    • 온라인 유통 혁신을 위한 품질관리시스템 개발
  • 채소ㆍ과수 수급안정
    • 채소과수 수급안정을 위한 수확후 관리 기술개발
    • AI기반 장기저장 품질예측 프로그램 및 시스템 개발
  • 수확후 품질저하 요인 DB화
    • 멀티오믹스를 활용한 수확후 생리대사 기작 구명
    • 품질관련 유전적 요인 DB화 및 육종 소재화
  • 대내외 협업강화
    • 산학연 중앙-지방과의 공동연구 및 협업강화
    • 업무협약 기관(업체)과의 협업 및 현장연구 강화

주요성과

CA 컨테이너 활용 선박수출 기술 고도화
  • (연구) 최적 CA 조건 DB 구축 및 수출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개발
    • 품목별 CA 조건 및 품질유지기간 설정 : 양파, 마늘 등 4종 추가(총 25종)
      • (양파·마늘) 발근억제 효과 확인 및 혼합조건 설정 / (참외) 선도유지 효과 구명
    • CA 수출 기술정보 제공 프로그램 개발 및 홈페이지 제작 진행
      • (진행) CA 프로그램 DB 구축10품목 / 홈페이지 콘텐츠 및 수출품목 품질관리10품목 작성
  • (실증) 품목별 CA 수출모델 개발 및 현장 합동 실증
    • 딸기·참외 수출시기 연장을 위한 CA+복합기술 모델 확립
      • (딸기3∼4월) 수출용 숙도 + CA → Full container 실증 : 6회(홍콩, 태국, 싱가포르)
      • (참외5∼7월) 유통환경 최적 MA + CA → Full container 실증 : 3회(싱가포르)
      • CA 컨테이너 활용 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다품목 실증누적 150회(’22-’24.9)
  • CA활용 수출확대 워크숍 CA활용 수출확대 워크숍
  • 딸기 실증 홍콩 현지 품질 딸기 실증 홍콩 현지 품질
  • 참외 실증 싱가포르 현지 품질 참외 실증 싱가포르 현지 품질
  • CA 수출기반 조성 현장 컨설팅 CA 수출기반 조성 현장 컨설팅
원예특용작물 품목별 정보화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및 앱 개발
  • 품질지표(중량, 경도 등), 생리지표(호흡량 등), 품질등급(당도, 산도) 정보화
    • (품질지표) 소비자 중심의 내·외부 품질인자 발굴 12작목 12품종
    • (품질등급) 품질인자 기반 품질판정기술 및 표시정보 개발 4작목
  • 품목별 저장·유통 중 품질특성 DB 및 품질변화 예측 기술 개발
    • (품질 DB) 수확후 저장·유통·소비 품질특성 DB 수집 12작목 37품종*
      • 사과(5), 복숭아(7), 감귤(5), 양파(6), 참외(2), 포도(2), 키위(2), 마늘(3), 버섯(1), 딸기(2), 수박(1), 국화(1)
    • (품질예측) 데이터 기반 내·외부 연동 품질변화예측 AI 모델 개발
      • 사과 등 AI 활용 내·외부 연동 품질예측 모델 4건 출원(’24.6)
    • (성과확산) 원예특용작물 수확후 품질백서 플랫폼 베타버전 설계
스마트 APC 품질관리 모델 개발 및 상품 고급화 기술 확립
  • 품목별 APC 공정별 현황 및 수준 진단을 통한 표준설계도 제작
    • (수준진단) 과수 : 14개소 / 채소 : 12개소 / 화훼 : 3개소
  • 품목별(과수, 채소, 화훼) 수확후 선도유지를 위한 최적 공정단계 설정
    • (현행) 자동화, 정보화 ‘하드웨어’ 중심의 스마트 APC 표준모델(농식품부)
    • (개선) 공정별 핵심 수확후관리기술 ‘소프트웨어’를 반영한 표준설계도 제작
  • 이미지 기반 사과 품질예측 모델 이미지 기반 사과 품질예측 모델
  • AI 활용 양파품질예측 모델개발 AI 활용 양파품질예측 모델개발
  • 스마트 APC 표준설계도 제작 스마트 APC 표준설계도 제작
(포장기술) 원예작물 품질특성을 고려한 포장 용기 개발
  • 「딸기 전용 신선도 유지 기능성 이중 박막 용기」개발특허
    • 난좌형 박막 용기/뚜껑(흔들림 최소화) + 용기 홈에 액상형 ClO₂ 패치(미생물 억제)
  • 딸기 전용 신선도 유지 기능성 이중 박막 용기 딸기 전용 신선도 유지 기능성 이중 박막 용기
(장기저장) 여름배추 수확후관리기술 적용 저장기간 연장
  • 중량감소율(증산) 억제, 경도 및 당도 유지 등 신선도 유지
    • (중량감소율) 관행 12.2% → 개선 3.1 / (저장기간) 관행 10일 미만 → 개선 40일
    • 저장기간 연장으로 79,082∼86,650천원 수익 발생(50평 저장고 기준)
      • 「배추 수확후관리 패키지기술 적용 수급용 저장고 지정 운용」
  • MA 필름 처리 MA 필름 처리
  • 저장환경 모니터링 저장환경 모니터링
  • 물러짐, 황변 발생(관행) 물러짐, 황변 발생(관행)
  • 신선도 유지(개선) 신선도 유지(개선)
멀티오믹스 기반 원예작물 수확후 생리기작 구명
  • (딸기) 숙도기반 모바일 CA 환경이 생리기작 반응에 미치는 영향
    • 80% 숙도 딸기 1·2차 대사산물, VOCs, 생체발광 분석→CA 선도유지 요인도출
      • 품질·풍미향상 요인: 대사체(sugars, succinic acid, proline, polyphenolics 등), VOCs(ethyl hexanoate, methyl tilglate), 생체발광(lipid peroxidation)
  • (복숭아) 모바일 CA 환경에 의한 전사체 기반 복숭아 숙성억제 기작
    • 에틸렌 생성 억제 및 산화스트레스 저항성 향상 → 연화 및 내부갈변 억제
      • 1,971개 DEG(차등 발현유전자) 확인 : 에틸렌 생합성 및 신호전달 유전자↓하향
신선농산물 수확후 생리장해 원인구명 및 억제법 탐색
  • (참외) 열수처리에 의한 과피갈변 억제 기작 구명
    • 열수침지 → 골부분 조직괴사 억제 → 큐틴층 보존 → 골갈변감소(상품과율 23%↑상향)
  • (사과) ‘홍로’ 상온 유통중 발생하는 greasiness 기작 구명
    • 상온 → 에틸렌↑상향 → greasiness개시 → nonacosane, nonacosan-10-ol 등↑상향
  • 딸기 숙도별 다변량 통계분석 딸기 숙도별 다변량 통계분석
  • 딸기 생체발광 IVIS 분석 딸기 생체발광 IVIS 분석
  • 복숭아 상온유통중 과육색변화 복숭아 상온유통중 과육색변화

중점추진계획

핵심전략 및 중점 추진 방향
  • 원예작물 선도유지기술 개발 혁신으로 수출활성화
    • CA 컨테이너 활용 실증수출 확대 및 실효성 검증
    • 수출국 다변화 및 클레임 감소 상품화기술 개발
  • 디지털 기반 원예작물 품질정보 및 스마트 유통 선진화
    • 농산물 수확후관리 품질기준 및 등급 표준화
    • 스마트 유통을 위한 APC 공정별 품질관리 모델 개발
  • 소비 다양화를 위한 상품화 기술 개발 및 유통·물류 혁신
    • 농산물 소비확대를 위한 신선편이 상품화 기술 개발
    • 온라인 유통혁신을 위한 품질관리시스템 개발
  • 채소‧과수 선제적 수확후관리기술 개발로 수급안정화
    • 채소‧과수 수급안정을 위한 수확후 관리 기술개발
    • AI 기반 장기저장 품질 예측 프로그램 및 시스템 개발
  • 원예작물 수확후 생리대사 기작 및 품질저하 요인 구명
    • 멀티오믹스 기법을 활용한 수확후 생리대사 구명
    • 품질관련 유전적 요인 DB화 및 육종 소재화
  • 산학연 & 중앙-지방과의 수확후관리 선진화를 위한 협업 강화
    • 산학연 & 중앙-지방과의 공동연구 및 협업 강화
    • 업무협약 기관(업체)과의 및 현장연구 강화

전문연구실

저장유통연구실
저장유통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전문연구실 주요 업무
저장유통연구실
  • ◦ 수출 클레임 감소 상품화 기술 및 실용화 연구
  • ◦ 신선편이 선도유지 및 소비 다양화 유통 기술 개발
  • ◦ 스마트 APC 공정별 품질관리 모델 개발
  • ◦ 디지털 기반의 신선 농산물 유통 시스템 구축
  • ◦ 품질평가를 통한 국가 품질 기준·표준화 시스템 확립
  • ◦ 디지털 기반 품질인자 지표개발 및 DB화
  • ◦ 지능형 환경제어 연계 품질변화 예측 시스템 구축
  • ◦ 수확후 장해요인 구명 및 제어법 탐색
  • ◦ 수확전·후 연계 생리장해 원인 및 대사 구명
  • ◦ 품질관련 유전적 요인 DB화 및 육종 소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