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농촌진흥청, 기능성 원예작물 산업화를 위한 소비자, 유통관계 온라인 인식조사(2025.6.1.~6.20., 278명 대상) 진행,
☞ 기능성이 기대되는 원예작물로 '토마토, 사과' 조사
2. 원예작물 소비촉진과 기능성 소재화 연구 개발 전략을 모색하고자 농식품 소비자 집단(패널) 27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유통 관계자 4명의 심층 면접도 병행한 인식조사에서
ㅇ 소비자 의견
- 응답자의 76.2%는 원예작물이 건강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
- 응답자의 56.8%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하는 것에 긍정
ㅇ 유통관계자 의견
- 원예작물의 기능성이 공신력을 가져야 제품 신뢰도 높아짐
- 관련 정보에 대해 좀 더 전문적으로 제공 시 소비자 만족도와 구매의사 증가 예상
3. 원예작물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 원예작물 기능성을 기대하는 채소 순위
- 1위 토마토 (51.4%)
- 2위: 양파(50.4%)
- 3위: 양배추(29.5%),
- 4위: 마늘 (27.0%)
4. 원예작물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 원예작물 기능성을 기대하는 과일 순위
- 1위: 사과(68%)
- 2위: 귤(33.1%)
- 3위: 블루베리(24.1%)
- 4위: 포도(21.2%)
5. 소비자가 기대하는 기능성 원예작물 섭취목적
- 1위: 건강한 식습관 유지 26.4%
- 2위 면역력 강화(24.6%)
- 3위: 맛,식감(24.1%)
- 4위: 질환예방(10.6%)
- 5위: 체중조절(8.6%)
- 6위: 피로해소(5.2%)
6. 소비자가 기대하는 원예작물 섭취하는 방식은?
- 1위 있는그대로(원물) 섭취 (44.8%),
- 2위 즙이나 액상 가공품(34.7%),
- 3위 간편 제품(5.4%)
☞ 전체 응답자의 56.8%가 원예작물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하는 것에 긍정적 의사를 표시
7.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원예작물의 기능성 범위가 식품·의약품·화장품 등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원예작물의 기능성을 활용해 국민 건강을 증진하고 새로운 산업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 보급에 힘쓰겠습니다
담당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특용작물이용과 이윤지 연구사(043-871-5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