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특용작물 기술정보 제88호(2020.10월 종합)
< 채 소 >
○ 시설환경관리는 10월 중 관리요령, 토양 현장진단처방, 흙토람 관비처방, 스마트 팜 통신기술과 이기종 장비 간 연동 장치 구성, 나방류 천적 긴등기생파리 대량 사육 기술 등
○ 고추는 촉성재배, 접수와 대목 생산기술 및 단기저장방법, 유기재배 매뉴얼 등
○ 딸기는 촉성 및 반촉성 재배 관리요령, 생장점 배양 조건, 신품종 딸기 마케팅 전략 방향 등
○ 수박은 신선편이 가공 및 포장형태, 구매 특성 분석, 유기재배 매뉴얼, 유기종자 소독기술 등
○ 멜론은 코이어배지 이용 수경재배 시 아주심기 방법과 생육단계별 적정 급액농도
○ 토마토는 정식 초기 저온저일조 조건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접수?대목 단기저장, 동양계 토마토 장기 수경재배용 대목 선발, 스마트팜 농사 최적 수확 의사결정 분석 등
○ 배추·무는 10~11월 관리요령, 배추좀나방 관리방안, 수출용 신선채소 수확 후 관리기술 등
○ 마늘은 구매 특성, 감자+마늘 수익성분석과 전문농 경영모형, 홍산마늘 마케팅 전략 등
○ 양파는 모기르기와 아주심기, 유기재배 매뉴얼. 가공품 선호 특성 분석 등
< 과 수 >
○ 사과는 만생종 착색관리, 10월 숙기 품종, 가을거름
○ 배는 수확 후 관리, 예냉, 가을전정
○ 복숭아는 과원 시비 관리기술(유기질 비료, 밑거름)
○ 포도는 새로운 1년을 준비하는 시기, 나무의 자람새와 단풍, 저정양분 축적 등
○ 감귤은 수상선과, 수확기 판정, 가을비료 시용
○ 단감은 수확기 판정, 중생종 수확, 신품종 단감의 시장테스트 결과를 고려한 마케팅 전략 방향(영농활용)
< 화 훼 >
○ 글라디올러스는 수익성과 일반농 경영모형
○ 작약(절화)은 여름철 절화 화분 촉성재배 흑백필름 피복 효과, 시설재배 주요 병해충 관리요령
○ 다육식물은 에케베리아속 다육식물 재배 매뉴얼 활용
○ 도시농업은 식물 재배 활동에 사회적지지 이론 활용 방법, 생애주기별 대상자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 정보 제공
< 특용작물 >
○ 인삼은 메워심기(보식), 직파재배, 개갑관리, 모밭파종
○ 당귀는 수확시기 및 방법, 당귀 뿌리별 유효성분 함량 정보(영농활용)
○ 지황은 수확, 지황 적정 건조방법 설정(영농활용)
○ 천궁은 수확, 기타 약용작물 포장 관리
○ 팽이버섯은 팽이버섯 재배 과정 중 유해미생물의 주요 발생단계(영농활용)
< 주요 원예·특용작물 경영정보 및 연구 성과 >
○ 착색단고추(파프리카)는 생산동향, 수익성, 소비·가격동향, 단기 및 중장기 수급 전망
○ 단감은 생산·소비·수출입 동향, 수익성, 가격 동향, 수급 전망
○ 주요 작물 가격동향은 9. 16일 기준임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