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특용작물 기술정보 제103호(2022.1월 종합분야)
< 채 소>
○ 환경관리는 온도·습도·환기·광 관리, 병해충 방제, 박과작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 예방, 온실 해충 자동 진단 시스템 및 자동 해충 예찰 포획장치 개발 등
○ 고추는 품종 선택 요령, 육묘 관리 및 파프리카 관련 영농활용자료 1건
○ 딸기는 수확 후 출하 및 유통, 딸기 수확묘 이용 삽목용 삽수 생산 방법 등 영농활용자료 2건
○ 배추·무는 봄배추의 추대 예측 모형 이용, 식물 유용성분 높은 작물 찾아내는 방법
○ 양배추류·쌈채류·어린잎채소는 브로콜리 소비자 구매 특성, 어린잎채소 안전성 관련 등 영농활용자료 3건
○ 산채류는 참나물에 발생한 곤약모자이크바이러스 병징과 관리방안 등 영농활용자료 4건
○ 마늘은 새만금 간척지 재배에 적합한 마늘 품종 추천 등 영농활용 2건
○ 파는 쪽파 단경기 생산 관련 영농활용 2건
< 과 수 >
○ 사과는 화상병 확산 방지 및 병해충 감염원 제거, 정지·전정
○ 배는 언 피해 대책, 정지·전정
○ 복숭아는 정지·전정
○ 포도는 수형, ‘샤인머스켓’의 고품질 안정생산을 위한 결과지 유인방법(영농활용)
○ 감귤은 품질향상을 위한 과원 환경개선, 과실 언 피해 방지
○ 단감은 언 피해 대책, 정지·전정
< 화 훼 >
○ 국화는 국내 육성 ‘꽃다발용 국화’ 개발
○ 선인장은 세계시장 겨냥, 더 화려한 ‘접목선인장’ 개발
○ 화단 조성은 열대풍 화단 조성 방법 제시
○ 도시농업은 원예활동 활용 관련 척도와 정원식물 탄소 저감 효과
< 특용작물 >
○ 인삼은 기상과 재배환경, 예정지 선정
○ 당귀는 온상육묘 이식재배, 건조 참당귀의 갈변 방지를 위한 열처리 방법(영농활용 1건)
○ 구기자는 신품종 ‘화수’의 생리활성 기능 외 2건(영농활용)
○ 느타리버섯은 느타리버섯 환경관리, 겨울철 버섯 재배사 관리요령
< 주요 원예·특용작물 경영정보 및 연구 성과 >
○ 오이는 생산·출하·가격·수출입 동향, 소비 및 소비자 구매행태, 수급 전망, 수익성
○ 인삼은 생산·수출입·가격 동향, 수익성
○ 주요 작물 가격동향은 12월 15일 기준임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