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식물별 관리방법

직립형 중심꽃(Vertical liner)

  • (1) 무늬 칸나
    • 이용품종 : Canna ‘Pretoria’, ‘Bengal Tiger’, ‘Phasion’, musaefolia, ‘Cleopatra’, Cannova 계통 등
  • ‘Pretoria’‘Pretoria’
  • ‘Phasion’‘Phasion’
  • musaefoliamusaefolia
  • ‘Cleopatra’‘Cleopatra’
  • ‘Bengal Tiger’‘Bengal Tiger’
  • Cannova 계통Cannova 계통
  • 특성 및 관리
    • 전반적으로 수분 및 양분 요구도가 높으며, 충분한 양분과 광 조건하에서 고유의 색이 잘 발현된다.
    • 구근 및 뿌리의 발달이 함께 혼식하는 다른 식물에 비해 깊이를 요구하기 때문에 화분 식재 시 일정 크기 이상의 화분을 필요로 하며, 화단에 식재할 경우 좀 더 깊이 땅을 갈고 김을 매어 뿌리가 깊게 발달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 양분을 많이 요구하므로 식재 전 밑 작업 시 퇴비를 많이 넣어준 뒤 식재한다.
    • 여름철 강우로 인해 꽃대가 잘 부러지므로 비오기 전 꽃대를 자주 잘라주어야 하며,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칸나 꽃의 경우 여름철 높은 습도 때문에 발생되는 곰팡이로 인해 예쁜 모습을 기대하기 어렵고, 종자 회수가 어렵기 때문에 꽃대를 잘라주는 것이 좋다.

모양 꽃(Form flower)

  • (1) 꽃베고니아
  • ‘Big Green Pink’‘Big Green Pink’
  • ‘Dragon Wing Red’‘Dragon Wing Red’
  • ‘Bossa Nova Red’‘Bossa Nova Red’
  • 특성 및 관리
    • 관행 꽃베고니아 단일 식재시 여름철 강우에 잘 쓰러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열대풍 가로화단에서 다른 채움 식물들과 혼식시 쓰러지는 문제가 해결되었다.
    • 꽃대의 경우 강우에 의해 잘 부러지므로 비오기전 꽃대를 잘라주어야 한다.
    • 너무 강한 광조건하에서는 생육이 힘들기 때문에 양지에 식재할 경우 다른 식물에 의해 그늘로 가려질 수 있는 북향에 식재하는 것이 적합하다.
    • 베고니아 품종 중에서 보사노바의 경우 꽃대가 관행 꽃베고니아보다 약하고 하수형이기 때문에 화분에는 사용 가능하지만 화단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2) 스카이볼라
  • 스카이볼라
  • 특성 및 관리
    • 고온건조에 강하여 우리나라 여름철에 적합한 초화로서 덩굴로 번성하기 때문에 무늬잎 사이사이로 줄기를 뻗으며 꽃을 피워 아름답다.

무늬잎 꽃(Color-leaf flower)

  • (1) 콜레우스
    • 이용품종 : Coleus scutellarioides ‘일렉트릭 라임’, ‘드래곤 하트’, ‘핑크플로전’, ‘플로리다 썬로즈’, ‘헤나’, ‘불칸’, ‘컴뱃’, ‘라임와이어’, ‘프렌치쿼터’, ‘트러스트 러스티’, ‘캠프파이어’, ‘레드헤드’, ‘하트브레이커’, ‘인디안썸머’, ‘라임딜라이트’
  • 일렉트릭 라임일렉트릭 라임
  • 드래곤 하트드래곤 하트
  • 핑크플로전핑크플로전
  • 컴뱃컴뱃
  • 라임와이어라임와이어
  • 트러스티 러스티트러스티 러스티
  • 레드헤드레드헤드
  • 인디안썸머인디안썸머
  • 라임딜라이트라임딜라이트
  • 특성 및 관리
    • 품종에 따라 많은 생육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열대풍 가로화단에 적합하다고 보여지는 품종으로는 ‘일렉트릭 라임’, ‘드래곤 하트’, ‘핑크플로전’ 세 품종이 가장 적합해 보인다.
    • 3품종의 경우 다른 품종에 비해 건조에 강하고, 어느 광조건에서나 비슷한 화색 발현 양상을 보인다.
    • 조성기간 중 2번 정도 7월 중순과 8월 중순에 1회씩 생육조절을 위해 짧게 정지한다. 마주나기 식물로 정지 후 솎아주기를 하지 않게 되면 새순이 많이 자라 과도한 양분 경쟁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식물체가 노화되며 약해지므로 정지 작업 후 3일~7일 사이에 솎아주기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 ‘라임딜라이트’ 품종은 ‘일렉트릭 라임’ 보다는 경도가 약하지만 콜레우스 품종에 대한 일반인 선호도 조사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혼색 품종이 많은 콜레우스 특성과 달리 녹색의 단색이기 때문에 혼식할 때 다른 식물과 조화가 잘 된다.

덩굴 꽃(Hanging flower)

  • (1) 관상용 고구마
    • 이용품종 : Ipomoea batatas ‘Sweet Caroline Light Green’, ‘Sweet Caroline Purple’
  • Sweet Caroline Light Green
  • Sweet Caroline Purple
  • 특성 및 관리
    • 열대풍 화단 조성 시, 특히 ‘Light Green’의 경우 Hanging 및 Ground Cover의 최고의 소재로서 전반적으로 화단을 밝게, 그리고 시원한 질감을 나타낸다.
    • 수세가 강해 공간을 왕성하게 채워나가고, 입체감을 형성하는 특성이 있으나 이로 인해 화분에 심었을 때 자주 전정해주지 않으면 무성하게 우거져 답답한 느낌이 날 수 있고, 땅에 끌리는 잎이 생기기 시작하면 잎이 무르며 지저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 ‘Purple’의 경우 ‘Light Green’에 비해 Hanging으로 이용시 아래로 쳐지는 느낌이 덜하고 위로 올라오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화분 경계 부위에서 자주 눌러주어 수형을 잡아주어야 한다. 또한 생육 역시 너무 왕성하므로 주기적으로 밑 줄기를 자르고 윗 줄기를 밑으로 눌러 주는 작업을 해야 한다.
    • ‘Purple’의 경우 색상이 강해 10% 이내로 사용하는 편이 좋다.
    • 관상용 고구마는 덩굴성이기 때문에 혼식한 식물을 타고 넘어 다른 식물의 광량을 부족하게 하여 생육이 저조할 수 있어, 그런 경우 전정을 해주어야 한다.
  • (2) 알테르난테라
    • 이용품종 : Alternanthera brasiliana ‘Purple Prince’
    • 특성 및 관리
      • 새순의 녹색과 성엽의 자줏빛이 오묘하게 어울리는 매력을 가진 잎보기 식물이다.
      • 화분 식재 시와 화단 식재 시의 느낌이 조금 상이하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구름같이 몽글몽글한 느낌의 형태를 자아낸다.
      • 화단과 도로의 경계면에 식재시 옆으로 퍼지는 성향이 있어 부피감을 줄 뿐만 아니라 하층 식생으로 지표면을 덮는 지피 기능을 한다.
      • 건조 및 강광에 잘 견디므로 양지의 남향 식재에 적합하다.

배경 꽃(Curtain flower)

  • (1) 마호가니 부용
    • 이용품종 : Hibiscus acetosella ‘Mahogany Splendor’
  • 양지에서 잎 색양지에서 잎 색
  • 화분에서의 모습화분에서의 모습
  • 화단에서의 앞모습화단에서의 앞모습
  • 화단에서의 뒷모습화단에서의 뒷모습
  • 특성 및 관리
    • 잎 관상용으로 화분에 식재하기는 부적절하나 초장이 크고 수세가 강하여 화단의 배경 채움꽃으로 이용하기에는 최적의 식물이다. 특히 열대풍 화단에서 중심 식물들의 색이 밝고 화려한 색상이 많으므로 색이 진하고 어두운 히비스커스를 배경으로 식재할 경우 중심 식물들이 좀 더 잘 보이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 녹색이나 은색 잎 식물과 대조를 이루는 짙은 자색의 손바닥 모양 잎은 일본 단풍나무 잎과 비슷하고, 다양한 어두운 색조를 띤다.
    • 식물은 한 시즌에 높이 100~150cm, 너비 70~80cm 정도까지 자란다.
    • 건조에 강하고, 강한 광조건에서 고유의 진한 붉은색이 발현되기 때문에 양지 화단에서 최적의 상태를 보여준다.
    • 그러나 세력이 강하고 다른 식물에 비해 성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적절한 형태나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주 잘라 주지 않으면 바람이 심할 때 줄기가 갈라져 잘 쓰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