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성과
1. 화훼 육종효율 향상 및 유전분석 기술 개발
(효율증진) 유전체 정보 기반 육종 기술·소재 개발
- (육종기술) 유전체 기반 기술 활용 고부가 창출 화훼류 개발
- (유전자가위) 무측지 국화 및 무가시 장미 획득을 위한 기술 적용
- * (국화) DgLsL-sgRNA/CRISPR-Cas9 삽입 식물체 유도 (장미) 가시 후보 유전자 MYB5 선발
- (형질전환) 고선명 청색소 발현 유전자 3종 집적 장미 획득: 2개체
- * 유전자 2종(VtF3’5’H/RHNHX) 형질전환체(흰색→분홍)에 5AT 추가 도입
- (DB구축) 교배효율 증진을 위한 육종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축
- 난 유용 자원 염색체 특성 DB 구축(15종) 및 화분저장조건 탐색
- * 10달 화분저장 시, –80℃(개화 5일 후 채취) 온도에서 화분관 신장 가능
(품종개발) 시장 맞춤형 우량계통 선발 및 품종화
- (육성) 내한성 강한 정원장미 ‘원교D1-421’ 등 10작목 14계통
- * 전문가 평가단 활용 육성계통 평가회 9회 추진, 최종계통선발
- (출원) 장미 ‘루비레드’, 포인세티아 ‘불꽃’ 등 8작목 15품종
- * 국내 13건, 해외 2건: 장미 ‘레드팝’, ‘루비블랑’(케냐)
- (등록) 팔레놉시스 ‘타이니벨’, 철쭉 ‘스몰스타’ 등 10작목 17품종
- * 국내 16건, 해외 1건: 장미 ‘미스틱블루’(케냐)
- 절화장미
'원교 D1-402'
- 정원장미
'원교 D1-422'
- 분화용 나리
‘원교C1-143호’
- 절화프리지아
‘원교C3-88’
- 팔레놉시스
‘원교F2-61’
- 심비디움
‘원교F1-80’
(보급확대) 중앙-지방 협업의 현장 실증 및 주산지 보급 확대
- (현장실증) 국산 화훼 시범 재배 농가 31곳 선정 및 신품종 보급
- * OTO 종간잡종 나리 ‘핑커몬드’ 등 7품목 33품종 23만주 보급·실증
- (기술지원) 주산지별 육성품종 특성 설명 및 현장 기술지원 35회
- (보급확대) 성장 가능 작목 보급률 제고: (’22) 40.0% → (’23) 41.3
- * 거베라: (’22) 30.2% → (’23) 31.0, 포인세티아: (’23) 49.1 → (’23) 50.7
- (기술이전) 팔레놉시스 ‘조이풀’ 등 16품종 18건 10.9백만주(13.4백만원)
<우수사례 : 2023 고양국제꽃박람회 우수 품종상 수상>
- 원예원 육성 화훼 품종 「신품종 콘테스트」 참가
- 장미, 선인장 등 7작목 24품종 전시·홍보
- ☞ 우수 품종상: 포인세티아 ‘플레임’, ‘슈가볼’
2. 화훼 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생산·이용 기술 개발
(종묘품질) 화훼 규격묘 기준 설정 및 품질관리 기술 개발
- (규격묘) 종묘 품질 측정 방법 설정 및 유통묘 품질 비교
- * 형태(뿌리, 줄기, 잎)/생리(뿌리활력 등)·병리적 특성 기준의 측정 방법 설정
- * 국화 수입삽수 고온기 품질저하, 장미·호접란 수입묘 균일도 우수(국산대비)
- (품질관리) 우량묘 생산을 위한 모주 갱신주기 구명 등 관리 기술 개발
- (장미·국화) 모주 종류(삽목묘/조직배양묘)별 1년차 묘 품질 비교
- * 장미: 삽목묘 대비 조직배양묘 신초수 37%, 신초길이 12% 증가
- * 국화: 삽목묘 대비 조직배양묘 고온기 로젯트 미발생
- (난·거베라) 모주 연차별 기내 증식력 및 품질 평가
- * 팔레놉시스: 2년생 대비 3년생 모주의 기내 증식력 54% 증가
- * 거베라: 기내도입 1/2년차 모주의 종묘 증식률 유사(4∼6배, 2년 사용가능)
(안정생산) 고품질 화훼 생산을 위한 최적 재배 기술 개발
- (대형단동) 고온극복 온실 환경 적합 화훼 생산기술 개발
- (장미․거베라) 정식시기·재배환경에 따른 생육 및 개화 특성 비교
- * (장미) 7월 정식시 생육 14% 향상(관행 3월 대비) (거베라) 대형단동 개화소요일 7〜36일단축
- (프리지아) 절화 및 구근 안정생산을 위한 양액재배기술 개발
- * 펄라이트 단용 배지 구근 증식률 1.1〜3.6배 우수(피트모스 혼합 배지 대비)
(이용) 온라인 유통 화훼 현황 및 문제점 조사
- 온라인 유통 화훼의 계절별 운송 중 온도 및 품질 차이 발생
- * 운송 중인 택배상자 내부 최고 온도(℃): 봄 28, 여름 33, 가을 30
- * 장미 절화수명(건식유통, 조사 20℃): 봄 16.4일, 여름 12.4일, 가을 13.9일
<우수사례 : 호접란 규격 종묘 평가 기준 설정>
- Leaf span 기준 크기 구분(4등급, mm)
-
실명, 업무영역, 주요임무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묘 종류 |
소 |
중소 |
중대 |
대 |
조직배양묘 |
(79.0)∼94.9 |
95.0∼104.9 |
105.0∼112.9 |
113.0∼(148.0) |
순화묘(포트묘) |
(121)∼180 |
181∼190 |
191∼209 |
210∼(269) |
- * 규격별 생장 및 생리학적 특성 평가(예정)
3. 화훼 소비 활성화를 위한 경관화훼 활용 기술 개발
(모델개발) 식물 소재 다양화를 통한 식재 모델 개발 및 확대 적용
- (공공이용) 여름철 열대풍 거리화분 모델개발 및 현장실증재배
- 열대풍 거리화단 혼합형 모델개발 및 현장실증 지역 확대(16개소)
- * 루엘리아 등 습생식물과 초화를 혼합한 저관리 모듈형 화분세트 3종
- (대규모) 경관활용 화종 선발 및 관상 기간 연장 기술 개발
- 적산온도 활용 만개기 GDDGrowing degree day 분석을 통한 봄경관 화종 선발
- * 소래풀, 네모필라, 중국물망초, 캘리포니아 블루벨 등 9종
- 초화류 파종시기 조절을 통한 관상기간 조절(소래풀 등 9품목)
- * 봄 경관화훼 파종기 조절: 전년 10∼11월 → 2∼3 변경 시 관상기간 5월 → 6(1개월) 연장
(부산물이용) 경관용 화훼 향기 관련 시기별 대사체 성분 분석
- 장미 향기 분석과 쑥부쟁이류 대사체 성분 조사
- * (장미 향기) 주성분: Lemonel(레몬향), 부성분: linalyl formate(과일향), Citronellol(꽃향)
- * (쑥부쟁이류 대사체) 개화기, 종화기: 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류, 퇴화기 테르펜류
(산업화) 새만금 간척지 활용 나리 구근 생산 및 재배 연구
- 구근 생산을 위한 염 기준 설정 및 간척지 구근 수확시기 구명
- * 염 농도 EC 4 dm/s 재배 가능, 최적 수확기 9월말∼10월말 설정
<우수사례 : 열대풍 거리화단 현장 설명회>
- 거리화단 개발모델 현장실증 우수사례 소개(9.7.)
- (장소) 성남시청, 분당구청 앞
- (내용) 거리화단 조성·관리 방법 및 현장실증 현황 소개
- (참석) 31기관 83명(행안부, 지차제 녹지·공원 담당자, 산업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