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비전 및 목표

  • 식물-인간-환경이 공존하는 도시농업 가치확산
    • 도시농업 참여인구 : (’22) 1,743→(’23) 2,200→(’24) 2,300

주요업무

  •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물 발굴 및 기술 개발
  • 도시농업 공간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활용 모델 개발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생활농업 모델 및 콘텐츠 개발
  • 치유농업 산업 확산을 위한 과학적 효과검증 및 산업화 기술 연구
  • 농업소재 및 활동 기반 치유농업 서비스 모델 발굴 연구

주요성과

도시농업 국민 체감 확산을 위한 연구 성과
추진일정 1/4분기, 2/4분기, 하반기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2022 2023 2024 (예정)
· 환경개선 모델 개발 - 3 4
· 반려식물 발굴 - 1 3
· 한국형 도시텃밭 모델(건) 22 23 25
· 수요자 맞춤형 치유 콘텐츠 개발(건) 17 19 20
1. 식물의 반려기능 구명 및 텃밭·정원 활용 기술 개발
(기능성) 식물 헬스케어 및 반려 식물 발굴 및 효과 구명
  • 반려식물 시각와 후각 자극의 반응원리 구명
    • (시각) 새삼을 활용한 실험에서 Fr/R 비율이 높은 방향으로 이동
    • * 식물은 자외선, Red, Bule에 반응하는 빛 수용체가 있음(시각 기능)
    • (후각) 식물 휘발성 물질(BVOC) 중 Myrecene 방향으로 새삼 이동
  • 환경기능성공기정화 식물(스파티필럼)의 실내 최적환경 구명(비SCI)
    • * 최적광도 120PPFD(μ㏖/㎡/s) 이상, 최적토양수분(VWC) 20% 이상(톨루엔 15% 저감)
  • 바이오월 식물의 녹색 대비 유색 비율 30%에서 과제집중도 우수
    • 무식재 벽면 대비 유색 비율별(0, 30, 50%) 각각 집중도 7.4%↑ 11.1↑ 25.9↓
  • 바이오필터 시제품바이오필터 시제품
  • 유색혼합비율별 집중도유색혼합비율별 집중도
  • R/FR 비율별 새삼 반응R/FR 비율별 새삼 반응
  • 건조내성 식물건조내성 식물
(활용모델) 실내·외 바이오필터 시스템 등 적용 모델 개발
  • 발코니형 바이오필터 시스템의 건물 미세먼지 저감 효과
    • 미가동 대비 PM2.5 28.4%↓
    • * ‘바이오필터 공기청정기’ 특허출원
  • 펜스형 수직정원(그린커튼) 덩굴성식물의 건물 복사열 차단(영농)
    • * (외기25℃) 표면온도 0.5∼1.4℃ 저감, (외기30℃) 0.4∼3.9℃ 저감
  • 도시 침수피해 대응 가로화단 식물 선발 및 식재디자인 개발
    • * (침수내성) 30종, (건조내성) 10종, (식재기준) 10종 (영농2, SCI1, 비SCI2, 정책제안1)
< (특허 ‘바이오필터 공기청정기’) 식물 바이오필터 시스템 개발 >
  • 식물을 활용한 바이오필터 시스템 개발 및 목업 테스트
    • 시스템 구성 : 크기 30x30x30cm, 흡입속도 3m/s, 스프레이 관수
    • 목업(Mock-up) 건물(13.2㎥) 내 바이오필터 가동 시(3대)
      • → 미가동 대비 PM2.5 28.4% 저감 (1시간 기준)
  • 식물 바이오필터 시스템
(생활농업) 중장년·유아 텃밭활동 모델 및 가치 구명
  • (중장년) 기능성 자원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수면개선 효과 분석 <중점과제>
    • 식용·향 식물소재 활용 텃밭정원 활동으로 수면장애 중장년의 수면 개선
      • * 락투신 함량이 많은 ‘흑하랑’ 상추 등 기능성 자원 활용 신체활동과 식생활 활동을 병행한 12회기 프로그램으로 수면장애를 겪는 중장년 참여자 19명 중 12명 수면 개선
      • * 수면다원검사 결과 총 수면시간(329분→371) 증가, 수면잠복기(21분→11) 감소
      • ※ 수면다원검사: 심박수, 뇌파 등 수면 관련 생리학적 변화를 종합적으로 측정
    • 추적관찰(활동 종료 후 3개월) 결과, 수면효율 개선 효과 유지 확인
      • * 수면의 질(PSQI): (사전) 9.3점 → (사후) 5.4(40.6%) → (3개월 후) 5.9(37.6)
      • * 불면증심각도: (사전) 13.4점 → (사후) 6.8(49.3%) → (3개월 후) 7.7(43.6)
< (홍보) 텃밭활동, 수면장애 겪는 도시민에 도움 >
  • 규칙적인 텃밭활동이 수면장애 개선에 효과적임을 최초 입증
    • 기능성 텃밭활동을 통해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중장년 도시민의 수면의 질(PSQI)와 불면증 심각도 개선 확인
      • ※ 수면의학연구소 협업
      • * 수면의 질: (사전) 9.3점 → (사후) 5.4 / 불면증심각도: (사전) 13.4점 → (사후) 6.8
    • 수면다원검사 결과, 총수면시간 42분 연장, 수면잠복기 10분 감소
  • 수면의 질 변화
  • (유아) 텃밭정원 프로그램을 통한 식사패턴 및 건강 개선 효과 분석
  • 유아 적정 신체활동·식생활을 반영한 텃밭정원 활동으로 식습관 및 신체역량 등 건강 개선 효과 확인
    • * 식습관 지도 평가(식사패턴, 위생, 예절 등): 66.7점→72.9(9.3%↑)
    • * 신체활동역량 지수: 34.1점→42.2(23.6%↑)
      • ※ 프로그램 회기 수에 증가에 따라 식습관 지도평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식습관 개선효율의 경우는 16회기 이후부터 감소함
  • 식습관 지도평가지수
2. 치유농업 효과검증 및 원예작물 활용 콘텐츠 개발
수요자 맞춤형 텃밭 모델 및 지속가능 관리기술 개발
  • (심리안정) 우울·조현병 환자대상 병의원연계 콘텐츠 개발 및 효과검증
    • (우울) 인지행동전략 적용 식물생명 주기 통합 콘텐츠 개발(영농 1)
    • * 우울 9.4%↓, 불안 9.0%↓, 절망 10.3%↓, (대조군 대비) 스트레스 지수 15%↓
  • (조현병) 긍정심리 적용 비약물중재 치유농업 프로그램(기술보급서 1)
    • * (자율신경계) 활성도 8%↑, 스트레스 저항도 7.7%↑, 부교감활성 27% ↑
    • ☞ 병의원 내 정원, 쾌적한 휴게공간 등 기 구축된 치유농업공간 인프라 활용성 증가
      ☞ 국민 비용부담 완화를 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의료수가 청구 방안 모색
  • (종횡무진) 우울 고위험 청년 심리지원 단위활동 콘텐츠 3종 개발(영농 3)
    • * (이식)심장안정도 5%, (꽃바구니)자존감 11%↑, (샐러드‧허브음료만들기)자율신경균형도 8%↑
< (국민정책디자인) 농업‧농촌이 전하는 녹색 처방전, ‘치유농업’ >
  • 현장성 높은(예방형~특수목적형) 치유농업 콘텐츠 5종 개발
    • 치유농업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이동‧재택활동 지원(안) 도출
      • * ‘안심 힐링 CAR’ 시범 운영, 재택 구독 서비스 ‘Growing Kit’, 캐릭터 ‘보듬이’ 개발
    • ※ 23년 농진청 자체 정부혁신 통합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 최우수상 수상
(신체재활) 사회서비스 연계 뇌졸중 후 마비 장애인 재활 치유농업 모델 개발
  • 마비측 하체 근육활성에 유효한 치유농업동작 4종 선정(영농 1건)
    • * (하체활성동작) 서서 수확, 서서 땅파기, 앉아서 제초, 앉아서 수확
  • 치유농업동작 활용 재활 콘텐츠 개발 및 신체기능 향상 효과분석(비SCI 1건)
    • * (하체근력 향상) 서서 수확 동작 시 근활성도 3.5% ↑(56(RVC%) → 58)
    • * (보행능력 향상) 속도 9.7%↑(82 걸음/분→90), 보폭 6.4%↑(62 ㎝/걸음→66)
    • * 재활동작 대비 농업동작 시 앞쪽어깨세모근 부위 근활성도 42.4% 높음
지역 사회서비스 연계 편마비장애인 바우처 활용 치유농업 모델
  • 지역 사회서비스 연계 근육재활 치유농업 모델 개발
    • 상체근육활성동작 3종(’22), 하체근육활성동작 4종(’23) 선정
    • 근육활성 치유농업동작 7종 활용 16주 재활 콘텐츠 효과검증
    • 장애인복지관(수요자)+자활센터(공급자) 연계 활용방안 검증
  • ☞ 전북지역 특화 편마비장애인 바우처 활용 치유농업 모델 정책제안
  • 근육재활 치유농업 모델

중점방향

  •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물 발굴 및 기술 개발
  • 도시농업 공간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활용 모델 개발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생활농업 모델 및 콘텐츠 개발
  • 치유농업 산업 확산을 위한 과학적 효과검증 및 산업화 기술 연구
  • 농업소재 및 활동 기반 치유농업 서비스 모델 발굴 연구

추진계획

  • 식물의 가치발굴과 이용 확산
    • 원예식물의 환경개선 및 공기정화 연구
    • 실내외 환경개선을 위한 헬스케어식물 연구 및 배치 모델 개발
  • 도시공간의 농업적 활용 기반 조성
    • 헬스케어식물을 활용한 실내·외 정원 모델 개발
    • ICT를 활용한 스마트 정원 관리 및 생산·유통 시스템 개발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생활농업 모델 및 콘텐츠 개발
    • 텃밭 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원탐색 및 생태순환 관리기술 개발
    • 교육․문화 융합형 도시농업체험 모델 및 콘텐츠 개발
  • 기능성 치유자원 발굴 및 활용 기술 개발
    • 기능성 치유농업 자원 발굴 및 단위 활동 기술 개발
    • 치유농업 서비스 표준화를 위한 기준설정 연구
    • 치유농업 산업 확대를 위한 산업화 기술 개발 연구
  • 대상자 맞춤형 치유농업 서비스 모델 개발
    • 특수목적 치유형 치유농업 서비스 모델 발굴 연구
    • 건강증진 예방형 치유농업 콘텐츠 개발 및 체계화
    • 치유농업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제도 및 정책 지원 연구

전문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도시농업기반연구실
연구목표 ◦ 식물의 환경개선 기능성 발굴 및 한국형 도시농업 모델 개발
핵심성과 ◦ 식물 헬스케어 및 반려 기능 구명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내·외 바이오필터 시스템 개발
◦ 수요자 맞춤형 텃밭모델 및 지속가능 관리 기술 개발
◦ 교육형 농업체험 콘텐츠 및 학교텃밭 관리 매뉴얼 개발
대표과제 ◦ 학교 실내외 텃밭정원을 활용한 그린학습 공간 조성 가이드라인 개발
주 요
연구내용
◦(기능성발굴) 실내·외 정원식물의 공기정화 및 반려 기능성 연구
◦(자원생산) 헬스케어 정원식물의 재배 및 유통이력제 연구
◦(텃밭모델) 교육·문화 융합형 텃밭모델 및 체험 콘텐츠 개발
◦(탄소중립) 기상재해극복을 위한 생태순환 관리기술 개발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치유농업기반연구실
연구목표 ◦ 식물을 이용한 교육・치유・사회적 통합 기능 구명에 관한 연구
핵심성과 ◦ 유아(특수교육), 노인(편마비), 성인(발달장애인, 우울고위험군, 조현병환자) 대상 치유농업의 치유적 효과 검증 및 활용기술 개발
◦ 치유농업 외연 확장을 위한 관계부처 협업 현장 적용 추진
◦ 치유농업법 관련 산업화·제도·정책지원 연구
대표과제 ◦ 치유농업 콘텐츠 효과평가 기술 개발 및 운영 기준 설정
주 요
연구내용
◦ (단위기술) 치유농업 관련 혁신적 단위기술 및 방법론 개발
◦ (효과검증) 농업활동을 통한 건강증진 및 치유효과의 과학적 검증
◦ (원인구명) 치유농업기본 원리와 치유 효과 기작 구명
◦ (모델개발) 치유농업-사회서비스 연계 사업 모델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