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연구실명 | 시설재배시스템연구실 |
---|---|
연구목표 |
◦ 원예시설의 안전성 평가 및 구조개선 기술 개발 ◦ 작물별 내재해형 전용온실 및 비가림시설 모델 개발 ◦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력․자동화장치 개발 ◦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딸기 육묘 재배를 위한 내재해형 규격 온실 모델 2종 개발
- 온실 제원 : 폭 12.2, 동고 4.3, 측고 2.0, 방풍벽 간격, 0.9m ◦ 딸기 생장부위(근권, 관부) 부분난방 및 온수양액공급으로 에너지 효율 증진 - 관부난방(23℃) + 온수양액(23℃)으로 관행 대비 4.9% 증수 - 공간 온도 : 10℃ → 5℃ 적용으로 난방비 46% 절감 ◦ 에너지 소비를 줄인 고효율 가열식 양액 살균장치 개발 - 제원 : 살균온도 80℃, 처리용량 1ton/h, 에너지 92% 절감 * 개발 살균장치 이용 10ton/일 씩 30일간 양액 처리시 전기요금 약 10만원/월 ◦ 면적당 생산성을 높인 회전형 작물재배시설 개발 - 동일 면적 온실 내 작물 재식 주수 80% 증가(7,200주/10a→12,960) * 온실 당 조수익 80% 증가, 소득 132% 증가(11.9백만원/10a→27.6) 예상 |
대표과제 |
◦ 가용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 효율 향상 연구 ◦ 만감류 시설재배에 적합한 비닐온실 모델 개발 ◦ 섬유강화플라스틱을 활용한 온실의 구조개선 연구 ◦ 장기성 피복재의 특성 및 재배 효과 분석 ◦ 시설재배시 이상기상 대응 냉방효율 증진 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겨울철 저온기 히트펌프 효율 향상기술 개발 ◦ 개발한 만감류 온실에 적합한 환기 시스템 설계 ◦ 기존 강관 자재를 FRP자재로 활용하는 기술 개발 ◦ 개발 장기성 PO필름의 2년차 특성 변화 및 작물 재배 효과 분석 ◦ 단동 온실 적정 냉방기술 개발 |
연구실명 | 디지털수경재배연구실 |
---|---|
연구목표 |
◦ 친환경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개발 ◦ ICT 이용 정밀 양수분 관리기술 연구 |
핵심성과 |
◦ 시설과채류 순환식 수경재배 양액 재사용 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 - 작목별(딸기 등 4종) 양액관리(양액조제·배액희석·양분보정) 기술 * 환경보전·자원절감이 가능한 순환식 수경재배 매뉴얼 발간(12.8), 농식품부 브리핑(12.13) ◦ 스마트 온실의 순환식 수경재배 기술 개발 및 현장실증(다부처 공동) -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 실증 및 비료절감률 산출(비순환 대비 40~50%↓) * 개발 시스템 : UV 살균 시스템, 양분제어 플랫폼, 이온센서 및 제어모듈 |
대표과제 |
◦ 급배액 및 재배환경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수경재배 정밀 제어 연구 ◦ 물부족 대응 주요 채소 생체정보모니터링 기법을 활용 정밀 양수분 관리시스템 개발 ◦ 폐양액 배출제로형 수경재배 현장 실용화 기술 개발 ◦ 박과류 채소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연중 생산기술 및 적합품종 발굴육성 |
주 요 연구내용 |
◦ 급배액 및 재배환경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배지경 및 순수 수경재배 정밀 급액 기술개발 ◦ 물부족 대응 주요 채소 생체정보모니터링 기법을 활용 정밀 양수분 관리시스템 개발 ◦ 배출제로형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양액관리 기술 개발 ◦ 수경재배 부산물 수거·처리·재활용 체계 구축 및 자원화 협력·지원 ◦ 환경부하 경감을 위한 배액 배출기준 설정 및 수질정화 처리방안 모색 ◦ 수출 멜론 적합 품종 선발 및 과실 품질향상을 위한 수경재배 기술 개발 |
연구실명 | 복합환경제어연구실 |
---|---|
연구목표 |
◦ 시설원예 생산성 증대를 위한 지능형 환경제어 및 ICT 융합기술 개발 ◦ 작물 생육지표 및 생육측정 표준화 연구 |
핵심성과 |
◦ 차세대 온실 종합관리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 사물인터넷 기반 이종 스마트팜 장비 통합관리 기술 확립(출원 3종) - 농업용 앱 개발 도구 및 민간 개발자 지원 홈페이지 구축 - 민간 상용화를 위한 현장평가회 개최 및 산학연 협의체 운영 ◦ 빅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환경·생육·생리 정보 자동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영상분석 및 인공지능 이용 과실 생육·품질 정량화 알고리즘 개발 - 생체중 예측을 통한 생육 단계별 정밀 관수 제어 활용 * 생체중을 통한 생육기-과실비대기-성숙기 예측(정확도 R2 = 0.98) - 영상분석을 활용한 과실 품질 정량화 지표 ‘멜론 네트지수’ 개발 |
대표과제 |
◦ Big 데이터 기반 시설원예 디지털 농업 요소기술 개발 ◦ 미세먼지에 의한 농작물 생산피해 예측 및 평가기술 개발 ◦ 파프리카 생육·수확량 예측 및 온실 환경 모델 개발에 의한 데이터 수집·표준화 ◦ 시설원예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한 구조, 자재 3차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
주 요 연구내용 |
◦ 차세대 온실 종합 관리 플랫폼 개발 ◦ 미세먼지가 시설재배작물에 미치는 영향 및 세척제 이용 효과 구명 ◦ 시설재배 작물 생육 모델링 연구 ◦ 온실환경에 따른 작물 반응 및 생리지표 모델 개발 ◦ 시설원예 디지털 트윈 3차원 객체 모니터링 ◦ 시설재배 작물 모델링 기반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