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확인방법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로고(심볼+기관명)
엑스 표시: 전체 메뉴 닫기

원예특작환경과

비전 및 목표

원예·특용작물의 고품질 안전 농산물 생산 지원 강화
  • 첨단기술을 활용한 병해충 진단기술 개발 및 실용화
  • 환경친화적 병해충 방제자재 개발 및 방제체계 확립
  • 친환경 토양 양·수분 관리기술 및 토양개량 기술 개발

주요업무

  • 원예·특용작물 병해충의 진단·생리생태 및 저항성 검정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용작물 병해충의 예방 및 방제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용작물 바이러스 및 초미세 병원체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용작물 시비법의 개선과 토양 및 양·수분 관리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용작물 토양미생물의 농업적 이용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용작물 잡초 방제에 관한 시험·연구

주요성과

해충 무인 트랩 종류별 예찰 효과 검증(PIS)
  • 고추, 토마토 미소해충 대상 포획, 자료수집, 자동화 기능 등 성능 비교
    • * 대상 트랩: 2종(올인원트랩, 오토롤트랩) * 대상해충: 총채벌레, 가루이, 진딧물
    • ⇒ 미소해충 3종 정밀예찰 및 무인자동화 트랩으로 오토롤트랩 선발
    • * 수집 안정성 99.6%, 수집 신뢰도 98.6%, 무인자동화 40일 이상 가능 등
수경재배 양액 내 문제 병원균 모니터링 및 진단기술 개발
  • 현장에서 발생하는 병원균 수집 및 동정
    • * 문제 병원균 14종 확인(토마토 6, 파프리카 5, 딸기 3)
  • 토마토 풋마름병, 파프리카 뿌리이상비대병 정량 진단법 개발
    • * qPCR 및 Digital PCR 기반 병원균 밀도 분석 및 최소 검출한계 검정(101 cfu 검출)
바이러스 항체 생산기술 고도화 및 진단키트 개발
  • 펩타이드를 이용한 바이러스 항체 대량 생산기술 확립
    • 잠두위조바이러스2BBWV2 펩타이드 합성 및 항체(IgG) 선발
    • * 민간업체 대상 바이러스 진단키트 기술 전수 및 상용화(’22∼)
원예부산물 바이오차 이용 효과 및 투입 방법 구명
  • 사과나무 전정 가지의 바이오차 활용 시 과원 탄소수지 평가
    • 사과원의 바이오차 투입 시 연간 순 탄소저장량 산정
    • * 사과나무 바이오매스의 연간 이산화탄소(CO2) 흡수량: 3.02 ton/ha/년
    • * 전정가지 제거에 의한 연간 CO2 배출량: 2.32 ton/ha/년
    • * 전정가지의 바이오차 제조 시 연간 CO2 격리량: 0.88 ton/ha/년
    • * 연간 순 탄소저장량 = 3.02–2.32 + 0.88 = 1.58(관행대비 126% 증가)
시설채소 재배지 염류 경감기술 개발
  • 근권 볏짚 투입 후 관수 제염 처리에 의한 염류 경감 효과 구명(토마토)
    • * 토양EC: 5.2(관수제염)→3.2, 생육(초장, 정식 80일): 158cm(관수) >109cm(무처리)
기계 정식 확산을 위한 양파 시들음병 방제기술 개발
  • 재사용 육묘판 소독기술 현장 적용 및 방제약제 선발
    • (소독) 열수 이용기술 현장 적용
    • * 버섯재배사 이용(함양양파연합회 협업)
    • (약제) 육묘상 방제용 약제 약효·약해 시험 및 농약직권등록 추진
    • * 피디플루메토펜 액상수화제 등 4종 양파 육묘상 시들음병 농약 직권 등록 (’23.10.)
과수원 주요 병해충에 대한 농약 저항성 모니터링
  • (복숭아 탄저병) 전남·경북지역 5개 주산지 80 균주 대상 약제(4계통) 저항성 검정
    • 약제별 저항성 발현 경향이 지역별 큰 차이 없이 전국적으로 유사한 경향
    • * 저항성(피라클로스트로빈), 저감수성(티오파네이트메틸), 감수성(플루아지남, 테부코나졸)
  • (사과 겹무늬썩음병) 호남지역 240 균주에 대한 약제 저항성 평가
    • 시험대상 4 계통 모두 감수성
    • * 베노밀, 플루아지남, 피라클로스트로빈, 테부코나졸
  • (사과·배 조팝나무진딧물) 5 지역 발생 진딧물 대상 10종 약제 저항성 평가
    • 경기도보다 강원도 지역에서 저항성 발현 수준이 높았으며, ‘플루피라디퓨론·플로니카미드·아피도피로펜’은 두 지역 모두에서 저항성임
    • * (경기) 벤퓨라카브 등 7종(감수성), 플루피라디퓨론 등 3종(저항성)
    • * (강원) 벤퓨라카브 등 2종(감수성), 이미다클로프리드 등 8종(저항성)

중점추진계획

최종목표
  • 원예·특용작물의 고품질 안전 농산물 생산 지원 강화
중점 개발방향
  • 노동력 절감과 환경보전 등 사회적 현안 대응 강화
  • 농산물 안정생산지원을 위한 농업 현장 현안 과제 확대
  • Ⅰ.병해충 피해 확산 조기 대응 (진단 및 예찰·예측)
    • 주요 병해충 무인 예찰 및 디지털 방제력 개발
    • 수경재배 양액 내 병원균 간편 진단기술 개발
    • 바이러스 항체 생산기술 고도화 및 진단키트 개발
  • Ⅱ.사회·환경 문제 대응 (부산물 자원화, 물관리 자동화)
    • 노지 과수 양·수분 관리 자동화
    • 채소 부산물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
    • 원예부산물 바이오차 이용 효과 구명
  • Ⅲ.농업 현장 현안 해결 (병해충 방제 및 토양관리 효율화)
    • 주요 원예작물 탄저병 방제체계 개선
    • 시설채소 재배지 염류 경감기술 개발
    • 기계 정식 확산을 위한 양파 시들음병 방제기술 개발
    • 사과원 주요 병·해충의 농약 저항성 모니터링

전문연구실

연구실명 병해충기초기반연구실
연구목표 ◦원예작물 병해충 모니터링 및 분리동정 연구
◦원예작물 병해충 진단법 개발 및 활용 연구
◦원예작물 병해충 발생생태 및 방제 연구
◦원예작물 저항성 검정 및 평가 연구
핵심성과 ◦ 농업현장 병해충 신속 진단 및 정보 확산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 토마토 수경재배 양액 내 병원균 진단기술 개발
◦ 원예작물 바이러스 현장 진단키트 개발
◦ 과수원 주요 병해충에 대한 농약 저항성 모니터링
대표과제 ◦ 양파 기계정식을 위한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기술 개발 및 육묘체계 구축
주 요
연구내용
◦ 순환식 수경재배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양액 내 병원균 관리기술 개발
◦ 원예작물 바이러스 현장진단용 항체 생산기술 고도화 및 진단키트 개발
◦ IT 활용 과수화상병 조기 진단 시스템 및 DB 구축
◦ 주요 과수류의 고위험 문제 병해 특성조사 및 조기 진단· 방제 정보 인벤토리 구축
◦ 농작물 발생 주요 병에 대한 농약 저항성 조사
◦ 무병징 잠복 바이러스 진단을 위한 고감도 검출 시스템 개발
◦ GAP 적용 채소 육묘 해충 발생 예측모델 및 최적 관리 기술 개발
연구실명 디지털방제연구실
연구목표 ◦병해충 무인예찰 체계 구축
◦병해충 발생 예측 모델 개발
◦방제적기 예측 및 방제 약제 추천 알고리즘 개발
◦모형 플랫폼 및 방제의사결정 전문가 시스템 구축
핵심성과 ◦ 고추, 토마토 미소해충 대상 ‘오토롤트랩’의 무인 예찰 효과 검증
◦ 사과·배 조팝나무진딧물에 대한 농약 저항성 모니터링
◦ AI 기반 해충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복숭아, 포도 해충 영상정보 획득
대표과제 ◦ 고추, 복숭아 주요 병해충 무인예찰체계 구축 및 디지털방제력 개발
주 요
연구내용
◦ 과수류의 해충 영상정보 확보 및 진단기술 개발
◦ 농작물 주요 해충에 대한 농약 저항성 조사
◦ 기후변화에 따른 채소, 과수의 주요 관리병해 방제효율 증진기술 개발 연구(사과 탄저병)
연구실명 토양관리연구실
연구목표 ◦원예 토양환경 모니터링 및 개선
◦원예작물 양·수분관리 자동화
◦시설 토양 염류피해 경감 연구
◦원예 부산물 자원화․이용 기술
핵심성과 ◦노지 과수 양·수분 관리 자동화
◦채소 부산물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
◦원예부산물 바이오차 이용 효과 및 투입 방법 구명
◦시설채소 재배지 염류 경감기술 개발
대표과제 ◦ 시설과채류 토양 염류 경감을 위한 유기자재 활용 기술 및 유럽종포도 양·분관리 기술 개발
주 요
연구내용
◦ 가지과 채소류부산물 자원화 및 활용 연구
◦ 주요 과수 신품종의 과일 품질에 미치는 토양환경 요인 분석
◦ 기후변화 대응 원예작물 지속 생산을 위한 토양 탄소 관리기술 개발
◦ 토양 센서 활용 노지 과수의 양ㆍ수분 관리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