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명 | 병해관리연구실 |
---|---|
연구목표 |
◦ 주요 원예작물의 병해 모니터링 및 병원균 분류 동정, 신속 진단 기술 개발 ◦ 원예작물 육성품종의 병 저항성 평가 및 친환경 방제 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농업현장 병해충 신속 진단 및 정보 확산으로 고객 만족도 제고 ◦ 병해충정보 신속 확산을 위한 현장 맞춤형 책자발간 및 전문 컨설팅 ◦ 원예작물 잠복성 병원균 다중 진단 기술 구축 및 현장 진단용 장비 개발 |
대표과제 |
◦ 원예작물 병해 임상진단 및 주요 원예작물 병해 발생 모니터링 ◦ 양파 기계정식을 위한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기술 개발 및 육묘체계 구축 |
주 요 연구내용 |
◦ 농업현장 발생 이상증상 임상진단 및 주요 병해 발생현황 모니터링 ◦ 과수 화상병의 조기진단 인공지능학습용 이미지 수집 분석 ◦ 주요 채소의 병해 발생 생태 구명 및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 기후변화 대응 주요 원예작물의 잠복성 병원균 검출 및 진단기술 개발 ◦ 원예작물 병해의 분자생물학적 진단과 병원성 관련 유전자 기능분석 |
연구실명 | 해충관리연구실 |
---|---|
연구목표 |
◦ 원예·특용 작물 해충의 동정, 예찰 및 발생생태 연구 ◦ 원예·특용 작물 해충의 친환경적 관리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매실 가해 복숭아씨살이좀벌 친환경 방제용 암컷 성페로몬 개발 ◦ 시설 작물의 꽃노랑총채벌레 방제용 친환경 자재 선발 및 관리 기술 개발 |
대표과제 |
◦ 소과류에 문제되는 해충의 발생생태 및 친환경 방제 연구 ◦ 시설 고추 가해 바이러스 매개충 전염기작과 친환경 종합방제 기술 연구 |
주 요 연구내용 |
◦ 인공광 활용 고추 바이러스 매개충 방제 및 친환경 방제용 식물정유 이용 기술개발 ◦ 고추 총채벌레류 친환경 방제용 식물추출물 선발 및 방제 기술 개발 ◦ 고추에서 방충망과 반사필름을 이용한 총채벌레류 방제 기술 개발 ◦ 체리에 발생하는 벗초파리의 생태 및 약제 방제 연구 ◦ 사과·배 조팝나무진딧물 등록 약제의 작용기작별 저항성 검정 연구 |
연구실명 | 바이러스관리연구실 |
---|---|
연구목표 |
◦ 바이러스.초미세병원체 진단기술 및 발생생태 구명 ◦ 원예.특용 작물 바이러스병 피해예방 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원예.특용작물 바이러스 진단키트 개발 및 보급 ◦ 신 문제 바이러스 분리 동정 및 피해 특성 조사 ◦ 과수 바이러스 유전자 정밀진단 기술 개발 |
대표과제 |
◦ 원예 및 약용작물 바이러스병의 현장 진단키트와 예방 매뉴얼 개발 ◦ 채소 병해충 및 토양의 친환경 관리를 위한 광물자원과 수산부산물 활용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채소 및 과수작물 바이러스 진단기술 개발 ◦ 토마토 및 박과작물 문제 바이러스병 발생 및 피해 특성 조사 ◦ 채소 및 과수작물 바이러스 진단기술 개발 및 보급 ◦ 고추 바이러스-매개충의 전염 기작 연구 ◦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물질 탐색 및 현장 적용 연구 |
연구실명 | 토양관리연구실 |
---|---|
연구목표 |
◦ 원예⋅특용작물의 지속·안정생산을 위한 토양 종합관리기술 개발 ◦ 원예작물 생산성 증진을 위한 디지털 양·수분관리 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기후변화 대응 사과 전정지 활용 토양탄소 관리 기술 개발 ◦ 친환경 유기액비를 활용한 무기비료 대체 양분 관리기술 개발 |
대표과제 |
◦ 토양센서활용 노지과수 양·수분관리 기술 개발 ◦ 기후변화 대응 원예작물 지속 생산을 위한 토양 탄소 관리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원예작물 재배지 안정생산을 위한 토양관리 현장적용 기술 개발 및 실용화 ◦ 유럽종포도 “샤인머스캣” 의 지속안정생산을 위한 양분관리 기술 개발 ◦ 원예작물 생육촉진 물질 탐색 및 비료 대체자원 활용 기술 개발 ◦ 원예작물 재배지 연작피해 경감을 위한 유기자재 활용 토양관리기술 개발 ◦ 원예작물 토양센서 및 생체정보센서 활용 디지털 양수분관리 기술 개발 ◦ 원예작물 지속안정생산과 탄소중립 기술 실현을 위한 농업부산물 활용기술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