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기초기반과 원예작물부

비전 및 목표

채소 안정생산 기술개발 및 수요자 맞춤형 품종육성
  • 이상기상 대응 안정생산 및 데이터 기반 스마트 농업기술 개발
  • 채소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품종 및 육종기술 개발
  • 육종효율 제고를 위한 데이터 기반 디지털육종 전환
    • (채소산업) : (’19) 11.1조원 → (’22) 13.2 → (’24) 14.6

주요업무

  • 채소 유전자원 수집·평가 및 신품종 육성에 관한 시험·연구
  • 채소 재배기술 개발, 생리생태 및 기상재해 관련 시험·연구
  • 채소 분자육종 및 신육종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주요성과

(품종개발) 미래수요 대응을 위한 주요 채소 품종육성 및 보급
  • 내병성 수박 직무육성(1), 내서성 배추, 고당도 딸기 등 품종출원(4)
    • (품종육성) 덩굴쪼김병 race 1 저항성 수박 ‘원예513’
    • (품종출원) 배추 내서성 ‘원교20053호’, 고당도 딸기 ‘핑크캔디’, 수박 ‘원예512’ 등
  • 배추 내서성 ‘원예20053’배추 내서성 ‘원예20053’
  • 고당도 딸기 ‘핑크캔디’고당도 딸기 ‘핑크캔디’
  • 수박 ‘원예512’수박 ‘원예512’
  • 수박 ‘원예513’수박 ‘원예513’
[디지털육종] 채소 디지털육종 기술 개발 및 민간육종 지원
  • (실용화) 현장수요 반영 채소 마커세트 개발 및 현장 보급 확대(’15∼’24)
    • (기술개발) 배추·수박 등 7작목 여교배 세대단축 등 마커 개발(특허 23건)
    • (기술보급) 기술이전(120건, 5.2억원), 종자산업진흥센터 마커분석서비스 수행
    • (현장확산) 마커세트 기술설명회(’23) 및 워크숍(’24), 실무 매뉴얼 등 책자 발간(4건)
  • (기반기술) 작목별 오믹스데이터 축적 및 유전자교정 소재 개발
    • (선도모델) 딸기 훈련집단(6조합 300점) 유전형(50K) 및 표현형·대사체 데이터 축적
    • (유전자교정) eIF(iso)4E 유전자교정 배추 후대(T2) TuMV 저항성 계통 변이분석
  • 마커기술 자료집 발간(’23)마커기술 자료집 발간(’23)
  • 마커세트 활용 워크숍 개최(’24, 157명 참석)마커세트 활용 워크숍 개최(’24, 157명 참석)
  • 딸기 순계 전사체 분석딸기 순계 전사체 분석
  • 배추 유전자교정배추 유전자교정
(여름배추) 준고랭지 여름배추 안정생산
  • (신작형) 준고랭지 여름배추 조기출하 신작형(10→9월) 개발
    • (실증연구, ’24) 수량 5,931∼8,070kg/10a, 상품률 75∼87% (7월中·下정식→ 9월下수확)
    • ☞ 장기간 이어진 이상고온(평년대비 3.1℃↑, 8.15.~9.18.)에서도 정상적으로 출하
  • (新재배지) 준고랭지 후보지 선정: 967ha(강원 533, 전북 248, 경남 156)정책제안
    • (기준) 재배환경, 생산여건, 배수 여건 충족되는 필지면적이 읍면기준 10ha 이상
  • 고온경감기술 실증고온경감기술 실증
  • 이상고온시기 출하(‘24.9.)이상고온시기 출하(‘24.9.)
  • 준고랭지 재배 후보지준고랭지 재배 후보지
  • 재배후보지 현장조사재배후보지 현장조사
(고추기계화) 고추 생력형 육종소재 및 재배기술 개발
  • (육종) 고추 노동력 절감 및 안정생산을 위한 생력형 품종 개발
    • 기계수확 적합 근권부 우수 자원 선발, 집중착과형 계통확대, 품종개량
  • (재배) 직파 및 육묘법, 기계정식, 밀식재배, 유인방법 개선 기술 보급
    • 정식시기에 따른 일시수확 효율 검정, 재식거리에 따른 수량성 검정, 작부체계 개선 모색
  • 근권부 우수자원근권부 우수자원
  • 영상기반 초형 분석기술영상기반 초형 분석기술
  • 밀식재배 수량성 검정밀식재배 수량성 검정
  • 자동정식기 현장평가자동정식기 현장평가
(현안대응) 고온극복 대형단동하우스 과채류 재배실증
  • (재배기술) 대형단동하우스 활용 과채류 최적 재배 기술개발
    • (파프리카) 고온기 작형에 적합한 최적 재배기술급액제어 등 개발 및 경제성분석
    • (토마토) 생산성 및 품질 극대화 조건(생육촉진 처리옥신 등) 확립
    • (딸기) 육묘기 저온·단일 처리에 따른 조기(10월 중순) 수확 기술 개발
  • 파프리카파프리카
  • 토마토토마토
  • 딸기딸기
  • 작물별 재배매뉴얼 개발작물별 재배매뉴얼 개발

중점추진계획

중점방향
  • 이상기상·노동력부족 대응 안정생산 및 스마트 농업기술 개발
  • 지속가능성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품종 육성 및 디지털 육종기술 개발
  • 미래 신성장 동력 확충을 위한 민간 협업 강화
추진계획
  • 안정생산 및 스마트 농업 기술 개발
    • 안정수급을 위한 이상기상 피해경감 기술 개발
    • 노지채소 스마트 재배기술 개발 및 활용
    • 고추 자급률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개발
  • 신품종 육성 및 디지털육종 기술 개발
    • 주요 채소 내재해성, 내병성, 생력형 품종 육성
    • 육종 효율성 증진을 위한 육종기술 개발
    • 디지털육종 기술 개발 및 민간 육종 지원
  • 민간 협업 강화
    • 파급력 있는 성과창출을 위한 민간 소통·협업 강화
    • 농업현장 방문 확대로 현장의 문제 발굴
    • 현장애로 기술 발굴과 선제적 대응기술 개발

전문연구실

채소육종기반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고추 생력형 특성평가 기술 및 육종소재 개발
◦ 배추 내재해성 조기선발 기술 및 및 육종소재 개발
◦ 채소 수요자 맞춤형 육종소재 및 신육종(NBT) 소재 개발
◦ 채소 오믹스데이터 축적·분석을 통한 디지털육종 기반 구축
◦ 채소 유전체 정보 기반 마커세트 개발 및 민간 디지털육종 지원
핵심성과 ◦ 배추 내서성 우수 품종·육종소재 개발 및 현장보급 확대
◦ 고추 영상기반 바이러스 저항성 평가기술 및 육종소재 개발
◦ 8배체 딸기 순계 이용한 표준유전체 해독 및 유전체육종기술 개발
◦ 채소 유전체 정보 기반 세대단축용 마커세트 개발 및 실용화
대표과제 ◦ 준고랭지 여름배추 신작형·고온경감기술 개발 및 지역별 적응연구
◦ 준고랭지 논 토양 대상 여름배추 조기출하 생산체계 개발
◦ 재배안정성 우수 엽근채소 육종소재 및 육종기술 개발
주 요
연구내용
◦ 기계수확 적합 고추 특성 평가기술 및 생력형 육종소재 개발
◦ 배추·무·수박 내재해성·내병성 평가기술 및 우량계통 육성
◦ 채소 디지털육종 집단 구축 및 유전체·표현형·대사체 데이터 축적
◦ 딸기 오믹스통합데이터 기반 병저항성·과실품질 형질선발 기술 개발
◦ 수박·호박·양파 유전체 정보 기반 대량마커 세트 개발 및 실용화
◦ 토마토·상추 병저항성 자원 탐색 및 특성 평가(예비시험)
채소생산기반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기후변화 및 이상기상 대응 채소 안정생산 기술 개발
◦ 노지채소의 생육, 환경 등 데이터 기반 실용화 적용 기술 개발
◦ 채소 묘 생육 데이터 표준화 및 국가참조표준데이터 생산·등록
◦ 배추ㆍ고추 기계화·생력화 요소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핵심성과 ◦ 여름배추 수급안정을 위한 준고랭지 안정생산 기술 확립
◦ 여름배추 표준생산 및 산지 맞춤형 생산체계 개발
◦ 노지 고추 기계화 요소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 배추ㆍ고추 자동정식기 적합묘 생산 기술 개발
대표과제 ◦ 기후변화에따른채소적응비적응생산량변화실태조사
◦ 준고랭지여름배추신작형·고온경감기술개발및지역별적용연구
◦ 작업기부착형고추보온터널설치기개발및적정재배기술연구
◦ 데이터기반비가림고추정밀양수분관리시스템개발
주 요
연구내용
◦ 산지 맞춤형 준고랭지 여름배추 생산체계 구축 및 적용
◦ 준고랭지 여름배추 신작형·고온경감기술 개발 및 지역별 적용연구
◦ 준고랭지 여름배추 작황 관측 기술 확립 및 예측체계 구축
◦ 기후변화에 따른 채소 적응 비적응 생산량 변화 실태 조사
◦ 배추 자동정식을 위한 직립묘 생산 기술 개발
◦ 작업기 부착형 고추 보온터널설치기 개발 및 적정 재배기술 연구
◦ 고추 정식 기계화 적응성 분석
◦ 채소작물(배추, 무, 고추) 영농의사결정 지원 모델 개발
◦ 데이터기반 시설재배 고추 정밀 양수분 관리 시스템 개발
◦ 채소 육묘 GAP기준 마련, 핵심기술 발굴 및 모종 등급 설정 연구
◦ 주요 채소작물 디지털트윈 구축 및 안정생산 알고리즘 개발
채소생리기작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목표 ◦ 주요 채소 생리장해 원인 구명 및 환경제어 기술 개발
◦ 이상기상 대응 주요 채소 피해량 평가 및 경감기술 개발
◦ 영상기반 내재해성 평가 기술 및 표현형 데이터 활용 연구
핵심성과 ◦ 이상기상에 따른 고추 생리반응 구명 및 피해량 산정
◦ 영상기반 배추 내건성 평가기술 개발
◦ 배추 팁번 발생 원인 구명 및 영상기반 진단 기술 개발
◦ 고추 생리장해 이미지 구축을 위한 양분불균형 유도시스템 구축
◦ 수직농장 활용 딸기 우량묘 생산을 위한 최적 광량조건 구명
대표과제 ◦ 영상기반배추내재해성평가기준개발
◦ 수직농장활용딸기우량묘생산을위한수출용육묘시스템개발
◦ 작업기부착형고추보온터널설치기개발및적정재배기술연구
◦ 배추생리장해영상분석기술개발
주 요
연구내용
◦ 이상기상에 따른 고추 피해 수준평가와 경감기술 개발
◦배추 내건성 육종 소재의 생리반응 및 표현형 데이터 구축
◦ 배추 팁번 진단 및 발생 예측모델 개발
◦ 양액재배를 통한 고추의 생육과 양분 관리를 위한 이미지 DB 구축
◦ 수직농장 활용 딸기 화아분화 유도 환경 조건 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