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명 | 채소유전육종연구실 |
---|---|
연구목표 |
◦ 채소 내재해성 품종 육성 및 유전육종 기반기술 개발 ◦ 가지과 및 박과 채소 현장 애로사항 신속해결 |
핵심성과 |
◦ 고추, 토마토, 수박 내재해성 우량계통 육성 및 유전·생리연구 ◦ 고추, 토마토, 수박 병저항성 우량계통 육성 ◦ 소포자 유래 유용 육종소재 개발 및 민간회사 보급 |
대표과제 |
◦ 고추, 토마토 평가집단을 활용한 고온 내성 기작연구 ◦ 주요 박과 유전자원의 유용집단 구축 |
주 요 연구내용 |
◦ 토마토 및 수박 대목용 품종 개발 ◦ 고추, 토마토, 파프리카 고온내성 우량계통 육성, 기작연구 및 수박 내저온성 계통 육성 ◦ 고추 소포자 배양기술을 이용한 육종재료 및 신육종기술 개발 ◦ 고추, 토마토 병저항성 유전자원을 활용한 엘리트 라인 구축 ◦ 수박 주요 병저항성(흰가루병, 탄저병, 덩굴마름병 등) 우량계통 육성 ◦ 씨작은 수박, 라이코펜 고함량 등 기능성 수박 계통 개발 |
연구실명 | 채소소재개발연구실 |
---|---|
연구목표 |
◦ 수요 맞춤 엽근채 품종 육성 및 특성 평가기술 개발 ◦ 소포자 배양기술을 이용한 엽근채 세대단축 및 유용 소재 개발 |
핵심성과 |
◦ 지역맞춤형 배추 육성을 위한 김치 가공적성 우수 품종 개발 ◦ 수요 맞춤 엽근채 품종 육성 및 소재 개발 ◦ 소포자 배양기술을 이용한 배추·무 세대단축 및 신소재 개발 |
대표과제 |
◦ 배추, 무의 환경저항성 및 병저항성 품종 육성 ◦ 소포자 배양 기술을 이용한 내서성배추, 무 신육종소재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배추, 무의 환경저항성 및 병저항성 품종 개발 ◦ 배추 내건성, 무 뿌리혹병 표준 검정법 및 육종소재 개발 ◦ 소포자 배양 및 유전자 교정기술을 이용한 엽근채 유용 육종소재 개발 ◦ 수요자 맞춤형 무, 배추 핵심자원 수집, 평가 및 모본 육성 ◦ 이용편이성, 저장성, 기능성 우수 상추 품종 육성 개발 |
연구실명 | 채소육종기반연구실 |
---|---|
연구목표 |
◦ 주요 채소의 유전체정보 기반 분자육종 체계 구축 ◦ 채소 작물의 신육종기술(NBT) 개발 기반 구축 |
핵심성과 |
◦ 8배체 딸기 순계 이용한 표준유전체 해독 완료 및 유전체육종기술 개발 ◦ 채소 유전체정보 기반 종자기업 맞춤형 초고속 대량마커 개발 및 실용화 |
대표과제 |
◦ 국내 딸기 고정계통의 유전체 해독 및 주요 형질연관 유전분석 ◦ 수박 고속대량 분자표지칩 활용기술 및 덩굴마름병 저항성 연관 정밀마커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배추 기반 바이오의약품 생산 맞춤형 세포공장 기술 개발 ◦ 유전자교정 기반 바이러스 저항성 배추 육종소재 개발 ◦ 딸기 유용형질연관 유전체 및 표현체 분석기술 개발 ◦ 수박·호박·양파 유용형질 분석을 위한 분자육종기술 개발 ◦ 무 MAB 시스템 구축 및 유용형질 연관 마커 개발 |
연구실명 | 채소생리기작연구실 |
---|---|
연구목표 |
◦ 기후변화와 이상기상에 대응한 채소의 안정생산 및 기능성 향상기술 개발 ◦ 노지채소의 생육, 환경 등 데이터 기반 실용화 적용 기술 개발 ◦ 채소 생육데이터 표준화 및 국가참조표준데이터 생산·등록 |
핵심성과 |
◦ 이상기상에 따른 배추, 마늘, 양파 등 피해해석 및 경감 기술 개발 ◦ 마늘, 토마토 생육 정보 국가참조표준 데이터 등록 |
대표과제 |
◦ 주요 채소의 환경스트레스 피해 경감 및 회복기술 개발 ◦ 채소 생육 국가참조표준 데이터 개발 보급 ◦ 배추, 고추 노지 관개시스템 고도화 및 현장 실증 |
주 요 연구내용 |
◦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채소 생산성 변동 및 영향평가 ◦ 이상기상에 따른 피해 예측기술과 회피·경감·회복기술 개발 ◦ 노지채소의 생육, 환경정보 기반 관개제어 기술 개발 및 실증 ◦ 주요채소 환경조건별 국가참조표준 데이터 생산·등록 ◦ 디지털정보 기반 채소 우량묘 생산 표준화 및 품질 관리 기술 개발 ◦ 주요 채소의 항산화 물질향상 생산기술 개발 ◦ 북방지역 여름 채소작물 연계 식량작물 작부체계 재배기술 개발 |
연구실명 | 채소생산조절연구실 |
---|---|
연구목표 |
◦ 대형단동하우스 활용 작물별(파프리카, 토마토, 수박) 최적 재배기술 개발 ◦ 대형단동하우스 보급형 모델 및 설치비 절감 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대형단동하우스 보급형 모델(7종) 개발 및 내재해 규격 등록(’21.12.) ◦ 대형단동하우스 설치비 절감을 위한 조립용 부자재 시작품(2종) 제작 |
대표과제 | ◦ 사계절하우스 자재 규격화 및 시공방법 표준화 |
주 요 연구내용 |
◦ 대형단동하우스 보급형 모델 개발, 소요 부자재 및 시공방법 표준화 ◦ 대형단동하우스 활용 수박 수경재배 기술개발 개발 ◦ 대형단동하우스 활용 고품질 파프리카 최적 재배관리 매뉴얼 개발 ◦ 파프리카 대형단동하우스 에너지 저투입 최적 환경제어기술 개발 ◦ 대형단동하우스를 활용한 토마토 최적재배기술 확립 및 적품종 선발 |
연구실명 | 딸기연구실 |
---|---|
연구목표 |
◦ 딸기 신품종(내수⋅수출용) 및 육종소재 개발 ◦ 딸기 안정생산 및 현장애로 해소 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딸기 수요자 맞춤형 다양한 계통 선발 및 단경기 생산기술 개발 ◦ 정밀육종 기초기반을 위한 유전체 해독 소재 구축 ◦ 수출 딸기 신품종 ‘금실’ 재배 매뉴얼 수출농가 배부 |
대표과제 |
◦ 겨울철 기형과 발생이 적은 고당도 딸기 품종 육성 ◦ 딸기 핵심집단 및 멀티오믹스 DB 구축 ◦ 딸기 분자마커 활용 신속 스크리닝을 통한 병저항성 자원 선발 ◦ 수출 딸기 맞춤형 재배기술 및 매뉴얼 개발 ◦ 단경기 및 고온기 딸기 생산을 위한 재배 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기형과 발생 적고 고당도 및 향이 우수한 딸기 신품종 개발 ◦ 핵심집단 구축(200여 점) 및 유용 형질 표현형 데이터 축적 ◦ 탄저병, 시들음병 등 연관 분자마커 도입 및 효용성 검정 ◦ 수출 신품종 애로기술 대응 고품질 안정생산 기술 개발 ◦ 무기원소함량 신속진단 활용 육묘기 양분관리 기술 개발 ◦ 꽃눈분화 촉진 기술 및 고온기 연장 재배 기술 개발로 단경기 축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