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조생종 복숭아 ‘초설’ 선발
복숭아 ‘옐로드림’ 홍보
포도 ‘슈팅스타’ 현장평가회
국제박람회(AFL) 참가
포도 현장평가회
영양제 살포 처리 효과
과원용 연소기 실증
고온에 의한 복숭아 꽃눈 변화
바이오매스 추정 상대생장식
연구용역 보고회
드론 활용 과원 단위 영양진단
실시간 과실 검출 프로그램
수확기 진단기술 현장설명회
수확기 진단결과 디스플레이
포도 ‘거봉’ 과실 비교
무병묘 보급 활성화 현장 워크숍
초저온동결 후 재생 식물체
무병묘 효과 언론보도| 연구목표 |
◦ 기후변화에 따른 과수 실태조사 및 영향평가 ◦ 과수 안정생산을 위한 이상기상 피해 해석 및 피해 경감기술 개발 ◦ 노지 과수 디지털 농업 기반 구축 ◦ 과수 무병묘 생산시스템 확립 및 무병묘 효과 분석 ◦ 과수 유전자원 장기안전보존 시스템 구축 |
|---|---|
| 핵심성과 |
◦ 기후변화에 따른 과수 생산성 영향평가 및 봄철 저온피해 경감기술 개발 * [열원투입] 과원용 연소기 사용 시 대조구 대비 대기온도 2℃ 상승 확인, 화재위험 예방 및 반영구 사용 * [엽면시비] 영양제 살포(요소0.3%/붕산0.1%) 후 개화기 저온(-3.9℃) 시 꽃눈 생존율 대조구 대비 5~6%p 증가 확인 * [영향평가] 조생종 복숭아 꽃눈분화기(6∼11월), 6℃ 상승 시 꽃눈비율(52%), 꽃눈 무게(39%), 주당 수확량(23%) 감소 ◦ 과수(사과) 바이오매스 탄소 축적량 평가: 0.3~23.4kg/주(1~20년생 기준, 평균 탄소비율 46.59%) ◦ 드론 활용 사과 수체 영양진단 및 LiDAR 활용 수체 판별기술 개발 * 고품질 영상 촬영조건/평가기준 설정, Point Cloud3차원 점데이터 기반 군집분석 활용 개별 나무 인식 모델 개발(인식률: 86%) ◦ 영상 활용 로봇 수확을 위한 과실 인식 및 수확기 진단기술 개발 * 실시간 과실 검출 및 사과 품질(당도, 산도, 색도 등) 추정, 숙기(미숙·적숙·과숙) 판정 및 수확 로봇팔 시작기 개발 ◦ 주요 품종 및 우량계통 무병화(누적): 4과종 100품종/70계통 ◦ 바이러스 감염 영향평가 및 무병묘 보급효과 분석: 농가소득 증진(약 82만원/10a) * 취업 유발 13,230명 ◦ 과수 무병묘 관련 원내 규정 제정 및 종자산업법 개정(무병묘 인증 기준 등) 참여 등 소통 확대 ◦ 인과류 등 유전자원의 안전보존체계 구축(포도 작은방울유리화법 국내 최초 수행 등) |
| 대표과제 |
◦ 주요 과수 생물계절 및 과실 품질 변화 연구 ◦ 사과 스마트과원 관리를 위한 과원 영상진단 기술 개발 ◦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주요 과수의 휴면타파시기 변동 실태조사 및 저온요구도 영향평가 ◦ 봄철 과수 저온피해 경감용 실용적 적용기술 개발 ◦ 주요 과수(사과 등)의 이상 기상 피해 경감기술 개발 ◦ 과수 주요 신품종 바이러스 무병화 및 품종인증 분자표지 개발 ◦ 초저온동결보존 기술 이용 과수 유전자원의 장기안전보존 시스템 구축 |
| 주 요 연구내용 |
◦ 과수 이상기상 피해 원인분석 및 실용적인 경감, 기온 상승에 따른 과수 영향평가 등 ◦ 주요 과수 생물계절, 휴면타파시기 변동 실태조사 및 저온요구도 영향평가 ◦ 영상 활용 사과 수체 판별 및 영양진단, 과실 인식 및 수확기 진단기술 개발 ◦ 직무육성품종·우량계통의 조기 무병화 및 품종 판별을 위한 분자표지 개발 ◦ 초저온동결보전 기술 개발 및 유전자원 장기 보존 이행 |
| 연구목표 |
◦ 소비자 기호 충족 및 경쟁력 우위 고품질 핵과류 신품종 육성 ◦ 핵과류 안정생산 기술 개발 및 스마트농업 기반 구축 |
|---|---|
| 핵심성과 |
◦ 복숭아 ‘진선’(고당도 황육계 중만생), ‘마루황도’(풍산성 황육계 만생) 등 핵과류 품종개발 36건 ◦ 간편소비형 저산미천도 ‘옐로드림’ 등 통상실시 ◦ 소비자 선호형 품종 보급을 통한 만족도 향상 및 소비 유도 * 레알리마켓 소비자 리뷰평점: 이노센스(4.9/5.0) |
| 대표과제 |
◦ 핵과류 신품종 및 대목 육성 ◦ 복숭아 유전체 육종을 위한 핵심자원 선발 및 유용집단 구축 ◦ 핵과류 신품종 주산지 현장 연구 ◦ 다축형 복숭아 고품질 안정생산을 위한 비가림재배 활용기술 개발 |
| 주 요 연구내용 |
◦ 소비자 맞춤형, 노동력 절감형 핵과류 신품종 개발 ◦ 국내 환경 적응형 핵과류 대목 선발 및 개발 ◦ 핵과류 신품종 안정보급을 위한 주산지 현장 적응성 평가 ◦ 복숭아 핵심집단 구축 및 육종소재 선발 ◦ 복숭아 등 핵과류 고품질 안정생산 기술 개발 |
| 연구목표 |
◦ 포도 소비 확대, 생산비 절감을 위한 신품종 육성 및 고품질 안정생산 ◦ 포도 육종소재 탐색, 주요 형질 연관 마커개발 등 디지털육종 기반 구축 |
|---|---|
| 핵심성과 |
◦ ‘로제타’(껍질째 먹는 머스켓향 적색), ‘코코볼’(껍질 이물감 없고 아삭한 자흑색) 등 포도 품종 개발 23건 ◦ 껍질째 먹을 수 있는 중대립 무핵 포도 ‘홍주씨들리스’ 등 통상실시 ◦ 소비자 선호형 품종 보급으로 만족도 향상, 국제박람회 참가 등 신품종 대내외 홍보 * 레알리마켓 소비자 리뷰평점: 홍주씨들리스(4.7/5.0) 등, 국제박람회(AFL) 참가: 대만, 홍콩 등 바이어 호평 |
| 대표과제 |
◦ 포도 신품종 육성 연구 ◦ 포도 신품종 주산지 현장연구 ◦ 포도 과피 떫은맛에 영향을 미치는 재배·환경요인 분석 및 경감기술 개발 |
| 주 요 연구내용 |
◦ 간편소비(껍질 째 섭취, 씨 없는), 노동력 절감(단초전정) 가능한 품종 개발 ◦ 육종효율 향상을 위한 주요 형질 연관 마커 개발 및 육종소재 탐색 ◦ 포도 신품종 안정보급을 위한 주산지 현장 적응성 평가 ◦ 포도 떫은맛 주요 영향요인 분석 및 고품질 안정생산 기술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