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낙엽 수 준 |
이듬해 가지 수액 당도 (°Bx) |
만개기 노출 온도에 따른 꽃 피해율 (%) | 수확기 과중 (g) |
|||
---|---|---|---|---|---|---|
-2℃ 2시간 |
-2.5℃ 3시간 |
-2.8℃ 3시간 |
-3.0℃ 3시간 |
|||
정 상 | 1.60±0.01 | 0 | 0.0 | 29.0±1.4 | 80.3±9.3 | 500 (100) |
50% 낙엽 | 1.30±0.01 | 0 | 2.1 | 43.1±6.6 | 95.6±7.7 | 456 (91.2) |
100% 낙엽 | 1.03±0.23 | 0 | 1.9 | 63.5±8.3 | 92.8±7.6 | 371 (74.2) |
연구실명 | 생리생태연구실 |
---|---|
연구목표 |
◦ 과수 기후변화 실태조사 및 영향 평가 ◦ 과수 안정생산을 위한 이상기상 피해 해석 및 피해 경감기술 개발 ◦ 노지 과수 디지털 농업 실현을 위한 기반 구축 |
핵심성과 |
◦ 이상기상 피해 양상 및 경감기술 개발 - 복숭아 개화기 저온피해 회피를 위한 개화 지연제 선발 - 포도 주요 재배 품종의 신초 냉해피해 한계온도 구명 - 배 ‘원황’ 수체 내 저장양분 수준에 따른 개화기 내한성 차이 구명 ◦ 기후변화 실태조사 및 영향취약성 평가 보고서(1단계, 과수분야) 작성 |
대표과제 |
◦ 주요 과수의 이상저온 피해 해석 및 경감기술 개발 ◦ 사과, 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영상 기반 정밀 생리·생태 진단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과수 개화기 이상저온 피해 경감기술(물 절약형 살수법, 온풍법 등) 개발 ◦ 포도 신초 냉해 피해 및 과피색 불량 환경 구명 및 피해 예측기술 개발 ◦ 과수 영상기반 수체 생육 진단 및 과원 매핑, 과실 표현체 정보 획득 기술 개발 ◦ 센서 및 영상 활용 과수 수분스트레스 진단 및 수확기 진단 기술 개발 ◦ 과수 기후변화 실태조사 및 영향·취약성 평가 |
연구실명 | 자원개발연구실 |
---|---|
연구목표 |
◦ 과수 무병묘 주년생산시스템 확립, 주요품종 무병화 및 무병묘 효과분석 ◦ 과수 유용유전자 도입기술 개발 및 발현 조절 연구 ◦ 인과류 유전자원 다양성 확대, 안전보존 및 활용성 확대 시스템 구축 |
핵심성과 |
◦ 주요 품종(4과종 82품종) 및 우량계통(4과종 48계통) 무병화 - 대상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에 대한 효과적인 무병화(열처리, 항바이러스처리 등) 기술 확립 - 무병묘 효과분석용 4과종 11품종 400주 포장 조성, 시험 및 전시포로 활용 ◦ 포도 형질전환 효율 향상 및 사과·복숭아 과육색, 배 과피색 판별 분자표지 개발 ◦ 인과류 유전자원의 안전보존체계 확립(사과 초저온동결보존, 배 기내저온보존) |
대표과제 |
◦ 고부가 자원화를 위한 과수 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대 및 특성 평가 ◦ 과수 신품종의 무병묘 신속 생산시스템 구축 ◦ 과수 유용유전자 도입 및 발현조절 연구 ◦ 과수화상병 저항성 검정 지표 식물체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과수 바이러스 무병묘 신속 생산시스템 구축 및 조기생산 ◦ 사과, 포도 유전자 교정기술 개발 ◦ 과수 바이러스 피해해석 및 무병묘 효과 분석 ◦ 과수화상병 저항성 검정 식물체 개발 ◦ 인과류 유전자원 수집, 평가 및 보존 |
연구실명 | 핵과류연구실 |
---|---|
연구목표 |
◦ 소비자 기호 충족 및 경쟁력 우위 고품질 핵과류 신품종 육성 ◦ 핵과류 안정생산 기술 및 디지털 농업 기반 구축 |
핵심성과 |
◦ 황육계 복숭아 ‘홍슬’ 개발, ‘스위트퀸’ 등 저산미천도 3품종 등록 ◦ 간편소비형 저산미천도 ‘옐로드림’ 등 통상실시 149건, 67만주 ◦ 신품종 현장평가회 및 재배농가 현장기술지원 |
대표과제 |
◦ 핵과류 신품종 및 대목 육성(2017~2026) ◦ 복숭아 유전체 육종을 위한 핵심자원 선발 및 유용집단 구축 |
주 요 연구내용 |
◦ 소비자 맞춤형 및 노동력 절감형 핵과류 신품종 개발 ◦ 소핵과류 품종 및 국내 환경 적응형 대목 개발 ◦ 복숭아 핵심집단 구축 및 육종소재 선발 ◦ 복숭아 미래과원 모델 개발 및 현장대응 기술 개발 |
연구실명 | 장과류연구실 |
---|---|
연구목표 |
◦ 포도 수요자 선호도 및 재배편이성 높은 품종 육성 ◦ 포도 디지털 정보 기반 안정생산 체계구축 및 생력형 재배기술 개발 ◦ 기술수요자 중심의 현장애로기술 선제적 해결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껍질째 먹는 솜사탕향 무핵 포도 ‘슈팅스타’ 개발 ◦ 다층구조물 이용한 포도 서준형 수형 개발 ◦ 포도 안정생산을 위한 샤인머스켓 및 홍주씨들리스 재배매뉴얼 발간 |
대표과제 |
◦ 포도 신품종 육성 연구(2022∼2030) ◦ 포도 샤인머스켓 품종 수출 규격품 생산 및 관리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포도 수요자 선호도, 재배용이성 및 시장성 높은 품종 육성 ◦ 포도 양조용 품종육성 및 유전자원 특성평가 시스템 구축 ◦ 포도 신품종 안정생산을 위한 시범포 운영 및 재배면적 확대 ◦ 포도 기계화용 생산체계 및 무인방제시스템 개발 ◦ 포도 2기작 안정생산기술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