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1. 기관소개
  2. 과학원소개
  3. 부서업무소개
  4. 원예작물부-도시농업과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URL링크 복사

프린트

부서업무소개

도시농업과원예작물부

비전 및 목표

  • 식물-인간-환경이 공존하는 도시농업 가치확산
    • 도시농업 참여인구 : (’13) 885천명 → (’18) 2,120 → (’22) 1,743*
      • 생활농업 확산 → 생활 속 문화, 국민의 건강증진 기여
      • 농업의 가치 극대화 : 식량(農) → 식량, 교육, 복지, 환경(都)
        • *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실외 도시텃밭 참여 감소, 실내 식물재배 정보 증가
        • * 실내 식물재배 온라인 정보량: (’19)63,668건 → (’20)126,816 → (’21)199,038(농정원)

주요업무

  • 식물의 기능성을 이용한 환경개선 연구
  • 생활공간과 인공지반 정원·녹화기술에 관한 연구
  • 치유농업 산업 확산을 위한 과학적 효과검증 및 정책지원 연구
  • 환경친화형 산업 활성화 및 한국형 도시농업 모델 개발

주요성과

도시농업 국민 체감 확산을 위한 연구 성과
  • 식물 미세먼지 제거효과 구명(종)
    • 2020년 : 101, 2021년 : 117, 2022년 : 130
  • 도시정원 유형별 ICT 식재관리기술(건)
    • 2020년 : 12, 2021년 : 17, 2022년 : 20
  • 수요자 맞춤형 치유 콘텐츠 개발(건)
    • 2020년 : 12, 2021년 : 15, 2022년 : 17
  • 한국형 도시텃밭 모델 및 프로그램(건)
    • 2020년 : 10, 2021년 : 22, 2022년 : 28
미세먼지 저감 바이오필터 시스템 및 식재디자인 기술 개발
  • 미세먼지(PM2.5) 저감 바이오필터용 배지 최적 조건 구명
    • (최적배지) 상토에 배지별 혼합에 따른 저감율(%)↑: 난석 16 > 마사토14.5 > 활성탄 8
  • 가로 식재구조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변화 특성 예측
    • 가로수와 중앙분리대 다층구조(교목+관목) 식재 : PM2.5 35.2% 저감
      •  * 보행자 호흡높이(1.5m) : 다층구조 16.2㎍/㎥, 단층구조 25.0, SCI Forests(IF 2.63) 게재
  • (프로그램 등록) 식재 환경 맞춤형 화단식물 설계 프로그램
    • 생물다양성, 경관녹화 등을 목적으로 식물의 생장특성을 고려한「다층구조식재」

<DIY 화단식물 설계 프로그램>
  • 소규모 공간에 비전문가도 식물을 선택하고 다층으로 배치해 보면서 필요 수량을 산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
    • 정원 화단 식재용 관상식물 DB 구축 : 꽃색, 무늬엽, 열매 등 관상용 관목 58종, 초본 103종
      • ⇢ 국내 유통 관목, 초본류의 다양한 식물정보 업데이트 계획
  • DIY 화단식물 설계 프로그램
치유농업 효과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산업화 지원 연구
  • 의학·복지 전문가 협업을 통한 치유농업 효과 검증 및 자원·콘텐츠 개발
    • (효과검증) 편마비 노인·발달장애인·스트레스 고위험 대상자의 치유농업 효과 분석
      •  * (편마비) 어깨세모근 활성 동작: 물주기, 흙채우기, 고랑만들기(일상생활 근활성도 대비 17.9%증가)
      •  * (발달장애인) 협응력 ; 29% ↑, 손기능_옮기기 영역 ; 24.9%↑
      •  * (스트레스 고위험군) 회기별 스트레스 지수의 평균적 변화: 2.3 → 1.4(39.1%↓)
    • (콘텐츠개발) 유아 누리과정 연계 텃밭정원 놀이 주제 선정 및 액티비티 개발(43종)
      •  * (환경) 햇빛, 흙, 물, 바람, 주변생물 등 7종, (식물) 뿌리, 줄기, 잎, 꽃, 열매, 씨앗 등 22종 활용
  • 치유농업의 산업화를 위한 대국민 서비스 정책 지원
    • 소방 공무원 스트레스 경감 치유농업 프로그램 기준 설정
    •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연계 치유농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제안
    • 가상 치유농장 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사용자 평가
      •  * 3차원 공간에서 체험(5종) 및 치유요소(동식물 6종)로 구성하여 개발
  • 유아 대상 치유농업 액티비티 개발유아 대상 치유농업 액티비티 개발
  • 상지근활성을 위한 농업동작 선정상지근활성을 위한 농업동작 선정
  • 가상 치유농장(효과정보 화면)가상 치유농장(효과정보 화면)
수요자 맞춤형 텃밭 모델 및 지속가능 관리기술 개발
  • (공동체 활성화)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업공원 모델 개발
    • 도시농업공원 4가지 모델 개발(유아·아동용, 고령자용, 신체약자용, 반려동물용)
  • (친환경 텃밭) 동반식물을 활용한 텃밭모델 및 식재방법 개발
    • 텃밭모델 : 동반식물 활용 텃밭 모델 “맛․숨․멋․빛․꿈 텃밭” (5종)
  • 미래세대 대상 스마트 농업 적용을 위한 콘텐츠 개발
    • 초등학교 스마트 농업을 쉽게 교육하고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로 마련
  • ※ 2022년 정부혁신 ‘국민정책디자인단’ 구성 및 운영(흥미롭게 체험하는 스마트농업)
    •   * 구성 : 과학융합교육전문가, 초등교사, 교육청, 학부모 등 10 여명
    •   * (성과) 스마트 농업 이해시키기, 스마트 농업 교육하고 싶게 만들기 콘텐츠 개발
    •  ☞ ‘자연을 교실로! 디지털 교육을 농업으로’ 「국민정책디자인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 도시텃밭 모델 적용도시텃밭 모델 적용
  • 국민정책디자인 워크숍국민정책디자인 워크숍
  • 스마트 농업 이해시키기스마트 농업 이해시키기
  • 동반식물 활용 생태 프로그램동반식물 활용 생태 프로그램

중점방향

  • 헬스케어식물의 가치발굴과 이용확산으로 새로운 시장 개척
  • 농업에 대한 국민 공감대 확산을 위한 도시 내 농업기반 조성
  • 치유농업 산업 확산을 위한 과학적 효과검증 및 정책지원 연구강화
  • 환경친화형 산업 활성화 및 한국형 도시농업 모델 개발

추진계획

  • 식물의 가치발굴과 이용 확산
    • 원예식물의 환경개선 및 공기정화 연구
    • 실내외 환경개선을 위한 헬스케어식물 연구
    • 생활공간 헬스케어식물 효과 및 배치 모델 개발
  • 도시공간의 농업적 활용 기반 조성
    • 헬스케어식물을 활용한 실내·외 정원 모델 개발
    • 도심 재생을 위한 친환경적인 스마트 조경 연구
    • ICT를 활용한 정원 관리 및 생산·유통 시스템 개발
  • 치유농업 자원발굴 및 표준 프로그램 개발
    • 치유농업 콘텐츠 효과평가 기술개발 및 운영 기준 설정
    •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치유농업 콘텐츠 개발 및 활용 제안
    • 발달장애인의 치유·재활을 위한 치유농장 활동 매뉴얼 개발
  • 한국형 도시텃밭 모델 개발
    • 텃밭 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원 탐색 및 친환경 관리기술 개발
    • 수요자 맞춤형 도시텃밭 모델 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
    • 교육․문화 융합형 도시농업체험 콘텐츠 개발 및 체계화

전문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환경조경연구실
연구목표 ◦ 식물의 환경개선 기능성 이용 실내·외 정원 기술 실용화
핵심성과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현장적용 및 식물활용 모델 개발
◦ 아파트 화단 다층구조 식재 모델 개발 및 효과 분석
대표과제 ◦ 식물의 환경조절 기능을 활용한 바이오 홈 연구
주 요
연구내용
◦ 식물의 환경조절기능을 활용한 바이오 홈 연구
◦ 실내·외 정원식물의 공기정화 연구
◦ 도시 기상재해 극복을 위한 조경식재기술 개발
◦ 헬스케어 정원식물의 재배 및 유통이력제 연구
◦ 식물의 반려 및 동반 기능 연구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치유농업연구실
연구목표 ◦ 식물을 이용한 교육・치유・사회적 통합 기능 구명에 관한 연구
핵심성과 ◦ 아동 청소년, 성인 대상 치유농업의 치료적 효과 검증 및 활용기술 개발
◦ 치유농업 외연 확장을 위한 관계부처 협업 현장 적용 추진
◦ 치유농업법 관련 제도·정책지원 연구
대표과제 ◦ 치유농업 콘텐츠 효과평가 기술 개발 및 운영 기준 설정
주 요
연구내용
◦ 치유농업 확산을 위한 효과검증 및 표준화 연구
◦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농업활동 표준 콘텐츠 개발
◦ 치유농업 자원 발굴 및 사업모델 개발
◦ 치유농업-사회서비스 연계 지원 연구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생활농업연구실
연구목표 ◦ 한국형 도시농업 모델 개발 및 환경친화형 산업 활성화
핵심성과 ◦ 수요자 맞춤형 텃밭모델 및 지속가능 관리기술 개발
◦ 교육형 농업체험 콘텐츠 및 학교텃밭 관리 매뉴얼 개발
대표과제 ◦ 학교 실내외 텃밭정원을 활용한 그린학습 공간 조성 가이드라인 개발
주 요
연구내용
◦ 텃밭 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원탐색 및 친환경 관리기술 개발
◦ 수요자 맞춤형 도시텃밭 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
◦ 교육·문화 융합형 도시농업체험 콘텐츠 개발 및 체계화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