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명 | 환경조경연구실 |
---|---|
연구목표 | ◦ 식물의 환경개선 기능성 이용 실내·외 정원 기술 실용화 |
핵심성과 |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현장적용 및 식물활용 모델 개발 ◦ 아파트 화단 다층구조 식재 모델 개발 및 효과 분석 |
대표과제 | ◦ 식물의 환경조절 기능을 활용한 바이오 홈 연구 |
주 요 연구내용 |
◦ 식물의 환경조절기능을 활용한 바이오 홈 연구 ◦ 실내·외 정원식물의 공기정화 연구 ◦ 도시 기상재해 극복을 위한 조경식재기술 개발 ◦ 헬스케어 정원식물의 재배 및 유통이력제 연구 ◦ 식물의 반려 및 동반 기능 연구 |
연구실명 | 치유농업연구실 |
---|---|
연구목표 | ◦ 식물을 이용한 교육・치유・사회적 통합 기능 구명에 관한 연구 |
핵심성과 |
◦ 아동 청소년, 성인 대상 치유농업의 치료적 효과 검증 및 활용기술 개발 ◦ 치유농업 외연 확장을 위한 관계부처 협업 현장 적용 추진 ◦ 치유농업법 관련 제도·정책지원 연구 |
대표과제 | ◦ 치유농업 콘텐츠 효과평가 기술 개발 및 운영 기준 설정 |
주 요 연구내용 |
◦ 치유농업 확산을 위한 효과검증 및 표준화 연구 ◦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농업활동 표준 콘텐츠 개발 ◦ 치유농업 자원 발굴 및 사업모델 개발 ◦ 치유농업-사회서비스 연계 지원 연구 |
연구실명 | 생활농업연구실 |
---|---|
연구목표 | ◦ 한국형 도시농업 모델 개발 및 환경친화형 산업 활성화 |
핵심성과 |
◦ 수요자 맞춤형 텃밭모델 및 지속가능 관리기술 개발 ◦ 교육형 농업체험 콘텐츠 및 학교텃밭 관리 매뉴얼 개발 |
대표과제 | ◦ 학교 실내외 텃밭정원을 활용한 그린학습 공간 조성 가이드라인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텃밭 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원탐색 및 친환경 관리기술 개발 ◦ 수요자 맞춤형 도시텃밭 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 ◦ 교육·문화 융합형 도시농업체험 콘텐츠 개발 및 체계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