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부서업무소개

인삼과 인삼특작부

비전 및 목표

인삼·경제특용작물 산업 활성화 위한 생산기반 안정화 및 미래대응 기술 개발
  • 인삼·경제특용작물 고품질·안정 생산 및 생산성 향상기술 개발
  • 정책 파트너십(정부-생산자-산업계) 연계로 현안 대응기술 개발

주요업무

  • 고품질 우량 신품종 육성 및 조기보급 확대
  • 이상기상 및 연작장해 대응 안정생산 및 병충해 종합관리 기술 개발
  • 디지털 농업 적용 및 정밀 재배·관리 시스템 개발
  • 관련 산업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술 개발 및 보급 확대

주요성과

고품질·내재해 신품종 육성 및 보급 확대
  • (개발) 신품종 ‘천명’, ‘진원’ 품종등록 및 ‘진명’ 육성
    • 천명(2015년) : 내적변성이고 다수성 품종
    • 진원(2017년) : 고온에 강하고 수량이 높은 품종
    • 진명(2020년) : 내고온 및 내염성 품종
    • 진군(2022년) : 생리장해 강, 다수성, 품종출원
  • (보급) 육성 품종 증식을 위한 채종포 운영
    • 채종포 : 천량 2.5ha(충주, 안성), 고원 0.6ha(평창, 진안)
  • 고온저항성 신품종 ‘진원’고온저항성 신품종 ‘진원’
  • 복합저항성 신품종 ‘진명’복합저항성 신품종 ‘진명’
<염류 저항성 신품종 ‘천량’ 보급>
  • 염류에 강하고 수량이 높은 ‘천량’ 육성 및 보급
    • (육성방법) 순계분리(자경종 선발), (육성년도) 2011년
    • 염류에 강하여 생리장해 발생률 10%↓, 수량 10%↑
      • * ‘천량’ 통상실시(실용화재단)(’20) / 보급사업 추진(’21~‘22)
      • * 기술지원과, 실용화재단 공동
  • 염류 저항성 신품종 ‘천량’ 보급
신품종 조기육성을 위한 육종효율 증진기술 개발
  • 신품종 대량증식 위한 조직배양기술 개발
    • 증식배율 10배 → 20, 조직배양묘 토양 순화율 30% → 80%(근중 0.5g → 0.7g)
    • 조직배양 온도조건 확립 : 18℃ 처리 시 기존(23℃) 대비 신초 40%, 근중 19% 향상
  • 인삼 표준유전체 고도화 및 유전자 변이 대량 선발
    • 염색체 수준의 염기서열 재조립 및 유전자 기반 SNP 발굴
      • * 유전자 부위를 바탕으로 SNP 110개 발굴(6개는 진세노사이드 생합성 연관)
      • * SNP 분자표지(세트) : 핵 27, 미토콘드리아 4(’20-‘22, 인삼과), 엽록체 4(‘19, 서울대 공동)

<인삼 유전자 마커 활용 육종효율 향상>
  • 유전자 변이 기반 SNP 탐색 및 선발
    • 유전자내 발생 변이 (110 SNP)
      • * 110개 SNP 중 6개는 진세노사이드 생합성과 연관
      • * SNP 분자표지(set) : 핵 27, 미토콘드리아 4, 엽록체 4
  • ☞ 분자마커 활용 우량계통 조기육성 등 육종효율 향상
  • 인삼 유전자 마커
디지털기술 적용 재배시스템 및 안정생산 기반 구축
  • 온도(27℃)기반 차광기술 적용 생산 환경관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
    • 2중구조 하우스 생육환경 데이터 PC수집 및 데이터 표준 매뉴얼 초안 작성
  • 보급확대 : 농식품부 사업반영 및 수요자 대상 현장 교육 등
    • (2중구조 하우스) 풍동시험 완료후 내재해 규격 등록(’22)
    • (소형터널식) 농진청 ’22 신기술 시범사업 : 안성 등 8개소 80백만원
이상기상 피해기준 설정 및 경감기술 개발
  • 평년기온대비 7∼8월 고온조건(+2, 4℃)에서의 품종별 특성 분석
    • 연풍(저항성) 대비 금풍(감수성) 근중 감모율(%) 증가
      • ☞ 고온피해 검정 온도 기준 설정으로 품종별 피해분석 가능
  • 고온기 오전 직사광 유입에 따른 엽소(고온)피해 경감 신기술사업화
    • 흑색 이중직 차광망 높게(20→80cm) 설치하여 피해 경감, 은박차광지 고온피해 ↓
      • ☞ 차광지 보급현황(’20∼) : 21개소 134농가 65.46ha / 1℃낮춤 효과로 92.5% 만족

<인삼 고온피해 경감기술 개발>
  • 직사광 유입에 따른 인삼 고온 피해 해석 및 경감기술 개발
    • 은박 차광지 선발, 차광망·시설 설치 높이, 면렴 추가로 피해 경감
      • ☞ 차광지 보급현황(’20∼) : 21개소 134농가 65.46ha / 1℃낮춤 효과로 92.5% 만족
    • 첨단 기상환경조절장치 활용 품종별 특성 분석
      • ☞ 광합성효율과 생육측면에서 연풍이 고온에 저항성임을 밝힘
  • 2중직 차광망
  • 2중직 차광망
  • 후주높임별 피해양상

안정생산을 위한 인삼 양분관리 기술 개선
  • 예정지 유기물 시용기준 및 토양산도(pH) 범위 설정
    • 적정 퇴비량: 3,500kg/10a(N 성분량 : 43.8kg/10a)
    • (기존)pH 5.0-6.0→(변경)pH 6.0-6.5: 생존율 17.8%↑, 수량 21.9%↑
  • 유기농자재 이용 인삼 추비 시용방법 및 효과 검증
    • 유박 400kg/10a, 아미노산(0.2%) 처리시 수량 18∼19%↑
  • 유기물 시용기준 설정유기물 시용기준 설정
  • 토양 pH별 수량토양 pH별 수량
경제특용작물 유전자원 수집 및 우량계통 선발
  • 유용 유전자원 수집 및 우량계통 선발
    • (마) 46계통 수집; 근경형태 우수 4계통
    • (생강) 31계통 수집; 다경 2계통, 가공적성 용이 1계통 선발
  • 우량계통 선발 및 순계 검증 분자표지 개발
    • 도라지 1계통(웅성불임), 더덕 4계통(순계)
    • 더덕 순계검증 SSR 마커 8종
  • 마, 생강 선발계통마, 생강 선발계통
  • 도라지, 더덕 선발계통도라지, 더덕 선발계통
인삼 연작장해 경감 고도화 기술 개발
  • (진단) 뿌리썩음병원균(Ilyonectria radicicola-species complex) 검출키트 개발
    • (정성) indirect ELISA 진단 및 (정량) RT-PCR 밀도판별 키트 개발
  • (예찰) 병원균 밀도와 병 발생 상관관계 분석
    • 뿌리썩음병 발병한계점 설정(1.0E X 102 SQ이상)
  • (방제) 뿌리썩음병 경감 기술 개발
    • (토양소독) 재작지 뿌리썩음병 감소 효과 검증
      • * 발병지수 감소(3.51 → 0.91), 재작 가능기간 단축(10년 → 2년)
      • * ‘인삼 예정지 토양소독 기술’ 매뉴얼 발간
    • (길항균) 뿌리썩음병 억제 미생물 활용기술 개발
      • * Bacillus velezensis(’22년 출원) : 뿌리썩음병 23% 억제
  • (동정) 뿌리썩음병 관련 미보고 병원균 특성 분석
    • Paraphoma spp., Plectosphaerella spp. 등 2종
      • * 신규 병원균 유전체 분석 완료 및 진단마커 개발 추진
  • 뿌리썩음병 밀도진단뿌리썩음병 밀도진단
  • 뿌리썩음병 경감뿌리썩음병 경감
  • 뿌리썩음병 억제 길항균뿌리썩음병 억제 길항균
  • 뿌리썩음병 관련 신규 병원균 동정뿌리썩음병 관련 신규 병원균 동정
인삼 주요 병해 효율적 방제기술 개발
  • 인삼 주산지 지상부 곰팡이병 발생 조사
    • 시기·지역별 잿빛곰팡이·점무늬·탄저병 발생 모니터링(6개소)
    • 약제 저항성 곰팡이 병원균 발생 원인 구명 및 관련 유전자 탐색
  • 인삼 지상부 곰팡이병 억제 길항균 선발 및 특성 연구
    • 잿빛곰팡이·점무늬·탄저병 곰팡이 동시 생육억제 길항균 15균주 선발
    • Pseudomonas putida PgBE89 유전체 분석을 통한 항균기작 구명
  • 화학약제 사용 감소를 위한 최적 방제모델 개발
    • 길항균 처리 조건 설정 및 방제모델별 포장 검정
  • 길항균 선발길항균 선발
  • 길항균 유전체 분석길항균 유전체 분석
  • 길항균 기내검정길항균 기내검정

중점 추진계획

인삼 우량 신품종 육성 및 보급 확대
  • 재해 및 내병성 품종 육성
    • 신품종 육성(지적 6개소) : 음성 20호 등 13계통 생육 및 수량성 구명
    • 지적 공시용 우량계통 육성 및 선발 : G13034 등 150계통
    • 교배조합 : 고원 × 진명 등 20조합(내병, 내재해, 고사포닌)
    • 유전자원 다양성 확대(점수) : (’22) 1,200점 → (’23) 1,300
      • * 산양삼 종자 분양(한국임업진흥원 1월) 및 산삼 종근 구입(심마니협회)
  • 육성품종 보급 확대 및 육종효율 증진기술 개발
    • 기본식물(천량 등 16품종) 양성 및 보급 확대
      • * 순도검정 : KASP 35종 이용 ‘천량’ 등 품종 고순도 기본식물 양성
      • * 종자보급 : 농가 채종포 조성 확대(농진원, 1ha) 및 신기술 보급 사업(기술지원과, 4개소)
    • 채종효율 향상기술 개발 및 재해 저항성 검정체계 구축 등
      • * 조직배양묘 대량증식, 저항성 인자 구명, 유전자 기반 SNP 칩 개발
인삼 고품질·안정생산 확대를 위한 재배기술 개선 연구
  • 고온·저온 피해양상 정밀 분석
    • 처리기준(토양수분 등) 설정 및 피해발생 원인(뿌리발달 영향 평가) 구명
  • 인삼 하우스 재배기술 도입 및 시설 개선 연구
    • 디지털 기술 접목 연구 : 환경·생육관리 시스템(데이터 축적)
      • * 온도(27℃기준)기반 차광, 관수(개시점 -30, 중단점 -20kPa)
    • 시설 내 연속재배기술 개발: 토양훈증제 소독 + 볏짚 등 유기물 투입
    • 소형터널 및 2중 구조 하우스 현장실증 및 농가 보급
      • * (2중구조 하우스) 농가현장 실증사업 수행: 2개소 80백만원/개소
      • * (소형터널식) 농진청 ’23 신기술 시범사업 : 안성 등 11개소 1,100백만원
  • 인삼 정밀농업 및 생리·생태 연구
    • 생육단계 예측 모델, 기상환경에 따른 생리기작 해석 등
소비 활성화 위한 R&D 추진 및 이해관계자 협력·지원 확대
  • 인삼 소비 활성화 대응 연구
    • 저년근(3∼4년근) 최대생산 모델, 직파재배 확대, 양분관리, 공정육묘, 수확 후 관리 등
  • 인삼산업 활성화 위한 대외협력 확대
    • 인삼산업종합계획(’22∼’26, 농식품부) 수립 및 R&D 기획과제 작성 협조
    • K-인삼 청년농업인 전국 단위 조직 결성 지원 및 현장기술지원 확대
경제특용작물 유전자원 수집․특성평가 및 표준품종 개발
  • 자원 수집․특성평가 및 증식
    • 작목별 국내외 유전자원 수집 및 증식(선진 연구기관 협조)
  • 우량계통 육성 및 표준품종 개발
    • (마) 수량성(1,500kg/10a), 내고온성, 유효성분 고함량(mucin 3%↑, allantoin 1.0%↑) 품종
      • * (’22) 30계통 → (’24) 50계통 → (’26) 1품종
    • (생강) 수량성(1,600kg/10a), 내고온성, 내병성(뿌리썩음병) 품종
      • * (’22) 20계통 → (’24) 40계통 → (’28) 1품종
    • (더덕) 수량성(450kg/10a), 유효성분(lacemaside) 고함량 품종
      • * (’22) 10계통 → (’24) 50계통 → (’26) 1품종
    • (도라지) 수량성(1,800kg/10a), 내습성 품종
      • * (’22) 10계통 → (’24) 50계통 → (’26) 1품종
경제특용작물 고품질 및 기후변화 대응 안정생산 시스템 구축
  • 고온피해 피해경감 및 경영비 절감을 위한 안정생산 기술 개발
    • 고온기 대응 차광 재배 기술, 다수확 위한 양분관리 연구(마, 생강, 더덕)
    • 디지털팜 기술을 적용한 시설재배 모델 개발(마, 생강)
  • 연작장해 피해 원인 구명 및 경감기술 개발
    • 작물별 주요 병해충 발생 현황 및 원인 구명
    • 토양 훈증 및 작부체계 활용 이화학적 경감기술 개발
  • 품질 표준화를 위한 재배법 개선 및 수확 후 관리 기술 개발
    • 더덕(유인방법, 재식거리 등), 도라지(토양 물리성, 배수등급 등)
    • 신선도 유지 위한 장기저장 조건(온, 습도 등) 구명(마, 생강)
뿌리썩음병원균 진단방법 개선 및 방제 효과 증진기술
  • 토양 속 인삼뿌리썩음병원균 밀도 진단기술 개선
    • 미보고 병원균 균학적 특성 연구 및 진단 기술 개발
      • * Paraphoma spp., Plectosphaerella spp. 등 2종
    • 정확한 발병한계점 인지를 위한 토양 속 병원균 정밀진단 방법 개선
      • * viability PCR법 도입 : PMA 처리를 통한 생존 병원균 선택적 검출
  • 뿌리썩음병 발생 억제를 통한 인삼 연작장해 경감기술 개발
    • 토양소독 방법 개선을 통한 연작장해 경감효과 포장 검정
      • * 훈증제 종류 및 방법, 태양열 처리 시기 등 고려
    • 길항균 활용 뿌리썩음병 발병 억제 효과 구명
      • * B. velezensis 등 2종 뿌리썩음병 방제 효과 검정
인삼 주요 병해 효율적 방제기술 개발
  • 지역별·시기별 지상부 곰팡이병 발생 실태 조사
    • 인삼 주산지별 점무늬병, 잿빛곰팡이병, 탄저병 발생 모니터링
      • * 포장환경(온·습도) 및 발병률 조사(병원균 동정 등)
    • 약제 저항성 병원균 발생 원인 분석 연구
      • * 주요 병해 약제 저항성 병원균 발생 모니터링 및 균학적 특성 분석
  • 인삼 약제 저항성 병원균 발생 억제를 위한 방제법 개발
    • 약제 저항성 병원균 억제 길항균 탐색 및 방제 효과 검정
      • * 화학약제 사용 절감을 위한 방제모델 포장 검정
특용작물 병해 관리 종합기술 개발
  • 생강, 마 등 경제특용작물 병해 발생 양상 조사
    • 지역·시기에 따른 병 발생 및 미보고 병해충 모니터링
    • 주요 병원균 수집 및 특성 분석

전문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인삼연구실
연구목표 ◦ 인삼 우량 신품종 육성․보급, 육종효율 증진 및 종자증식 기술 개발
◦ 인삼 고품질·안정생산 확대를 위한 디지털 재배기술 개선
핵심성과 ◦ 인삼 신품종 육성 및 보급 확대
◦ 신품종 조기 육성을 위한 육종효율 증진기술 개발
◦ 기능성 원료 및 식품 소재 저년근 인삼 하우스 시설 재배기술 개발
대표과제 ◦ 인삼 수요자 맞춤형 복합형질 품종 육성
◦ 주요 약용작물(인삼 등)의 이상기상 피해양상 해석 및 경감기술 개발
◦ 저년근 인삼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하우스 시설 재배기술 개발
주요
연구내용
◦ 신품종 보급 확대를 위한 이용촉진사업 및 성분육종 기반연구
◦ 디지털 농업 적용 인삼 재배기술 개발 및 이상기상 피해기준 설정 연구
◦ 복합저항성(내고온․내염류), 내병성 및 기능성 고함유 품종 개발
◦ 온도ㆍ수분스트레스 저항성 검정체계 구축 및 사포닌 생합성 연관 분자표지 개발
◦ 육종효율 향상 및 신품종 대량증식을 위한 조직배양 기반기술 개발
◦ 저년근(3~4년근) 인삼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하우스 시설 직파 재배기술 개발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경제특용작물연구실
연구목표 ◦ 경제특용작물(마, 생강, 더덕, 도라지) 표준품종 및 우량품종 개발·보급 확대
◦ 경제특용작물 고품질·안정생산 및 재배법 개선 연구
◦ 경제특용작물 경제특용작물 이용성 증대기술 개발
핵심성과 ◦ 마, 생강 유전자원 수집 및 도라지, 더덕 우량계통 선발
◦ 인삼 안정생산을 위한 양분관리 기술 및 유효성분 증진 기술 개발
대표과제 ◦ 마 고품질 우량품종 육성(1단계)
◦ 기후변화 대응 마 비가림 하우스 안정생산 기술 및 수확후관리 기술 개발
◦ 수입대체 생강 품종 육성(1단계)
◦ 내습성 도라지 품종 육성을 위한 계통 육성
◦ 더덕 품종 개발을 위한 유용자원 선발 및 핵심집단 구축
주요
연구내용
◦ 경제특용작물 표준품종 및 우량품종 개발‧보급
◦ 경제특용작물 유전자원 수집‧보존 및 특성 평가
◦ 경제특용작물 고품질‧안정생산 및 노동력 절감형 재배기술 개발
◦ 경제특용작물 이용성 증대기술 개발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친환경생산연구실
연구목표 ◦ 인삼 연작장해 경감기술 고도화 기술 개발
◦ 인삼·경제특용작물 병해 종합관리를 통한 고품질 안정생산 기술 개발
핵심성과 ◦ 인삼뿌리썩음병원균 밀도 진단법 개발
◦ 인삼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종합방제기술 개발 구축
◦ PLS 대응 농약 잔류 허용기준 설정 정책제안
대표과제 ◦ 인삼뿌리썩음병 진단 방법 개선 및 방제 효과 증진 기술 개발
◦ 인삼 지상부 곰팡이병 약제 저항성 발생 원인 및 방제법 개발
◦ 마·생강 주요 병 발생 양상 조사(PIS)
주요
연구내용
◦ 인삼 연작장해 경감 고도화 기술 개발
◦ 인삼·경제특용작물 병원균 진단 기술 개발
◦ 내생균 및 길항균을 활용한 인삼·경제특용작물 병해충 방제법 개발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