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명 | 육종기초연구실 |
---|---|
연구목표 | ◦ 약용작물 육종 기초 기술 연구 및 품종육성 |
핵심성과 |
◦ 참당귀, 황기, 도라지 등 종자번식 약용작물 우량계통 육성 및 유용변이 확대 ◦ 시설재배 적합한 의료용 대마의 영양번식 기술 확립 및 의료성분 생산 우수계통 육성 |
대표과제 |
◦ 더덕, 도라지 반수체, 배수체 유도 기술 개발 및 황기 자가불화합성 기구 구명 ◦ 의료용 대마 생산을 위한 기반기술개발 연구 |
주요 연구내용 |
◦ 더덕, 도라지 반수체 및 배수체 유도기술 개발 및 유용변이 확대 ◦ 내고온성 참당귀 우수자원 선발 및 자가불화합성 이용 황기 채종체계확립 ◦ 의료용 대마 의료성분 생산 우수계통 육성 및 자원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확립 ◦ 항바이러스 효능 우수 약용작물 성분분석 |
연구실명 | 품종개발연구실 |
---|---|
연구목표 | ◦ 약용작물 품종육성 및 보급확대 |
핵심성과 |
◦ 지황, 황해쑥 우량품종 육성 및 신품종 농가보급 확대 ◦ 지황, 오미자 대량번식 기술 개발 및 품종 신속보급 기반 마련 |
대표과제 |
◦ 영양번식 주요 약용작물 품종육성 및 증식효율 증대기술 개발 ◦ 소비자 선호성 약용작물 지역적응연구 및 이용촉진사업 |
주요 연구내용 |
◦ 우량계통 지역적응 시험 및 신품종 농가보급확대 ◦ 감초 등 신품종 개발 및 원료 국산화 지원 ◦ 지황, 천궁, 단삼 등 품종육성 및 육종기술 개발 ◦ 오미자, 삽주, 작약 품종육성 및 대량증식기술 개발 |
연구실명 | 디지털재배연구실 |
---|---|
연구목표 |
◦ 약용작물 PLS 대응 약제선발 및 병해충 종합관리기술 개발 ◦ 고품질 원료 생산을 위한 생산 표준화 및 디지털 재배 연구 |
핵심성과 |
◦ 소면적 약용작물 병해충 모니터링 및 약해·약효시험 추진 ◦ 고온 민감 약용작물 피해경감 연구 및 기후변화 대응 재배적지 구명 ◦ 약용작물 용도 다양화를 위한 율무새싹 생산 조건 구명 및 표준화 연구 |
대표과제 |
◦ 소면적 약용작물 병해충 모니터링 및 방제기술 개발 ◦ 데이터 기반 토양 수분환경 영향 평가 및 약용작물 실내 생산 모델 개발 |
주요 연구내용 |
◦ PLS 대응 소면적 약용작물 병해충 모니터링 및 방제연구 ◦ 주요 약용작물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윤작체계 개발 ◦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주요 작용작물의 품질 및 생산 영향평가 ◦ 약용작물 이상기상 피해양상 해석 및 경감기술 개발 ◦ 약용작물 새싹(율무, 대마) 식품소재화 연구 ◦ 약용작물 공정육묘 시스템 개발 및 기계화 연구 ◦ 고부가 신선편이용 약용작물 선발 및 시설내 생산모델 구축 ◦ 노지토양 수분환경조건에 따른 약용작물(천궁·황기) 생육영향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