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명 | 신육종재배연구실 |
---|---|
연구목표 |
◦ 수요자 요구에 맞는 현장 맞춤 품종 육성 및 생육조건 설정 ◦ 신육종기술 구현을 위한 빅데이터 구축 및 육종효율 증진 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시장 확대를 위한 맞춤형 국산 신품종 개발 : 느타리 ‘세나’, 팽이 ‘설한’, 양송이 ‘하담’ 등 ◦ 현장실증 및 기술이전을 통한 버섯 국산 품종 보급률 증대 : 60.0%(’21) ◦ 버섯류 RNP기반 유전자 교정체 확보 : 2점(표고버섯_교배형, 팽이_갓색) |
대표과제 |
◦ 시장확대를 위한 수출형버섯 신품종 개발 ◦ 수출용 버섯종균 제조 기술 및 완성형배지 생산기술 개발 |
주요 연구내용 |
◦ 기능성 강화 영지버섯 품종 개발 및 생육조건 설정 ◦ 완성형배지 적합 양송이 및 저장성 강화 느티만가닥버섯 품종 개발과 생육조건 설정 ◦ 가공맞춤형 느타리류 및 수출형 큰느타리 품종 개발과 생육조건 설정 ◦ 저장성 향상 팽이 및 완성형 배지 맞춤 표고 품종 개발과 생육조건 설정 ◦ 버섯의 육종효율 증진을 위한 유전자교정 등 유전체 기반 육종기술 개발 |
연구실명 | 버섯디지털환경기반연구실 |
---|---|
연구목표 |
◦ 버섯 디지털 생산을 위한 스마트팜 재배기술 및 안정생산 체계 구축 ◦ 버섯 친환경 안정생산 및 종합관리기술 개발 및 수확후 배지 관리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1세대 느타리 전용 스마트팜 모델 보급 : 농가소득 6% 증가 ◦ 팽이버섯 유해미생물의 저감방법 구명 : 살균제 농도 및 관리 매뉴얼 제작 등 ◦ 대체배지(감귤박) 개발 : (큰느타리) 30% 첨가, 생산성 88%↑, (팽이) 10% 첨가, 11%↑ |
대표과제 |
◦ 느타리버섯 병재배 디지털 생산을 위한 생육환경 관리기술 및 생육모델 개발 ◦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절감형 고온성 버섯자원 발굴 및 작목화 기술 개발 |
주요 연구내용 |
◦ 느타리 최적 생육모델 개발 및 디지털 관리를 위한 관리기술 개발 ◦ 버섯재배 배출에너지 재활용기술 및 PLS 대응 기술 개발 ◦ 버섯 병해충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 수출버섯의 유해미생물 대비 안전생산을 위한 관리기술 개발 ◦ 수입버섯배지 대체화를 위한 농업부산물 활용 |
연구실명 | 버섯자원활용연구실 |
---|---|
연구목표 |
◦ 버섯유전자원의 장기 안전보존 및 품목개발위한 핵심자원 구축 ◦ 버섯유전자원의 기능성을 활용한 대체식품, 친환경 산업 소재 개발 |
핵심성과 |
◦ 안전동위원소비를 이용한 표고버섯 원산지 및 재배법 판별기술 개발 ◦ 버섯 균사체 활용 가죽 대체소재 및 대체육 제조방법 개발 ◦ 복령 유전체 기반 유용성분 합성 유전자 발굴 |
대표과제 |
◦ 균근성 버섯류의 자생지 생태적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 버섯을 활용한 친환경 산업용 신소재 개발 |
주요 연구내용 |
◦ 버섯 유망 유전자원 선발 및 자원 안전보존을 위한 보존 조건 탐색 ◦ 균근성 버섯류의 자생지 생태 및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대체가죽 및 대체육 등 친환경 산업용 소재화 탐색 ◦ 면역 기능성 버섯자원 선발 및 균사체 발효기술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