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명 | 기능성기초기반연구실 |
---|---|
연구목표 |
◦ 특용작물 기능성 소재 발굴 확대를 위한 기초 기반기술 개발 ◦ 특용작물 유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개발의 표준화 연구 |
핵심성과 |
◦ ‘흑삼 호흡기건강’, ‘강황 간건강’ 소재의 농진청 최대 기술이전(10억) ◦ 참당귀-황기 복합물 등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소재의 원료 표준화 ◦ 특용작물 대사체 DB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 특용작물 원산지 판별 및 유용성분 대량 분석체계 매뉴얼 개발 |
대표과제 |
◦ 생강, 구기자 등 약용작물 국산 원료 발굴을 위한 대사체 기반 표준화 연구 ◦ 약용작물을 이용한 프리바이오틱스 소재탐색 및 주요 암세포 제어 연구 ◦ 특용작물 기능성 대사체의 플랫폼 구축 연구 |
주 요 연구내용 |
◦ 특용작물 대사체 데이터 생산·저장 플랫폼 개발 ◦ 참당귀, 영지버섯 등 주요성분 분석 ◦ 수입의존 주요 특용작물의 원산지 판별연구 및 기능성 대사체 DB구축 ◦ 지역특화작목 강황의 성분 표준화 및 건강기능식품 소재화 연구 ◦ 불쾌취 제거 천마를 이용한 신경보호 기능성 소재 개발 ◦ 흑삼 호흡기 및 전립선 건강기능식품 원료표준화 연구 ◦ 약용작물을 이용한 프리바이오틱스 소재탐색 연구 ◦ 대사체 융·복합기술 활용 특용작물 생체대사 메커니즘 구명 |
연구실명 | 기능성개발연구실 |
---|---|
연구목표 |
◦ 특용작물 이용 고부가화 및 신수요 창출 기술 개발 ◦ 특용작물 고부가화를 위한 가공이용기술 개발 및 실용화 |
핵심성과 |
◦ 열처리 감초(원감)을 활용한 미백 증진 소재 개발 ◦ 숙지황 제조공정 단축을 위한 지황 숙성기술 효과 확인 ◦ 불쾌취 제거를 통한 천마 이용편의성 증진 기술 개발 |
대표과제 |
◦ 전통 발효제를 이용한 인삼 등의 기능성 향상기술 개발 ◦ 면역력 증진 인삼·약용작물·버섯 선발 및 건강기능성 소재 개발 ◦ 정신건강(인지능개선 등) 증진을 위한 황기 등 특용자원의 원료 표준화 연구 |
주 요 연구내용 |
◦ 특용작물 효능 증진 및 안전성 확보 위한 포제(炮製) 연구 ◦ 특용작물 효능 평가 및 작용 기전 구명 ◦ 유망 특용자원의 신규 기능성 탐색 및 안전성 검정 ◦ 특용작물 용도별 가공적성 평가 및 고부가 원료화 가공기술 개발 ◦ 인지능개선 등 정신건강 증진 기능성 소재 개발 ◦ 면역력 증진 특용자원 이용 건강기능성 소재 개발 |
연구실명 | 자원개발연구실 |
---|---|
연구목표 | ◦ 약용식물자원 수집, 평가, 보존 및 활용 연구를 통한 고부가 소재화 및 산업 활성화 기반 확립 |
핵심성과 |
◦ 약용식물 종 다양성 확보 및 활용을 위한 자원 수집·보존 등 기반 구축 * 자원 수집(보존) 910종, 추출물 조제(분양) 263(251)점, 기능성 DB 구축 435건 ◦ 약용식물로부터 기린초 등 인지능 개선 소재 발굴 |
대표과제 |
◦ 약용식물 유전자원 수집, 증식, 보존 및 활용 연구 ◦ 항치매, 인지능개선 선발약초(기린초 등)의 건강기능성 소재화 연구 ◦ 정신건강(인지능개선 등) 증진 기능성 자생식물의 신소득 작물화 연구 |
주 요 연구내용 |
◦ 약용식물 유전자원 수집, 증식, 보존 및 특성 평가 ◦ 유용 약용식물의 추출물 제조 및 활용 연구 ◦ 항치매 등 약용식물 기능성 발굴 및 DB 구축 연구 ◦ 수면의 질 등 정신건강 개선 기능성 자생식물 스크리닝 및 자원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