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명 | 스마트구조자재연구실 |
---|---|
연구목표 |
◦ 원예시설의 안전성 평가 및 구조개선 기술 개발 ◦ 작물별 내재해형 전용온실 및 비가림시설 모델 개발 ◦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력․자동화장치 개발 |
핵심성과 |
◦ 벤로형 고측고(5.4m→6) 연동 비닐하우스 모델 등록 - 제원(폭 8.0, 측고 6.0, 동고 7.1m), 설계적설심·풍속(41cm, 41m/s) ◦ 함안지역 적용 수박 고정식 비닐온실 모델 등록 : 9종 - 제원(폭 7.0, 7.5, 8.0m, 지붕 1.6, 1.7, 1.8m), 설계적설심ㆍ풍속(20cm, 34m/s) ◦ 광폭형, 연동온실 구조안전성 분석 프로그램(GHM) 고도화(’21, 저작권등록) - 단동 → 연동, 광폭형 등 풍하중, 설하중 분석, 추가비용 부담없이 활용 가능 |
대표과제 |
◦ 딸기 내재해형 육묘시설 모델 및 효율적인 육묘 시스템 개발 ◦ 만감류 시설재배에 적합한 비닐온실 모델 개발 ◦ 장기성 피복재의 특성 및 재배 효과 분석 |
주 요 연구내용 |
◦ 딸기 육묘온실 현장 실증 및 설계도 작성 ◦ 딸기 삽목 상토 및 육묘방법에 따른 재배안전성 실증 ◦ 만감류 재배 농가 실태 조사 및 구조설계 ◦ 작물(참외, 토마토) 재배 효과 및 시설 내 미기상 환경 분석 |
연구실명 | 차세대에너지이용연구실 |
---|---|
연구목표 |
◦ 탄소배출 저감 및 신재생에너지 이용기술개발 ◦ 수소, 연료전지 등 에너지전환 기술개발 |
핵심성과 |
◦ 딸기 생장부위(근권, 관부) 부분난방 및 온수양액공급으로 에너지 효율 증진 - 관부난방(23℃) + 온수양액(23℃)으로 관행 대비 4.9% 증수 - 공간 온도 : 10℃ → 5℃ 적용으로 난방비 46% 절감 ◦ 고온기 온실 온도하강을 위한 포그 및 히트펌프 패키지 기술 개발 - 주·야간 온도는 관행 온실에 비해 약 2℃ 감소, 수확량 10.2% 증가 - ’21년 포그냉방 제어 시스템 보급사업 (21억원/년) 21개소 * ’21 11개소 |
대표과제 |
◦ 고온기 재배시설 냉방효율 증진 기술 개발 및 작물재배 효과 구명 ◦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시설원예 에너지 이용 기술 연구 |
주 요 연구내용 |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차세대 에너지 생산 및 이용 연구 ◦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 및 이용효율 향상 연구 ◦ 시설원예 기계·장치류 개발 및 효율 향상 연구 |
연구실명 | 디지털수경재배연구실 |
---|---|
연구목표 |
◦ 친환경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개발 ◦ ICT 이용 정밀 양수분 관리기술 연구 |
핵심성과 |
◦ 작목별(딸기·토마토·파프리카·멜론) 순환식 배액 재사용 기술 개발 - 양분 불균형 최소화 및 수량 증대를 위한 혼합액(배액+원수) EC 기준 설정 : 딸기(0.6∼0.9dS/m), 토마토·파프리카(1.0∼1.5dS/m), 멜론(0.6∼1.3dS/m) ◦ UAE 현지 농업용수를 이용한 물 절약형 오이 순환식 수경재배 실증 - 수량 : 15~21kg/m2(네덜란드의 74~96%)/WUE(L/1kg생산) : 현지(10∼16L)>국내(19∼22L) |
대표과제 |
◦ 시설 과채류 순환식 수경재배 양분관리 최적화 기술 개발 ◦ 한국형 스마트온실의 UAE 작물재배 실증을 통한 생산성 및 경제성 분석 ◦ 스마트 온실의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 개발 ◦ 폐양액 배출제로형 수경재배 현장 실용화 기술 개발 ◦ 박과류 채소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연중 생산기술 및 접합품종 발굴육성 |
주 요 연구내용 |
◦ 시설 과채류 순환식 수경재배 양분관리 최적화 기술 개발 ◦ 일사량과 배지 수분 함량을 이용한 딸기의 정밀 급액 관리 시스템 연구 ◦ 한국형 스마트 온실의 UAE 작물재배 실증을 통한 생산성 및 경제성 분석 ◦ 배출제로형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양액관리 기술 개발 ◦ 수출 멜론 적합 품종 선발 및 과실 품질향상을 위한 수경재배 기술 개발 |
연구실명 | 지능형환경조절연구실 |
---|---|
연구목표 | ◦ 시설원예 생산성 증대를 위한 지능형 환경제어 및 ICT 융합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온실 해충 자동예찰용 올인원 트랩 개발(’22. 시범사업) - 대상해충 : 7종(나방류 4, 노린재류 3종), 포획능력 : 4∼5배 향상 - ’23년 스마트 트랩 시범 보급사업 확정(19.5억원/3년), 13개소 ◦ (무인방제기) 상하 흔들식 무인 자동 약제 분무 살포 장치 개발 - 전후진 자율제어, 노즐회전, 잎 뒷면 도포율 98% 및 방제비 50% 절감 ◦ 데이터 기반 디지털 온실 적용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 (H/W) 사물인터넷 기반 온실 환경 모니터링 및 키오스크 기반 제어시스템 - (S/W) 시설원예 데이터 모델 기반 앱(App) 및 운용 서비스 구축 |
대표과제 |
◦ 시설원예 디지털 온실 통합 생육환경 관리 표준모델 개발 ◦ Big 데이터 기반 시설원예 디지털 농업 요소기술 개발 ◦ 미세먼지에 의한 농작물 생산피해 예측 및 평가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시설원예 상하 흔들식 무인 살포 장치 보급 ◦ 시설원예 나방 및 노린재 자동 예찰 및 방제 기술 개발 ◦ 온실 미기상 환경개선을 위한 확산형 순환팬 기술 연구 ◦ 차세대 온실 종합 관리 플랫폼 개발 ◦ 미세먼지가 시설재배작물에 미치는 영향 및 세척제 이용 효과 구명 |
연구실명 | 작물생육모델링연구실 |
---|---|
연구목표 |
◦ 작물생육 수확량 예측모델 개발 ◦ 작물 생육지표 및 생육측정 표준화 연구 |
핵심성과 |
◦ 파프리카 생육·수확량 예측 및 환경 모델 개발에 의한 데이터 수집·표준화 ◦ 딸기 생력육묘 기반 조성을 위한 삽수 생산 및 이용 기술 확립 - ’22년 딸기 삽목묘 대량증식 기술 보급사업 확정(5.5억원/년), 11개소 ◦ 국산 장기성 PO필름의 물리성 및 온실 환경·작물 생리 반응 평가 - 국내외 필름 8종 촉진노화(광폭로, 10년) 처리 후 환경요인 및 물리성 변화 분석 |
대표과제 |
◦ 파프리카 생육·수확량 예측 및 온실 환경 모델 개발에 의한 데이터 수집·표준화 ◦ 시설원예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한 구조, 자재 3차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국내외 장기성 피복재의 특성 분석 |
주 요 연구내용 |
◦ 시설재배 작물 생육 모델링 연구 ◦ 온실환경에 따른 작물 반응 및 생리지표 모델 개발 ◦ 시설원예 디지털 트윈 3차원 객체 모니터링 ◦ 작물 모델 구축을 위한 환경, 생육정보 수집 방법 표준화 ◦ 시설재배 작물 모델링 기반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