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부서업무소개

배연구소

비전 및 목표

능동적 환경변화 대응으로 배·감·블루베리 산업 활성화 기반 구축
  • 신수요 창출을 위한 우수품종 보급 확대
    • 배 신품종 보급 확대 : (’16) 9.5% → (’25) 30
    • 단감 신품종 보급 확대 : (’16) 0% → (’25) 10
  • 생산비 절감을 위한 노동력 경감 기술개발 강화
    • 배 노동력 절감 계획 : (’14) 148.5hr/10a → (’25) 125
  • 소과류 등 신소득과수 연구기반 조성

연혁

  • 1970. 04. 08. 원예시험장 나주지장 발족
  • 1991. 11. 15. 과수연구소 나주배연구소 확대 개편
  • 1994. 12. 27. 원예연구소 나주배연구소 개칭
  • 2004. 01. 09. 원예연구소 배시험장 개칭
  • 2008. 10. 08.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개칭
  • 2015. 01. 06.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개칭

주요업무

  • 배, 감, 소·장과류의 품종육성․육종기술 개발에 관한 시험․연구
  • 배, 감, 소·장과류의 유전자원 평가 및 보존에 관한 시험․연구
  • 배, 감, 소·장과류의 재배방법 개선 및 생산비 절감에 관한 시험․연구
  • 배, 감, 소·장과류의 병해충 관리에 관한 시험․연구
  • 배, 감, 소·장과류의 수확 후 관리기술 개발에 관한 시험․연구

주요성과

(신품종 개발) 배, 단감 신품종 개발 및 보급
  • 소비 트렌드 변화에 맞춘 시장지향형 배, 단감 신품종 개발
유통안정성 높은 녹색 과피 중생종 배 신품종 ‘녹주’ 육성
  • 상온유통 3주, 식감우수 생산·유통·소비자 기호도 충족
    • 9월 중순(나주), 634g, 12.2oBx, 왁스층 과피로 동녹적음
      • ☞ 추석 및 일상소비용으로 ‘신고’ 일부 대체가능
  • 녹주

식미가 우수한 고품질 완전단감 신품종 ‘진홍’ 육성
  • 과육이 아상하고, 부드러우며 미세열과 등 생리장해가 적음
    • 10월 하순(영암), 330g, 16.5oBx, 3.6 kg/8mmø
      • ☞ 만생종 ‘부유’ 대체가능
  • 진홍

  • 배, 단감 신품종 보급을 위한 기술이전 및 해외 품종출원(’20∼’22)
    • * (기술이전) 배 ‘설원’ 등 14품종, 63,900주, 9,902천원
    • * (기술이전) 단감 ‘감풍’ 등 11품종, 253,700주, 36,120천원
    • * (해외출원) 연시로도 먹는 고품질 단감 ‘봉황’ 품종보호출원(스페인, 호주)
(재배기술) 배 이상기상 대비 안정생산 및 현장애로 기술 개발
  • 배 개화기 저온피해 수준별 수확기 과실특성(영농기술정보)
    • 배 개화기 저온피해시 과실의 발육 정도와 착과량에 따른 열매솎기 방법 정보 제공
      • * 발육불량 과실 수확기 과중 400∼500g, 평균 생산과실에 적합
  • 배 과원 안전생산기술의 산업체 기술이전
    • 저온피해 예방용 연소자재 3건, 유해동물 포획트랩 9건
(수출) 단감 신품종 수출 및 해외시장 진출
  • 수출시장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신품종 ‘원미’, ‘감풍’ 프리미엄 시장 평가
    • * 대상국: 대만, 베트남, 싱가포르 등 프리미엄 시장(백화점, 고급마켓 등)
  • 단감 신품종 보호 출원 및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지역적응성 평가
    • 현지업체(대상국): Hernandorena, groupMedina(스페인), ANFIC(호주)
      • * 대상 품종: ‘조완’, ‘원미’, ‘원추’, ‘감풍’, ‘봉황’, ‘판타지’ 증 6품종

<우수사례 : 단감 신품종 ‘원미’ 대만 시장 시범 수출 추진>
  • 단감 수출시장 확대 및 국제경쟁력 향상 도모
    • 고품질 조생종 ‘원미’의 프리미엄 수출 추진
      • * 대만은 단감 수요가 많고, 수출 단가가 높음
      • ➜ 대만 수출로 단감 수출시장 확대 및 프리미엄 단감 동남아시아 진출을 위한 교두보 확보
  • 원미
(병해충) 배 병해충방제결정지원체계(DSS) 기술개발
  • 배 검은별무늬병 방제결정지원정보 어플리케이션 개발(기술이전)
    • ㈜NH-케미컬 공동, 범용형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산업체 보급
      • * 감염여부, 약제선택, 살포시기, 혼용정보 등 실용정보 수록
  • 배 붉은별무늬병 효율적 관리를 위한 방제기술 정보 제공(책자발간)
    • 배나무와 향나무에 이병 붉은별무늬병 관리기술(국립산림과학원 공동)
(현안대응) 기상재해 및 화상병 대응 현장기술지원
  • (저온피해) 배, 감의 개화기 저온피해 현장기술지원
    • 피해방지 기술보급 및 저온피해 발생지역 신속한 현장조사
  • (화상병) 과수화상병 확산방지를 관리메뉴얼 작성 및 보급
    • 전남도농업기술원 공동 관리매뉴얼 집필 및 전국 지자체 보급
(행사) 중앙·지방협의회, 현장평가회 등 행사 개최
  • 중앙·지방 네크워크 강화 및 시험사업 발굴을 위한 배·감·블루베리 협의회 개최
  • 가락동 중도매인 대상 ‘그린시스’ 현장평가회 개최
    • * 경매낙찰가 : 그린시스 6,000∼10,000원/kg, 신고 1,300∼2,000원
  • 배 신품종 ‘슈퍼골드’ 현장평가회 개최
  • 배연구소 조직문화관리를 위한 도시락포럼, 노사협의회 등 개최
  • ‘슈퍼골드’‘슈퍼골드’
  • ‘감풍’‘감풍’
  • 각화동 시식평가각화동 시식평가
  • ‘슈퍼골드’ 현장평가회‘슈퍼골드’ 현장평가회

중점추진계획

중점방향
  • 맞춤형 재배법 확립을 통한 배·감 육성품종 보급확대
  • 소비만족을 위한 배, 감, 블루베리 우수품종 개발과 보급
  • 고령화 대비 생력화 기술개발 및 질적 애로과제 해결
  • 배, 감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재배시스템 혁신
추진계획
  • 일상소비용 배 신품종 육성 및 보급
    • 외관과 식미가 차별화된 우량계통 최종선발 및 신품종 보급 활성화
    • 내․병충성 유전자원 평가 및 신과종 특성 정밀 검토
  • 배 신품종의 수체 및 병해충 관리기술 개발
    • 배 신품종 안정생산 및 영상정보 적용기술 분석
    • 수출 과실 상품성 제고를 위한 생리장해 경감 및 저장기술 개발
    • 노동력 부족 대응 배 과원 디지털자동화 과원관리 시스템 개발
  • 단감 신품종 개발 및 보급
    • 단감 신품종 육성효율 증진 및 소비자 맞춤형 품종 개발
    • 단감 신품종 보급 확대를 위한 맞춤형 재배 매뉴얼 개발
    • 프리미엄 단감 수출 및 해외 기술이전을 위한 적응성 시험 추진
    • 미래기술 대응 기계화 및 생력형 재배기술 개발
  • 블루베리 및 소과류 산업화 기반 구축
    • 블루베리 등 소과류 유전자원 육종 소재 발굴을 위한 유전자원 특성평가
    • 블루베리 도입 유전자원 평가를 통한 유망품종 선발 및 재배기술 표준화
    • 우리나라 기후에 적합한 블루베리 품종 개발을 위한 교배집단 양성

전문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배연구실
연구목표 ◦ 소비자 맞춤형 배 품종, 대목 육성 및 보급
◦ BT, IT, DT 기반 배 육종 기술 개발 및 실용화
◦ 배 유전자원 관리 및 평가
핵심성과 ◦ 향기나는 배 ‘진향’, 배 주스용 ‘설렘’ 품종 출원 및 적색배 개발
◦ 이른 추석 수확 가능한 ‘신화’ 대한민국 우수품종상 수상
대표과제 ◦ 재배가 용이한 일상소비용 배 품종 육성
◦ 배 육종 소재 발굴을 위한 유전자원 특성평가
주요
연구내용
◦ 유용형질 집적 우량계통 및 유전자원 선발
◦ 배 왜성대목, 병저항성 품종 개발
◦ 소비자 맞춤형 품종 개발 및 육종효율 증진
◦ 신품종 보급확대를 위한 농가 실증시험
◦ 배 유전체 분석 및 마커개발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생산시스템연구실
연구목표 ◦ 배 고품질 안정생산 디지털 재배 기술 체계 연구
◦ 배·감·블루베리 병해충 종합관리 실용화 연구
핵심성과 ◦ 배 감 주요 병해방제결정 지원정보 알고리즘 개발
◦ 그린시스 품종 과실의 저장 중 내부 갈변 발생 증상 구명
대표과제 ◦ 배 ‘그린시스’ 안정생산 및 영상정보 적용기술 분석
주요
연구내용
◦ 배 ‘그린시스’ 수분스트레스 탐지를 위한 영상정보 적용기술 개발
◦ ‘그린시스’ 과실안정생산을 위한 수형구성 및 측지구성 기술개발
◦ ‘그린시스’ 수확 후 유통중 과실품질 유지조건 구명
◦ 배 기계화 작업을 위한 적품종 및 최적 수형 구성 기술 개발
◦ 배‧감‧블루베리 주요 병해충 방제 결정 지원정보 생산연구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감·소과류연구실
연구목표 ◦ 감·소과류 품종 육성 및 보급확대
◦ 감·소과류 유전자원 특성평가 및 육종 소재 발굴
핵심성과 ◦ 고품질 완전단감 품종 ‘진홍’ 육성
◦ 국내육성 단감 국내·외 품종 출원 및 기술이전 추진(7품종)
대표과제 ◦ 소비편리, 생리장해 경감 고품질 완전단감 품종 개발
◦ 도입 블루베리 자원 특성 평가 및 한국형 품종 육성을 위한 집단 구축
주요
연구내용
◦ 감, 블루베리 품종 육성 및 육종기술 개발
◦ 콜히친 처리를 통한 감, 블루베리 배수체 육성
◦ 단감 신품종 이용촉진 및 지역적응시험
◦ 단감 수출확대를 위한 주요 품종 수출애로 해결
◦ 한국형 블루베리 품종 선발 기반 구축 및 소과류 자원보존포 조성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