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명 | 상품화이용연구실 |
---|---|
연구목표 |
◦ 품목별 내수 및 수출 시 선도유지 상품화 기술 개발 ◦ 신선편이 농산물 선도유지 및 가공 상품화 기술 개발 |
핵심성과 |
◦ 고품질 딸기 수확후 일관체계화 기술 개발 ◦ 수출 품목별 선도유지용 수확·포장상자 및 매뉴얼 개발 ◦ CA 컨테이너 활용 수출 품목 선도유지 최적 환경 기술 개발 |
대표과제 |
◦ CA 컨테이너 활용 수출용 농산물 선도유지 기술 개발 ◦ 디지털 유통 실현을 위한 스마트 APC 시스템 구축 |
주 요 연구내용 |
◦ 과수, 채소, 화훼류 스마트 APC 수준진단 및 시범모델 구축 ◦ 주요 수출 품목 CA 환경조건 설정 및 선도유지 기술 개발 ◦ 과일, 채소 신선편이 가공적성 평가 및 상품화기술 개발 ◦ 수출용 인삼 및 새싹삼 일관체계화 기술 개발 ◦ 과수류 내수 및 수출용 선도유지기술 개발 ◦ 화훼류 수확후관리 공정 개선 및 선도유지기술 개발APC |
연구실명 | 디지털품질표준화연구실 |
---|---|
연구목표 |
◦ 신선 농산물 빅데이터 기반 품질 표준화 시스템 확립 ◦ 실시간 품질 판정·예측·제어로 신선농산물 품질관리 고도화 |
핵심성과 |
◦ 품질인자 기반 신선 농산물 내·외부 품질 평가법 표준화 ◦ 농산물 저장 및 유통중 품질저하 예측 모델 개발 ◦ 농산물 숙성조절, 부패제어를 위한 선도유지 기술개발 |
대표과제 |
◦ 수출버섯 품질·안전성 데이터 구축및 선도유지 기술 개발 ◦ 생산정보 연계 수확후 농산물 관리 품질기준 및 등급 표준화 연구 |
주 요 연구내용 |
◦ 수출 버섯(만가닥, 팽이, 표고) 수확후 선도유지 실용화 기술 개발 ◦ 수출 버섯 저장·유통·안전성 연관 품질인자 발굴 및 데이터 수집 ◦ 신선 농산물 생산-유통-소비 연계 품질표준화 및 빅데이터 구축 ◦ 신선 농산물 품질 예측을 위한 비접촉식 품질계측 기술 확립 ◦ 주요 과수 저장·유통환경에 따른 품질저하 특성 모니터링 |
연구실명 | 수확후생리대사연구실 |
---|---|
연구목표 |
◦ 원예작물 수확 후 품질변화 원인 구명 및 억제 기술 도출 ◦ 분자생리학적 방법을 통한 원예작물 수확 후 생리 기작 구명 |
핵심성과 |
◦ 채소 수확 후 저온장해 발생원인 및 억제기술 개발 ◦ 엽과채류 혼합수출을 위한 수확 후 품질변화 원인 구명 및 억제기술 개발 |
대표과제 |
◦ 멀티오믹스를 활용한 참외, 파프리카 수확 후 저온장해 기작 구명 ◦ 파프리카 등 수출국 다변화 및 클레임 방지기술 개발 |
주 요 연구내용 |
◦ 원예작물 수확 후 품질 변화 원인 구명 및 억제기술 탐색 ◦ 전사체, 대사체를 활용한 과채류 저온장해 기작 구명 ◦ 과수류 수확 후 생리 기작 및 육종지원 연구 ◦ 수출용 파프리카, 토마토 품질저하 요인 구명 및 억제기술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