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부서업무소개

저장유통과

비전 및 목표

원예작물 수확후관리 선진화 및 스마트유통 실현
  • 선도유지기술 고도화로 수출 안정화 기반 마련
  • 유통혁신 및 소비 다양화를 위한 상품화 기술 개발
  • 디지털 유통 플랫폼 구축 선진국형 유통 기반 마련
  • 산학연 & 중앙-지방과의 수확후관리 선진화를 위한 협업 강화

주요업무

  • 채소․과수․화훼의 수확 후 관리기술 개발에 관한 시험․연구
  • 채소․과수․화훼의 유통 중 품질 및 손실감소에 관한 시험․연구
  • 신선 특용작물의 선도유지 관리기술 개발에 관한 시험․연구
  • 원예․특작 수확 후 생리 및 상품성 향상 기술에 관한 시험․연구

주요성과

CA 컨테이너 활용 수출 품목 선도유지 최적환경 기술 개발
  • 수출 품목별 CA 컨테이너 최적 환경조건 설정 및 실증 수출
    • [연구] 최적 CA 조건 설정: 2종 완료(딸기·참외), 6종 진행 중(파프리카, 새송이 등)
    • [실증] (혼합품목) 딸기, 참외 등(홍콩·베트남, 20회), (단일품목) 배 (미국, 1회)
      • * 12월 단일품목 CA 실증 수출 추진 예정 : 감귤(캐나다, 미국), 단감(캐나다), 고구마(홍콩)
    • [소통] 워크숍(수출업체 등/6월, 12월예정), 협의(세중해운, HMM, aT, 농림부, NH무역 등/ 수시)
수출국 다변화 및 클레임 감소를 위한 선도유지기술 개발
  • 수입국 기호도 충족 품종 선발 및 수출 유통기술 확립
    • (딸기) 수출 적합 신품종 선발 / (포도) 품종별 품질 DB + 유통기술 확립
      • ⇒ 수출 품목 품질관리 매뉴얼 5종(포도·블루베리·토마토·인삼·새싹삼)
  • 클레임 감소를 위한 상품화 기술 개발 및 품질변화 기작 구명
    • (참외) 골갈변 완화 열수처리 기술+장치(특허) APC 현장 실증(7월)
    • (절화류) ‘수분공급튜브’ 현장평가회·보급(기술이전) / (버섯류) 리스테리아 검출기술(특허)
    • (기작구명) 토마토 ClO2, GA 처리 통한 후숙 조절 기작 구명(SCI IF 5.5 2건)
  • CA 실증 – 배(미국)CA 실증 – 배(미국)
  • 참외 열수처리 장치참외 열수처리 장치
  • 수분공급튜브 현장평가회수분공급튜브 현장평가회
  • 토마토 후숙조절 기작 구명토마토 후숙조절 기작 구명
수출 농산물 일관체계화기술 적용으로 선박수출 클레임 감소
  • (수삼·새싹삼) 상품화기술 적용 선박 시범수출(베트남, 2회)
    • 선박수출 후 상품성 유지 : 한국산 세척 수삼, 새싹삼 품질 호평
      • * 상품화 기술(고압분사세척+표면건조+기능성포장재)로 수삼 유통기한 2배 연장
  • (블루베리) 미생물 발생 억제 기술 적용 선박 시범수출(말레이시아)
    • 예냉(5∼10℃) → 선별 → 포장(1kg) → 선도유지기술 적용
      • * 이동식 동시복합처리(CO2+ClO2)+MA, SO2+유산지+MA포장 → 부패과, 물러짐 없음
  • (혼합품목) 채소류 혼합선적 선도유지기술 적용 시범수출(싱가포르, 11월)
    • 적용기술 : 고구마 + 파프리카 + 토마토 → MAP + ClO2 + 컨테이너 9℃
      • * 혼합선적 수출 채소류 상품성 유지 및 손실률 감소 효과
원예작물 선도유지용 수확·포장상자(장치) 및 매뉴얼 개발
  • 품목별 수확후 생리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상자로 상품성 유지
    • 파프리카용 수확 및 예냉상자, 딸기 포장용기(디자인 출원)
    • 딸기 1단 난좌형 MA 기능성 포장재(특허) → 호흡활성 억제로 선도연장 30%
    • 수국 등 절화류 선도유지 물대롱 개선 → 신개념 수분공급장치(특허)
    • 작약 수확방식, 농가형 예냉장치(특허)를 통한 손실률 30~50% 감소
  • 포도 ‘샤인머스켓’ 등 프리미엄 수출 시장 공략 매뉴얼 개발(7종)
    • 수출 농가, APC, 수출통합조직 요구 현장 애로사항 해결(포도, 장미 등 7종)
  • 파프리카용 수확 및 예냉상자파프리카용 수확 및 예냉상자
  • 딸기 포장용기(기존 개발용기 보완)딸기 포장용기(기존 개발용기 보완)
  • 절화류 수분공급장치(특허)절화류 수분공급장치(특허)
신선 농산물 수출 시 유통 장해 원인 구명 및 억제법 탐색
  • 토마토 CO2 처리에 따른 저온장해 억제 기작 구명(Foods, 4.0)
    • CO2+저온→항산화 에틸렌 유전자 유도+Carbohydrate metabolism 증진→저온장해 경감
디지털 유통 플랫폼 구축으로 선진국형 유통 기반 조성
  • 품목별 거점 스마트 APC 선진화 모델 구축(농식품부, 농협과 협업)
    • 수확후 공정별 선도유지를 위한 자동화·정보화에 스마트유통기술 적용
      • * 대상작목 : 사과, 배, 감귤, 딸기, 참외, 토마토 등 7작목 9 APC
(협업) 수요자 맞춤형 선도유지 및 상품화 방안 공동연구 추진
  • 현장컨설팅(풀무원 등 건), 워크숍(세중해운 등 2), 공동연구(’22, 산림과학원)

중점추진계획

중점방향
  • 선도유지기술 고도화로 수출 안정화 기반 마련
  • 유통혁신 및 소비 다양화를 위한 상품화 기술 개발
  • 디지털 유통 플랫폼 구축 선진국형 유통 기반 마련
  • 산학연 & 중앙-지방과의 수확후관리 선진화를 위한 협업 강화
추진계획
  • 선도유지기술 고도화로 수출 안정화 기반 마련
    • CA 컨테이너 활용 시범수출 확대 및 실효성 검증
    • 수출국 다변화 및 클레임 감소 상품화기술 개발
  • 유통혁신 및 소비 다양화를 위한 상품화 기술 개발
    • 인삼 소비확대를 위한 세척·소포장 기술 보급
    • 농산물 소비확대를 위한 신선편이 상품화 기술 개발
  • 디지털 유통 플랫폼 구축 선진국형 유통 기반 마련
    • 스마트 유통을 위한 APC 수준 진단 및 모델 구축
    • 농산물 수확후관리 품질기준 및 등급 표준화
  • 산학연 & 중앙-지방과의 수확후관리 선진화를 위한 협업 강화
    • 산학연 & 중앙-지방과의 공동연구 및 협업 강화
    • 업무협약 기관(업체)과의 및 현장연구 강화

전문연구실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상품화이용연구실
주요임무 ◦ 스마트 APC 공정별 품질관리 모델 개발
◦ 수출 클레임 감소 상품화 및 실용화 기술 연구
◦ 디지털 기반의 신선 농산물 유통 시스템 구축
◦ 신선편이 선도유지 및 소비 다양화 유통기술 개발
성과목표 ◦ 과수, 채소류 스마트 APC 유통 플랫폼 구축(’24)
◦ CA 컨테이너 활용 수출 품목 선도유지 최적 환경 기술 및 DB구축(’24)
◦ 수출 품목별 선도유지용 유통·포장 상자 개발(’25)
대표과제 ◦ 디지털 유통 실현을 위한 스마트 APC 시스템 구축
◦ CA 컨테이너 활용 수출 농산물 선도유지 기술 개발
◦ 신선농산물 안정적 수출을 위한 포장기술 개발 및 실증
주요
연구내용
◦ 과수, 채소류 스마트 APC 수준진단 및 시범모델 구축
◦ 주요 수출 품목 CA 환경조건 설정 및 선도유지 기술 개발
◦ 과일, 채소 신선편이 가공적성 평가 및 상품화기술 개발
◦ 수출용 인삼 및 새싹삼 일관체계화 기술 개발
◦ 화훼류 수확후관리 공정 개선 및 선도유지기술 개발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디지털품질표준화연구실
주요임무 ◦ 신선 농산물 빅데이터 기반 품질 표준화 시스템 확립
◦ 실시간 품질 판정·예측·제어로 신선 농산물 품질관리 고도화
성과목표 ◦ 신선 농산물 저장·유통 품질 등급표준화 시스템 확립(’25)
◦ 지능형 환경제어 연계 품질변화 예측 시스템 구축(’26)
◦ 디지털 기반 품질인자 지표개발 및 DB화(’30)
대표과제 ◦ 양파 등 생산정보 연계 데이터 기반 품질인자 발굴 및 표준화
◦ 생산정보 연계 수확후 농산물 관리 품질기준 및 등급 표준화
◦ 데이터 기반 스마트 유통을 위한 인공지능 품질관리 및 수급관리 운영 플랫폼 개발
주요
연구내용
◦ 대파 저장방법 및 포장에 따른 저장·유통 품질변화 모니터링
◦ 사과 디지털 기반 등급화 및 품질저하 예측 프로그램 개발
◦ 양파 디지털 기반 등급화 및 품질저하 예측 프로그램 개발
◦ 디지털 기반 품질인자 발굴 및 저장·유통 품질변화 예측
◦ 인공지능기반 저장·유통 시뮬레이션 개발 및 실용화
연구실명, 연구목표, 핵심성과, 대표과제, 주요 연구내용 순으로 보여주는 표 입니다.
연구실명 수확후생리대사연구실
주요임무 ◦ 원예작물 수확 후 품질변화 원인 구명 및 억제 기술 도출
◦ 분자생리학적 방법을 통한 원예작물 수확 후 생리 기작 구명
성과목표 ◦ 과채류 저온 장해 발생원인 구명 및 수확후 관리법 제시(’24)
◦ 양파, 오이의 수확후 장해 관련 오믹스 데이터 구축(’25)
◦ 마늘 수확후 저장장해 구명 및 선도유지 기술 개발(’25)
대표과제 ◦ 멀티오믹스를 활용한 참외, 파프리카 수확후 저온장해 기작 구명
◦ 양파, 오이 등 수확후 장해 요인 구명 및 오믹스 데이터 DB화
◦ ‘홍산’ 마늘 상품성 향상을 위한 지역별 맞춤형 재배 및 수확후관리 기술 개발
주 요
연구내용
◦ 원예작물 수확후 생리 대사 연구
◦ 멀티오믹스 기법을 활용한 수확후 생리대사 및 억제법 연구
◦ 원예작물 수확후 기능성 성분과 선도와의 상관관계 구명 연구
◦ 원예작물 대사체 기반 수확 후 장해 기작 구명 연구
◦ 분자생물학을 이용한 수확 후 생리기작 구명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