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장춘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육종학자로 아버지는 한말의 망명 정객 우범선(禹範善)이며, 어머니는 일본인이었다. 일본에서 출생한 그는 극심한 빈곤과 주위의 학대에도 굴하지 않고 일본의 히로시마현 구레에서 중학교를 마쳤다.
- 1916년 동경제국대학 농학실과에 들어가 1919년 졸업과 동시에 일본 농림성 농업 시험장에 취직하여 1937년 퇴직할 때까지 18년간 육종학에 대한 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육종 연구에 몰두하였다. 특히 1936년에는 배추속(Brassica)의 식물에 관한 게놈분석을 시도하여 발표한 박사학위 논문"종(種)의 합성"은 세계적인 반향을 불러 일으켰으며, 다윈의 진화론 중 '종은 자연도태의 결과로 성립된다'는 설을 보충했다.
- 1950년 조국의 초청으로 귀국하여, 사망한 1959년까지 만 9년 5개월 동안 한국농업 과학연구소장,중앙원예기술원장,원예시험장장을 역임하였다. 특히 그는 귀국 후 그의 지식을 바탕으로 그 때까지만 하더라도 거의 일본에 의존하던 채소 종자를 국내에서 자급할 수 있도록 하고, 우리 나라 육종과 원예 발전을 위하여 전력하였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서 1959년 8월 8일에는 정부로부터 문화포장을 받았다. 우장춘은 같은 해 8월 10일에 타계하였는데, 그의 장례는 온 국민의 애도 속에 사회장으로 치러졌다. 유해는 수원의 여기산(麗妓山)에 안장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