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대표 홈페이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전체메뉴
전체 메뉴 닫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검색
  • 천마주스

    제목
    천마주스
    내용
    천마주스○ 재료 : 천마200g, 얼음200g, 꿀또는 소금 약간, 딸기 ○ 만드는 법 : 재료를 혼합하여 믹서에 갈아 마신다.
    조회수
    1906
  • 천마밀쌈

    제목
    천마밀쌈
    내용
    천마밀쌈○ 재료 : 천마가루100g, 밀가루30g, 물, 식용구 약간씩, 오이1/4개, 당근 1/4개, 무순 50g, 깻잎50g 소스 : 겨자1큰술, 식초1큰술, 설탕1큰술, 소금, 간장 약간씩 ○ 만드는 법 1) 천마가루, 밀가루를 반죽하여 전병을 부쳐 식힌다. 2) 오이, 당근을 깎아 채 썰고 무순, 깻잎, 쑥갓을 준비한다. 3) 밀전병을 준비한 채소와 겨자소스를 곁들여 낸다.
    조회수
    1932
  • 천마영양밥

    제목
    천마영양밥
    내용
    천마영양밥○ 재료 : 천마100g, 찹쌀1컵, 잡곡1/2컵, 멥쌀1/2컵, 물2컵, 은행, 잣, 대추 ○ 만드는 법 1) 찹쌀, 잡곡, 멥쌀을 씻어 놓는다. 2) 물 2컵을 넣고 한소끔 끓인 후 은행, 대추, 잣, 천마를 넣고 약 7분 뜸을 들인다. 3) 간장 양념과 잘 비벼 먹는다.
    조회수
    1793
  • 천마볶음밥

    제목
    천마볶음밥
    내용
    천마볶음밥 ○ 천마는 예부터 건강장수에 효과가 있는 약초로 널리 알려져 왔다. 또한 잘 놀라는 것과 흐리멍텅한 의식을 맑게 하고자할 때 민간에서 특효약으로 많이 썼던 한약재이기도 하다. 천마에는 인체의 면역기능을 강화하며 심장혈관의 혈류량을 늘리는 성분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산소 결핍상태에서고 버티는 힘을 길러준다는 동물실험결과도 있다. 이는 천마가 지능을 높이는 것과 수명연장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 재료 : 천마2g, 닭고기20g, 죽순50g, 당근50g, 표고버섯15g, 완두콩20g ○ 만드는 법 1) 천마는 미리 더운 물에 담그고 부드러워지면 작은 토막으로 썰어 쪄낸다. 2) 닭고기도 작은 토막으로 썰어 놓는다. 3) 표고버섯은 채로 썰고 생완두콩은 쪄서 익힌다. 4) 죽순과 당근은 작은 토막으로 썰어둔다. 5)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천마 등의 재료를 넣어 볶다가 밥을 넣고 함께 볶으면서 간을 한다.
    조회수
    1710
  • 천마오리백숙

    제목
    천마오리백숙
    내용
    천마오리백숙○ 재료 : 오리 한 마리, 생마50g, 마분말3g, 자연산 송이5g, 잣 5~10개, 해바라기씨 10~20개, 참깨 2g, 땅콩분말, 검정콩분말, 대추, 소금, 후추 ○ 만드는 법 1) 오리를 깨끗이 준비한 다음, 내장을 제거한다. 2) 냄비에 손질된 오리와 물 2.8리터를 함께 넣고 생마 약 50g를 잘게 썰어 준비한 후, 소금 작은술 1숟가락 후추약간을 압력솥에 함께 넣어 약 20분 정도 열을 가한다. 3) 압력을 제거하여 뚜껑을 열은 다음, 땅콩분말 큰술 한 숟가락(10g정도), 검정콩분말 큰술 한 숟가락(10g)과 분쇄한(갈은) 고구마 20g를 넣은 후에, 다시 압력솥에 뚜껑을 닫고 약 20분 정도 가열한다. 4) 익은 오리를 건져내어 국물과 함께 뚝배기에 넣고, 대추 썰은 것 약간과 마분말3g, 자연산 송이5g, 잣 5~10개, 해바라기씨 10~20개 참깨 2g를 넣은 다음 다시 뚝배기를 약 5분간 끓인다.
    조회수
    2398
  • 천마두부무침

    제목
    천마두부무침
    내용
    천마두부무침○ 재료 : 천마, 두부, 미나리, 깨소금 ○ 만드는 법 1) 천마를 믹서기에 갈아 놓고 두부는 으깬다. 2) 갈아놓은 천마에 데친 미나리를 넣는다. 3) 2)에 으깬두부와 함께 깨소금을 넣고 무쳐 먹기 좋게 그릇에 담아낸다.
    조회수
    1988
  • 천마꼬치구이

    제목
    천마꼬치구이
    내용
    천마꼬치구이○ 재료 : 천마100g, 청피망50g, 양파50g, 홍피망50g, 노랑파프리카60g ○ 만드는 법 1) 천마는 껍질을 벗겨 5cm로 자르고 양파, 청, 홍피망, 노랑파프리카도 준비한다. 2) 브로콜리는 끓는 물에 오일을 넣고 데친다. 3) 꼬치에 천마, 양파, 청, 홍피망, 파프리카, 브로콜리 순서로 꽂는다. 4) 피자치즈를 뿌려 노릇노릇해질 때까지 굽는다.
    조회수
    1750
  • 황기죽

    제목
    황기죽
    내용
    황기죽○ 황기는 강심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특히 중독인 때나 과로한 심장에 대하여 그 효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관상동맥과 신장의 혈관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전신의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의 순환을 왕성하게 한다. 또한 피부에 분비공을 폐쇄하는 작용이 있어 겨울철에 사용하면 감기의 예방이 되고, 반대로 여름철에 사용하면 체내 수분의 과다 발산을 방지한다. 황기죽은 피로로 인한 내장의 기능 저하, 만성적인 설사, 허약 체질로 인한 식은 땀, 노인성 부종, 만성 간염, 만성 신염 및 상처가 잘 아물지 않을 때 등 모든 혈기 부족 증상에 좋다. 몸이 뜨겁거나 오후가 되면 열이 날 때, 식은 땀, 갈증이 있을 때, 소변이 적고 혈뇨가 나올 때, 맥이 약한 사람은 먹지 않도록 한다. ○ 재료 : 황기채썬것30g, 인삼1뿌리, 불린 쌀 반컵, 황설탕약간, 잣3알, 대추1알, 물 적당량 ○ 만드는 법 1) 황기는 채썬것을 후라이팬에 기름 없이 갈색으로 될 때가지 볶아준다. 2) 인삼은 세척한 후 어슷하게 썰어준 후 구운황기와 함께 물 1L를 넣어 700㎖가 될 때까지 졸여준다. 3) 불린쌀은 칼등으로 쳐서 부수어 준다. 4) 만들어진 황기수삼물에 쌀을 넣어 죽을 완성시킨다. 5) 고명으로 잣과 대추를 넣어 마무리한다.
    조회수
    2014
  • 황기닭찜

    제목
    황기닭찜
    내용
    황기닭찜○ 재료 : 영계1마리, 황기100g, 백작약10g, 대추5개 양념 : 맛술2큰술, 다진파1큰술, 다진마늘1작은술, 생강즙1큰술, 간장3~4큰술, 설탕2큰술, 소금, 후춧가루 약간씩 ○ 만드는 법 1) 닭은 깨끗하게 손질해서 준비한다. 2) 씻은 닭은 칼끝으로 먹기 좋은 크기로 토막낸다. 3) 토막낸 닭은 끓는 물에 닭의 표면이 익을 정도로 데친다. 4) 황기, 당귀, 백작약은 찬물에서 1번 정도 헹군다. 5) 대추도 찬물에 헹군다. 6) 냄비에 데친 닭과 헹군 약재, 대추를 넣고 물을 자작하게 부어 끓인다. 7) 맛술, 다진파, 다진마늘, 생강즙, 간장, 설탕, 후춧가루를 섞어 양념장을 만든다. 8) 닭찜이 끓으면 준비한 양념장을 넣고 중불에서 서서히 조린다. 9) 닭이 익어 양념장이 들어 윤기가 나면 불을 끈다.
    조회수
    1979
  • 황기삼계탕

    제목
    황기삼계탕
    내용
    황기삼계탕○ 인삼은 원기를 보해주고 갈증을 없애주며 비장과 위장의 기능을 보강해주는 효능을 갖고 있다. 황기는 인삼처럼 많이 알려진 약재는 아니지만 피부의 기능을 보해주고 땀을 막아주며 새살이 돋게 하는데 없어선 안 될 약재다. 닭고기는 근육 속에 지방이 섞여 있지 않아 맛이 담백하고 소화흡수도 잘 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재료 : 닭1마리, 찹쌀 200cc, 대추3개, 인삼 15g, 황기 15g, 마늘 2통, 후추, 생강, 소금○ 만드는 법 1) 영계의 배를 반쯤 가른 상태에서 내장을 빼고 물로 뱃속을 2~3번 씻어 낸 후 물기를 뺀다. 2) 뱃속에 물에 미리 불린 찹쌀과 인삼, 황기, 대추를 함께 넣는다. 다리를 실로 묶어 찹쌀이 새어나오지 않게 한다. 3) 솥에 닭을 안치고 닭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부어 일단 센 불에 끓인 후 약한 불로 다시 2~3시간 곤다. 젓가락으로 찔러 보아 뱃속의 쌀이 푹 익을 정도면 된다. 4) 육수는 종이나 거즈를 낀 채에 부어서 기름을 걷어낸다. 5) 푹 곤 닭을 뚝배기에 옮기고 육수를 부어3~4분 정도 더 끓이다가 불에서 내려 파와 소금 등 양념을 넣어 간을 맞춘다.
    조회수
    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