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야생버섯

코프린(coprine, disulfiram-like toxin) 중독을 일으키는 버섯류

  • 두엄먹물버섯[Coprinus atramentarius) (Bull.) Fr.]을 섭식한 후 30분부터 5일 이내에 술이나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수를 섭취하면 1시간 이내에 구토와 두통이 나타나지만, 술을 섭취하지 않으면 중독증상은 없다. 그 이유는 버섯이 내포한 코프린(coprine) 성분이 간에서 알코올대사작용에 관여하는 효소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상은 체내에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de)가 축적되어 나타나는데, 얼굴과 목에 홍조가 나타나고 금속성 맛을 느끼며 가슴이 뛰고 사지가 저린 증세와 박동성 두통, 구토 등이 나타난다. 대부분 예후가 좋으며 부정맥에 대해서는 치료를 요할 수 있다. 두엄먹물버섯이 내포하는 코프린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알코올 중독 치료제(disulfiram)와는 구조가 다르다.
  • 코프린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과 혼동하기 쉬운 식용버섯
    코프린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과 혼동하기 쉬운 식용버섯
    식용버섯 독버섯
    먹물버섯 (Coprinus comatus) 갈색먹물버섯(Coprinus micaceus)
    두엄먹물버섯(Coprinus atramentarius)

    [식용버섯인 먹물버섯]

    어린 자실체

    ▲어린 자실체

    액화현상이 일어나는 자실체

    ▲액화현상이 일어나는 자실체

    먹물버섯

임상독성학

  • 독성 분류 : coprine(disulfiram-like toxin) poisning (Group III)
  • 독성 약역학
    코프린이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화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을 방해하여 에탄올 대사를 저해한다. 알코올 상승작용을 하는 코프린, N5(1-hydroxy cyclopropyl)-L-glutamine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독특한 아미노산으로서, 동량의 사이클로프로파논(cclopropanone)을 함유하고 있다. 이것은 디설피람(Disulfiram : NND)과 비슷한 착염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디설피람(N,N,N’,N’-tetra-ethylthiuram-disulfide)은 담황색의 결정성 분말로 몰리브덴과 결합하고, 아세트알데히드 산화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섭취한 알코올의 대사를 아세트알데히드단계에서 중단시킨다. 이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여 자율신경계의 베타 수용체를 통한 혈관운동(vasomotor) 장애의 원인이 된다.

    코프린(coprine)의 화학구조식

    코프린(coprine)의 화학구조식
  • 중독증상
    개개인의 감수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독버섯을 4~5일 전에 먹은 후 술을 마시면 일반적으로 1시간~1시간 반 만에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독버섯을 알코올과 함께 먹거나 많은 양의 술을 마신 후 곧바로 독버섯을 먹어도 증상이 나타난다. 버섯을 섭취한 후 빠르게는 2시간 후 부터 술에 대해 민감해진다. 버섯을 섭취한 후 민감해진 상태에서 술을 마시면 15~20분 후부터는 증상이 나타나며 해독되기까지 3~6시간 정도 걸린다.
    주요 중독증상은 심한 두통, 안면홍조, 감각장애, 체위성 저혈압, 구토, 빈맥, 흉통, 식은땀 등이다. 특히 심혀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쇼크, 대사성 산증, 부정맥, 심근경색 등을 동반할 수도 있다.
  • 진단
    환자의 버섯 섭취력과 음주력을 함께 확인하는 것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며, 버섯을 직접 확인하면 더욱 도움이 된다.
  • 치료
    • 오염제거 : 자발적인 구토가 흔하게 발생하므로 특별한 오염 제거(위세척, 활성탄, 설사제 등)는 필요하지 않다.
    • 제거촉진 : 특별한 제거법은 없으나 이론적으로는 혈액투석으로 혈중 알코올을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보고가 있다.
    • 보존치료 : 적절한 수액과 전해질 교정이 매우 중요하다. 환자들에게는 72시간동안 모든 알코올 함유 제품을 피도록 교육한다. 저혈압과 부정맥이 매우 위험하므로, 특히 활력징후가 불안정하거나 심혈관질환이 있는 경우 심장 모니터링을 하고, 산소와 수액을 주입하도록 한다.
    • 해독제 : 심실상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과 불아감(anxiety)이 있을 경우 proranolol 10~15mg를 경구로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