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일반정보

버섯 발생형태

  • 단생(solitary)
    • 개체가 한 개씩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광대버섯류, 무당버섯류, 젖버섯류, 땀버섯류 등이 여기에 속한다.
  • 산생(scattered)
    • 일정 지역에서 버섯의 개체가 여러 개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말똥버섯류, 종버섯류, 큰갓버섯 등이 속한다.
  • 군생(Gregarious)
    • 단생하거나 속생하는 버섯들이 무리지어 발생하는 형태로서 말불버섯, 낙엽버섯, 애기버섯 등이 속한다.
  • 속생(Connate)
    • 자실체가 다발로 발생하는 형태로서 느타리, 팽이, 양송이, 갈황색미치광이버섯 등이 여기에 속한다.
  • 복생(Imbricate)
    • 자실체가 여러 개 겹쳐서 발생하는 형태를 말하며 삼색도장버섯, 해면버섯, 구름버섯, 진흙버섯속 등이 속한다.
  • 균륜(fairy ring)
    • 자실체가 기주식물을 중심으로 동그랗게 원을 그리며 발생하는 형태로서 마치 요정이 춤추는 듯하여 요정의 고리라고 부른다. 자주방망이버섯류, 낙엽버섯류, 송이, 깔때기버섯류, 무당버섯류, 광대버섯류 등이 여기에 속한다.
  • 뱀껍질광대버섯(단생) 사진 뱀껍질광대버섯(단생)
  • 큰갓버섯(산생) 사진 큰갓버섯(산생)
  • 노란느타리(속생) 사진 노란느타리(속생)
  • 똥똥버섯(군생) 사진 말똥버섯(군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