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길라잡이
사이트맵
ENGLISH
검색
검색하기
검색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공개제도란?
청구 및 처리절차
청구권자 및 대상정보
정보공개방법
불복구제절차
수수료
관련법령 및 서식
사전정보공개
비공개대상정보
법령상의 비공개 대상기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비공개 세부기준
정보목록
정보공개방
업무추진비
공용차량현황
자체감사결과
업무분장
기타
정보공개청구
새창
공공데이터개방
기술/연구
원예특작연구동향
농업기술간행물
주요원예특작산업 통계
농업생산액
원예특작산업 생산액
원예·특용작물 가격동향
기술정보
작목기술정보
약용작물 GAP 표준재배기술
원예특작 소득정보
농작업일정
새창
주간농사정보
농업기술동영상
농약등록 현황정보
연구성과
주요연구성과(연보)
품종정보
영농활용
정책제안
산업재산권
연구논문
농가활용프로그램
도서정보
시험연구보고서
버섯정보
새창
과수생육품질관리
새창
기술수요조사
새창
생활원예
원예특작산물의 기능성
채소
과수
인삼,약초,버섯
텃밭가꾸기
채소
과수
인삼,약초,버섯
실내정원꾸미기
실내정원 기본기술
실내정원 장식의 실제
실내정원 관리방법
꽃장식과 정원꾸미기
옥상정원
옥상정원의 효과
옥상정원의 설치
베드이용 옥상텃밭 재배
용기이용 옥상텃밭 재배
옥상텃밭의 작형 및 재배관리
옥상 허브정원
옥상정원의 활용식물
원예치료
원예치료란 무엇인가?
원예치료의 역사
원예치료 적용분야
원예치료의 구체적인 사례와 효과
공기정화식물
실내 공기정화
식물의 실내 공기정화 원리
실내정원의 기능
실내정원의 식재 및 관리
실내분화식물 생활공간 배치
공기정화식물 목록
오늘의 꽃
오늘의 꽃
꽃말사전
꽃 갤러리
소개글
DB 검색
약용작물의 민간요법
영양듬뿍! 맛있는요리
힐링스토리
치유농업
새창
민원/행정
전자민원
민원질의하기
자주묻는 질문
내민원조회
민원의뢰시험안내
분야별상담안내
민원행정서비스현장
열린공간
칭찬합시다
자유게시판
행정정보
입찰정보
채용공고
법령
청사에너지사용량 및
온실가스배출현황
항공마일리지 사용내역
규제혁신정보
규제혁신 과제현황
심사중인 규제법안
부처별 보도자료
규제법령정보
규제혁신 홍보자료
기관소개
과학원 소개
연혁
비전 및 임무
기관장 인사말
역대기관장 소개
조직 및 인원
부서업무소개
업무계획
과학원둘러보기
기관홍보동영상
찾아오시는길
과학원 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행사앨범
홍보동영상
일반자료실
코로나19 예방
직원검색
견학신청
우장춘박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Toggle navigation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공개제도란?
청구 및 처리절차
청구권자 및 대상정보
정보공개방법
불복구제절차
수수료
관련법령 및 서식
사전정보공개
비공개대상정보
법령상의 비공개 대상기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비공개 세부기준
정보목록
정보공개방
업무추진비
공용차량현황
자체감사결과
업무분장
기타
[새창]정보공개청구
공공데이터개방
기술/연구
원예특작연구동향
농업기술간행물
주요원예특작산업 통계
농업생산액
원예특작산업 생산액
원예·특용작물 가격동향
기술정보
작목기술정보
약용작물 GAP 표준재배기술
원예특작 소득정보
농작업일정
새창
주간농사정보
농업기술동영상
농약등록 현황정보
연구성과
주요연구성과(연보)
품종정보
영농활용
정책제안
산업재산권
연구논문
농가활용프로그램
도서정보
시험연구보고서
버섯정보
새창
과수생육품질관리
새창
기술수요조사
새창
생활원예
원예특작산물의 기능성
채소
과수
인삼,약초,버섯
텃밭가꾸기
채소
과수
인삼,약초,버섯
실내정원꾸미기
실내정원 기본기술
실내정원 장식의 실제
실내정원 관리방법
꽃장식과 정원꾸미기
옥상정원
옥상정원의 효과
옥상정원의 설치
베드이용 옥상텃밭 재배
용기이용 옥상텃밭 재배
옥상텃밭의 작형 및 재배관리
옥상 허브정원
옥상정원의 활용식물
원예치료
원예치료란 무엇인가?
원예치료의 역사
원예치료 적용분야
원예치료의 구체적인 사례와 효과
공기정화식물
실내 공기정화
식물의 실내 공기정화 원리
실내정원의 기능
실내정원의 식재 및 관리
실내분화식물 생활공간 배치
공기정화식물 목록
오늘의 꽃
오늘의 꽃
꽃말사전
꽃 갤러리
소개글
DB 검색
약용작물의 민간요법
영양듬뿍! 맛있는요리
힐링스토리
치유농업
새창
민원/행정
전자민원
민원질의하기
자주묻는 질문
내민원조회
민원의뢰시험안내
분야별상담안내
민원행정서비스현장
열린공간
칭찬합시다
자유게시판
행정정보
입찰정보
채용공고
법령
청사에너지사용량 및
온실가스배출현황
항공마일리지 사용내역
규제혁신정보
규제혁신 과제현황
심사중인 규제법안
부처별 보도자료
규제법령정보
규제혁신 홍보자료
기관소개
과학원 소개
연혁
비전 및 임무
기관장 인사말
역대기관장 소개
조직 및 인원
부서업무소개
업무계획
과학원둘러보기
기관홍보동영상
찾아오시는길
과학원 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행사앨범
홍보동영상
일반자료실
코로나19 예방
직원검색
견학신청
우장춘박사
길라잡이
웹서비스 길라잡이
사이트맵
관련사이트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개인정보처리방침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방침
뷰어프로그램
배너 전체보기
길라잡이
사이트맵
ENGLISH
검색
검색하기
검색
생활원예
원예특작산물의 기능성
채소
과수
인삼,약초,버섯
텃밭가꾸기
채소
과수
인삼,약초,버섯
실내정원꾸미기
실내정원 기본기술
실내정원 장식의 실제
실내정원 관리방법
꽃장식과 정원꾸미기
옥상정원
옥상정원의 효과
옥상정원의 설치
베드이용 옥상텃밭 재배
용기이용 옥상텃밭 재배
옥상텃밭의 작형 및 재배관리
옥상 허브정원
옥상정원의 활용식물
원예치료
원예치료란 무엇인가?
원예치료의 역사
원예치료 적용분야
원예치료의 구체적인 사례와 효과
공기정화식물
실내 공기정화
식물의 실내 공기정화 원리
실내정원의 기능
실내정원의 식재 및 관리
실내분화식물 생활공간 배치
공기정화식물 목록
오늘의 꽃
오늘의 꽃
꽃말사전
꽃 갤러리
소개글
DB 검색
약용작물의 민간요법
영양듬뿍 맛있는 요리
힐링스토리
치유농업
새창
홈
생활원예
원예치료
원예치료의 역사
프린트
원예치료의 역사
원예치료의역사
원예치료는 새로 등장한 분야갸 아니라 오래전부터 증명된 치료분야이다. 평화로운 정원 환경은 고대로부터 치료적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19세기에 미국 독립선언서 서명자이자 "미국 정신의학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벤자민 러시 박사는 정원환경이 정신적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치료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원예치료는 미국과 유럽에서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입원 상이군인들의 재활을 위하여 활용된 것을 계기로 급속히 확대되었다. 현재는 원예치료가 치료, 직업, 그리고 복지 프로그램에 참가한 사람들에게 광범위한 이익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실용적이고 효과가 뚜렷한 치료로서 인정되고 있다. 원예치료는 이제 다양한 환경과 문화를 가진 전 세계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실행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몇 나라의 원예치료 역사를 보면 다음과 같다.
미국
1789년
필라델피아의 Benjamin Rush 교수가 흙을 만지는 것이 정신질환자에게 치료효과가 있다고 발표
1878년
미시간 Pontac 주립병원에서 농경작업을 정신치료의 한 과목으로 다룸
1879년
펜실베니아 Friends Asylum 정신병원에서 환자치료를 목적으로 유리온실 건립
1955년
미시간 주립대학에서 원예치료학사 학위 수여
1959년
뉴욕대학 메디컬센터에 후유증 환자를 위한 온실을 건축하여 신체장애자를 위한 원예치료 이용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함
1960년대
여러 대학에서 원예치료 강의 개설
1971년
켄사스주립대학 대학원에서 원예치료교육 실시
1973년
메릴랜드에서 원예를 통한 치료와 재활을 위한 전국협의회(NCTRH) 결성
1987년
미국원예치료협회(AHTA)로 발전 현재에 이르고 있음
자 격
협회에서 원예치료사 자격 부여
유럽
1699년
영국의 Leonard Maeger는 "여가시간이 있다면 정원에 나가 땅을 파거나 풀을 베어라. 이것처럼 건강을 유지하는데 좋은 방법은 없다"고 보고
1806년
스페인 정신질환자에 대한 농경활동의 효과를 인정한 기록
1800년초
북스코틀랜드 의사 Gregory 농장일이 정신병 치유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
1856년
영국의 Dorset 구호원은 환자가 늘 기분이 좋고 사는 보람을 느끼도록 원예활동 권장
1930년대
영국에서는 장애자에 대한 수용시설과 치료에 관한 법을 만들어 정신병환자를 병원농원에서 작업시킴
1960년
옥스퍼드 Nuffield 정형외과센터 신체장애자를 위한 정원치료프로그램 실시
1968년
정신장애 아동을 위한 국민협회가 지방자치단체의 후원으로 장애아동을 2년간 실습농장에서 생활하게하여 사회적응 과정을 이수시킴
1978년
원예치료 및 농업훈련협회 탄생
- 정신박약자, 시청각장애자, 운동기능장애자, 죄수, 마약중독자, 고령자 등 광범위하게 활용
자 격
협회에서 원예치료사 자격 부여
우리나라
1997년
한국원예치료연구회 발족(11. 15)
1998년
제1회 한국원예치료연구회 심포지움 개최(2. 28)
1998년초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발족(원예치료 관련 전문학회)
1999년
건국대학교 사회교육원 원예치료과정 개설
2000년
고려대학교 사회교육원 원예치료과정 개설
2000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원예치료 석.박사과정 개설,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치료학과 개설
2000년
한국원예치료연구회와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가 통합하여 한국원예치료협회로 발족
현 재
대학, 사회교육원(평생교육원), 관련단체 등에서 원예치료과정 교육
장애인관련기관, 병원, 교육기관 등 100여 곳 이상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 운영 중
우리나라에서는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97년에 한국원예치료연구회가 발족된 이후로 여러 대학에 원예치료 학위과정과 사회교육원 원예치료 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장애인 관련기관, 병원, 교육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1999년 경기도장애인협회 사회적응훈련센터와 협력하여 원예치료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2000년에는 정신지체 청소년 및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원예치료가 사회적응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2002년에는 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보건복지부에 시책 건의하였다. 또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사회복귀 예정 수형자를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 심리․사회적 효과를 검증하고 법무부에 정책제안 한 바 있다.
※ 출처
농사로시스템
관련사이트
농촌진흥청 소속기관
농촌진흥청 소속기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업과학도서관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이동
동호회/관련연구회
동호회/관련연구회
우리한국배연구회
사과사랑동호회
한국야생식물연구회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한국도시농업연구회
복숭아사랑동호회
한국응용생명화학회
감귤사랑동호회
이동
페이스북
블로그
유튜브
배너 전체보기